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지 및 재식밀도가 심지양액재배 씨감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Medium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Yield of Seed Potatoes Grown in a Wick Hydroponic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상위 씨감자 순환식 심지양액재배에 있어서 송이의 배지 재료로서의 이용 가능성과 알맞은 재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송이 + 피트모스(1:2, v/v)와 펄라이트 + 피트모스(1:2, v/v) 배지에 대지 소괴경(7.0±0.2g )을 상자(0.16m2 )당 각각 3, 6, 9, 12, 15주(19, 38, 56, 76, 95/m2 )를 심어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된 모든 형질에 있어서 배지종류와 재식밀도간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다. 생육불량주가 상자당 3주~ 12주재식구에서 8.3~14 이었으나 15주재식구에서는 25.8%이었다. 2. 줄기 및 잎의 길이, 주당 경수 등은 배지종류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m2 당 ~geq5g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송이혼용배지에 비해 펄라이트혼용배지에서는 각각 21% 및 32% 증가되었다. 3. 재식밀도가 상자당 3주에서 9주로 증가됨에 따라 줄기 및 잎의 길이가 작아졌으나 더 밀식될 때에도 이상 감소되지 않았으나 주당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밀식할수록 감소되었다. 4. 재식밀도가 상자당 3주에서 15주로 증가됨에 따라 m2 당 ~geq5g 괴경수 및 괴경수량은 각각 101개와 6.3 kg에서 269개와 11.6 kg으로 증가되었다. 5. 소괴경 심지양액재배 시 펄라이트 + 피트모스 배지가 보다 적합하며, 생육불량개체비율, m2 당 ~geq5g 괴경수과 괴경수량 등을 고려한 알맞은 재식밀도는 소괴경이 충분할 경우 m2 당 76주 정도, 부족할 경우 56주 정도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02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Jeju scoria for a component of a growth medium and optimum planting density of 'Dejima' se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grown in a wick hydroponic system. The minitubers (7.0~pm0.2~;g ) produced in an aeroponics system were planted at five planting densities (3 to 15 tubers/box; 19 to 95~;tubers/m2 ) in polystyrene boxes (51 cm long ~times 31 cm wide ~times 20 cm high) containing two media (perlite + peatmoss and Jeju scoria + peatmoss 1:2, v/v mix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medium and planting density for the growth and tuber yield traits. Shoot growth and the number of tubers per plant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edia. However, tuber yield was higher in the perlite + peatmoss mixture than in the Jeju scoria + peatmoss mixture. The percentage of underdeveloped plants ranged from 8.3 to 14.7% at four lower planting densities (3 to 12 tubers/ box), and was 25.8%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15 tubers/box).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from 3 to 15 tubers per box, seed potato (~geq5~;g tuber) number increased from 101 to 269 and yield from 6.3 to 11.6~;kg/m2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lite + peatmoss mixture might be more suitable for seed potato production in the wick hydroponic system, and considering the percentage of underdeveloped plants and tuber yield, optimum planting density would be 56 to 76~;tubers/m2 in the system depending on availability of seed potatoes.

저자
  • 김찬우(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송창길(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박정식(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문현기(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강영길(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강봉균(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