논문 상세보기

호밀녹비 이용 시 중질소(¹⁵N)를 이용한 질소원 유래별 콩의 집적질소 분획추정 KCI 등재

Estimation of Soybean N Fraction Derived from N Sources by ¹⁵N in Soybean Cultivation with Rye as Green Man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39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월동 후 녹비용 호밀에 시용한 질소가 콩의 질소고정 및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2004년 온실 및 2005년 포장에서 포트시험을 통해 시비질소량별 토양, 호밀 및 콩의 질소회수율을 조사하였다. 1. 2004년 온실폿트 시험에서는 호밀에 시용한 질소비료 량이 증가할수록 호밀지상부가 토양에서보다 질소비료로부터 질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호밀이 없는 조건에서는 논흙이 밭흙보다 콩의 건물 중 및 질소흡수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지력이 높았던 논흙에서는 밭흙에 비해 콩이 질소고정 유래 질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토양유래 질소의 비율이 높았다. 2. 밭흙에서 무녹비와 대비하였을 때 호밀녹비 이용 시의 콩 시비질소회수율은 낮았지만 토양의 시비질소회수율(질소유기화)이 높아 전체회수율은 높았으며, 또 호밀녹비 이용시 콩의 시비질소회수율은 호밀에 대한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2004년 온실포트 실험에서의 콩의 근류고정유래의 질소비율은 약 92~95% 로 2005년 포장포트에서의 82~84% 보다 약 10% 정도 높았으며, 콩의 근류고정유래 질소량 및 질소량 분획 추정에서는 2년 모두 Difference method와 15N method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Winter season cultivation of rye as green manure for soybean have been a favorite with farmer because it could remove a risk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and increase N uptake and yield of soybean. Effects of rye green manure on soybean N uptake, N2 fixation and yield were investigated with 15N as pot experiment in greenhouse in 2004 and field in 2005, respectively. The N derived from N fertilizer (15N ) in rye green man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N fertilizer rate compared to N derived from soil. N uptake and DM yield of soybean at the pot with paddy soil was higher than those at the pot with upland soil mainly due to the increase of N uptake from paddy soil. Total 15N recovery in soil was higher at rye green manure than no green manure because 15N applied to rye plant was remained highly as soil organic N compared to chemical N fertilizer. 15N recovery in soybean plant increased in proportion to amounts of N fertilizer applied to rye. The N fractions from N2 fixation of soybean plant at the pot experiment in 2004 ranged from 92% to 95%, on the other hand those in field experiment in 2005 ranged from 82% to 84%. Estimation of amount of N2 fix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Difference method and 15N method in 2004 and 2005.

저자
  • 서종호(작물과학원)
  • 이성희(작물과학원)
  • 조영손(작물과학원)
  • 이재은(작물과학원)
  • 이충근(작물과학원)
  • 권영업(작물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