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2농도와 온도증가에 따른 인삼의 생육 및 생리.생태학적 반응 연구 KCI 등재

Effect of Elevated CO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Growth and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23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CO2 농도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인삼의 생육반응 및 광합성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하였다. 유리 온실 안에 대조구(대기중 CO2 농도)와 CO2 + 온도상승구(750-800 ppm, 2℃ 상승)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1. 인삼의 개엽율은 1년생 인삼을 이식한 후 1주일 이후인 4월 6일에 CO2 + 온도상승구의 개엽율이 대조구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최종 개엽율은 CO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2. 꽃이 나오는 시기는 대조구보다 CO2 + 온도상승구가 3일 빨랐고, 열매관찰시기와 열매 성숙시기는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3. 인삼의 줄기길이는 대조구보다 CO2 + 온도상승구에서 길었고, 잎수는 대조구보다 CO2 + 온도상승구에서 많았다. 4. 지하부 생량무게는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5. 광합성은 모두 대조구보다 CO2 + 온도상승구가 높았다. 대조구 내에서는 년도별 광합성이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CO2 + 온도상승구에는 1년생과 2년생 간 차이가 없었다. 6. 증산률은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에서 모두 년생간 차이가 있었다. 1년생은 대조구보다 CO2 + 온도상승구가 높았고, 2년생은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다. 7.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에서 모두 1년생과 2년생간 차이가 있었다. 1년생은 대조구와 CO2 + 온도상승구간 차이가 없었고, 2년생은 대조구 보다 CO2 + 온도상승구가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지구온난화는 인삼의 생육과 생리 생태학적 반응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ecophy -siological response of ginseng to global warming condition, we cultivated one and two year ginseng seedlings in control (ambient CO2 + ambient temperature) and global warming treatment (elevated CO2 + elevated temperature) from March 2010 to July 2011. Shoot appearance and initiation of flowering were advanced by 3-4 days in global warming treatment than in control. However, timing of fruit setting and seed ripeness was similar in both control and global warming treatment. Shoot length was longer in global warming treatment than in control, and also the number of leaves was much in global warming treatment. Fresh root weight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global warming treatment.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global warming treatment than at control. Photosynthetic rate and transpiration rate were higher in two year seedlings than in one year seedlings at control, but was not different between seedling age of ginseng in global warming treatment. Water use efficiency was higher in one year seedlings than two year seedlings at control and global warming treat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Korean ginseng more or less positively responds to global warming situation.

저자
  • 이경미(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Lee Kyoung-Mi
  • 김해란(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Kim Hae-Ran
  • 임훈(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Lim Hoon
  • 유영한(Department o) | You Young-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