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찰벼 품종에 따른 소곡주의 품질 및 기호도 변이 KCI 등재

Variation in Quality and Preference of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from Waxy Rice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1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주인 소곡주의 주질 개선을 위해 원료인 찰벼 품종에 따른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내 찰벼 품종 9품종으로 소곡주를 제조하여 그 품질을 비교한 결과, 백설찰벼가 소곡주 원료로서 가장 우수한 기호도 점수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백질 함량은 6.9~7.5% 범위로 눈보라와 설향찰벼가 가장 낮았으며 한강찰벼가 가장 높았다. 단백질 함량과 관계된 백미의 경도 역시 설향찰벼가 가장 약하였고 백설찰벼가 가장 단단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찹쌀의 외관 특성은 품종별로 다소 상이하여 일부 육안으로 차이를 판별할 수 있었다. 호화특성은 품종 간에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동진찰벼의 낮은 점성은 아밀로펙틴 중 높은 단쇄 비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한강찰벼의 높은 점성은 아밀로펙틴의 낮은 단쇄 비율과 높은 중쇄비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소곡주는 알코올 함량은 17.6~19.9%, 당도는 20.5~23.9 brix, pH 4.53~4.60, 총 산도는 4.0~4.8% 분포였으며, 당은 주로 glucose, 유기산은 주로 succinic acid로 이루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종 중 설향찰벼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높아 알코올 수율은 높고 잔류 당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색 특성은 신선찰벼를 제외하고 품종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찰벼 품종별로 소곡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백설찰벼 소곡주의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소곡주 기호도는 포도당 등 당도가 높아 단맛이 강하고 투과율이 높아 맑은색을 갖는 특징과 관련이 높았으며, 발효 정도와 관련된 수율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as a sensory quality of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from waxy rice varieties. The protein and moisture contents of milled waxy rice varieties were ranged 6.9~7.2% and 12.1~ 12.6%, respectively. Nunbora had the largest grain size. In pasting properties, Hangangchalbyeo had the highest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ies, and Dongjinchalbyeo had the lowest viscosity curve. These differences suppose to be caused by the amylopectin(AP) structure: Dongjinchalbyeo has the largest short AP chains (degree of polymerization (DP) 6-12) and the smallest middle AP chains (DP 13-24) in 9 waxy rice varieties, while Hangangchalbyeo has the smallest short AP chains and the largest middle AP chains. The alcohol contents of Sogokju brewed from 9 waxy rice varieties were 17.6~19.9%. The brix degree were ranged 20.5~23.9~circBx . The organic acid of Sogokju consisted mainly of succinic acid, and the free sugar of it consisted mostly of glucose.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e highest palatability at the Sogokju from Baegseolchalbyeo. The palat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rix degree, the glucose content, and the turbidit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duction yield of Sogokju.

저자
  • 천아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대중(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미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세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홍하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임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우관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기종(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주성철(서천군 농업기술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