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야생벼 Oryza minuta에서 유래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에 대한 고찰 KCI 등재

Genetic Analysis on th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 from a Wild Relative, Oryza minut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1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흰잎마름병은 세계적으로 벼 재배치에서 가장 문제시되는 병해충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상습발생지를 중심으로 Xa1과 Xa3 이 저항성 유전자로 활용되었으나, 소수의 저항원이 집중적으로 활용됨으로 인해 최근 이병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Xa1과 Xa3 모두를 침해하는 새로운 균계 K3a가 확인됨에 따라 새로운 저항성 유전자의 동정 및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다. 국내육성 자포니카품종 화성벼와 야생벼 O. minuta 간의 종간교잡을 통해 확립된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에 대한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원506호와 통일계 품종인 밀양23호간의 교잡을 통해 확보한 F2 개체들을 활용하여 흰잎마름균주 HB3011 의 접종에 따른 병반장의 변이와 유전자지도 작성에 사용된 SSR 마커의 유전자형간의 연관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원506호의 흰잎마름병 저항성을 지배하며 우성유전자로 작용하는 주동유전인자가 염색체 4변 하단에서 SSR 마커 RM255 에 의해 표지 되었는데, 해당 염색체영역은 Xa1과 Xa2 및 Xa22 등이 보고되었던 영역과 매우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Bacterial blight (BB), cuased by the vascular pathogen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is one of the major threats in rice fields worldwide. In Korea, two resistance genes against BB, Xa1 and Xa3 had been intensively used for developing high quality japonica rice cultivars. Those traditional resistance sources have being rapidly ified by the adopting of BB pathogen through mutations of the corresponding avr-genes, such as K3a exhibiting high compatibility to both Xa1 and Xa3. To expanding genetic resource against BB in Korea, the Suweon506, an introgression line between a Korean japonica cultivar, Hwaseong and a wild relative, Oryza minuta, was be subjected for genetic analysis owing to the BB resistance. Through association analyses between the pathotyping and genotyping results for each F2 progeni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506 and a Tongil type cultivar, Milyang23, a major resistant dominant gene is localized on the subterminal region of rice chromosome 4, where at least three BB resistancde genes, Xa1, Xa2, and Xa22, were reported previously.

저자
  • 정지웅(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노태환(국립식량과학원 간척지농업과)
  • 강경호(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신영섭(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 김연규(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