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알카리붕괴도가 다른 황금누리벼, 일품벼, 상주벼, 태봉벼, 남평벼, 다산벼의 일반미 6품종의 아밀로펙틴 구조와 밥의 호화물성을 조사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이다. 1. 6품종 쌀의 알칼리붕괴도는 황금누리벼의 7.0부터 다산벼의 5.0까지 고르게 분포하였다. 아밀로펙틴 구조 분석결과 시료는 모두 중합도 12에서 최고 분포를 갖는 등 비슷한 유형을 나타냈으며 알칼리붕괴도가 높은 품종은 중합도 15까지 짧은 사슬의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호화된 밥의 표면 경도는 다산벼, 일품벼, 황금누리벼의 순으로 컸으며 끈기는 일품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밥의 전체 경도는 다산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황금누리벼, 일품벼의 순으로 경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ffect of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on gelatinization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grains which were analyzed by alkali digestive value (ADV) in six rice cultivars. Those rice cultivars were Hwangumnuribyeo, Ilpumbyeo, Sangjubyeo, Taebongbyeo, Nampyungbyeo, and Dasanbyeo. The ADV values were evenly distributed from 7.0 (Hwangumnuribyeo) to 5.0 (Dasanbyeo). A similar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was found in rice cultivars, indicating that DP12 had the highest distribution. Rice cultivars with high ADV value showed higher portion of short chain distribution upto DP15. The surface hardness of cooked rice increased consecutively to Dasanbyeo, Ilpumbyeo, and Hwangumnuribyeo. Among japonica type rice cultivars, the highest overall hardness was observed in Dasanbyeo followed by Hwangumnuribyeo and Ilpumbyeo. Correlation between hardness of rice graim and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amylopectin had the similar inclination to surface hardness of rice grains and overall hard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