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83

        1.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홍삼(70 °Brix)과 발효홍삼(45 °Brix)에 대한 항산화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효능 측정을 위한 적정 분석시료 함량을 설정하고, 홍삼의 발효에 따른 항산화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홍삼의 flavonoid 및 phenolics 함량 측정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각각 농축액 시료 3 g을 증류수로 100배 희석하여 측정용 시료 1 mL 당 홍삼농축액 20-30 mg을 사용하는 것이 시료 채취와 낮은 흡광도에 의한 오차도 줄일 수 있었다. 홍삼의 항산화성 측정으로 홍삼 시료 mg 당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모두 농축액 분석시료 20-30 mg/mL에서 가장 안정적이었다. 세포에서의 항산화 효능으 로 ROS의 소거능은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모두 농축액 분석시료 20 mg/mL 전후에서 ROS radical 소거능의 차이가 가장 컸으며 분석에 적합한 농도였다. Flavonoid 함량과 ROS radical 소거능은 발효홍삼 농축액이 일반홍삼 농축액보다 더 높았으나, radical 소거능은 유사하였다. 같은 농도의 일반홍삼과 발효홍삼을 비교할 경우 발효홍삼이 일반홍삼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높았다. 일반홍삼 및 발효홍삼의 항산화성 물질의 정량 및 그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농축액의 농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반홍삼과 발효홍삼 각각 농축액 2-3 g을 채취하여 100배 희석하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4,200원
        2.
        202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stress-induced changes in the lipid and hormonal concentrations in plasma, including cytochrome P450 (CYP)-derived oxidative stress in the liver, and the anti-stress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KRG) water extract in mice. Stress induction using restraint increased the levels of corticosterone (CORT), glucose,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while decreasing in the levels of insulin and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C), compared with those of unstressed mice. Restraint-stress also increased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plasma by 5.4-fold. Moreover, the stress resulted in a 2.8-fold higher production of C-reactive protein (CRP)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catalytic activities of CYP1A2 and CYP3A4 in the liver microsomes were stimulated by 5.5- and 3.8-fold, respectively, and concomitant ROS formation was elevated by 4.3-fold in the liver extract,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contrast, the KRG treatment (5, 20, or 50 mg/kg/day) to stress-exposed 3 groups alleviated the increased CORT, TC, LDL-C, ROS, and CRP levels and restored the decreased insulin concentrations. The enhanced each ROS in the plasma and liver, and the CYP enzyme activities were also attenuated in KRG-treated mic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RG ameliorates stress-induced detrimental effects on the plasma and liver of treated mice.
        4,300원
        4.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esity is the cause of many diseases, and its severity continues to increase.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treatment strategy for obesity. This study summarized the studies that evaluated the effect of Panax ginseng on promoting non-shivering thermogenesis in animal models. A total of 7 studies were includ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which five were judged to have a high risk of bias. Indicators of UCP1 mRNA, UCP1 protein, and PGC- 1a were used in the meta-analysis, and the certainty of evidence progressed for each indicator, with UCP1 protein showing the highest certainty of evidenc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5 works of literature with standard indicators. As a result of meta-analysis, UCP1 protein level and PGC-1a mRNA leve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tatistically. In addition, the protein levels of PRDM16 and TFAM increased in several studies (not a meta-analy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nax ginseng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obesity.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its mechanisms and possible side effects fully. Thus, it is concluded that Panax ginseng in animal models can promote non-shivering thermogenesis and improve mitochondria function in animal models, opening up new avenues for research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4,200원
        5.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acts (Quantum Energy) from Rehmannia glutinosa, ginseng, balloonflower, Poria cocos, and Adenophora stricta. The extracts were prepared through a six-day aging process, during which the pH decreased with a longer aging period while the viscosity and oBrix values were increased. The color difference (E) of the extracts ranged from 0.27 to 0.49 for all samples, indicating minimal color change with aging. The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for fructose and glucose, while lactose was not detected. Furthermore,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ranged from 24.518 to 27.646 g/100 g, generally decreasing with the aging time. Benzo[a]pyrene in the extracts ranged from 0.040 to 0.074 g/kg, which is below the limit of quantification. In addition, all extracts were free of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and coliforms, confirming that the ag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microbiologically safe.
        4,000원
        7.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시내 유통점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 홍삼함 유식품 66건과 건강기능식품 홍삼제품 35건의 기능 성분 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홍삼함유식품 66건 중 전통시장에서 구입한 2건은 진세노사이드가 검출 되지 않았고 64건의 제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대 한 기준은 없지만 일일 섭취량 기준 0.55-71.56 mg을 함 유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의 홍삼제품은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이 분말형 제품을 제외하고 일일 섭취량 기준 18.23 mg으로 홍삼함유식품의 8.80 mg 보다 약 2배 정도 가 많았다. 홍삼과 흑삼 비교 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홍 삼 제품이 흑삼 제품보다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분말형 제 품의 경우 흑삼 제품이 2배 많았다. 제형별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은 일일섭취량 기준 농축액 21.95 mg으로 가장 많고 분말 형태 12.54 mg, 스틱형 7.36 mg, 파우치형이 4.10 mg 순이었다. 흑삼제품은 고기능성으로 알려져 있으 나 대부분 일반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수 준의 관리와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흑삼의 규격기 준 설정 이후에는 흑삼제품의 기능성분 함량 재평가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틱형이나 농축액 제품의 경우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일반식품인 액상차, 홍삼음료로도 널리 판매되고 있어 식품유형 표시를 명확히 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최근 면역력 향상을 위한 소비자의 관심 증 가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 서 홍삼을 함유한 식품을 섭취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 도록 정확한 함량정보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4,0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nvenient chicken porridge prepared with fresh ginseng powder (FGP). The porridge made with the addition of FG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r similar pH at 5.99-6.13 compared to porridge made without adding FGP. The convenient chicken porridge with FGP had lower viscosity and higher spread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is porridge exhibited highe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values but a lower redness (a)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p<0.05). The porridge made with the addition of 0.4% blanched FGP (BG0.4) displayed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other types of chicken porridge (all p<0.05). The porridge with the addition of FGP showed weaker “rice grain size”, “glossiness”, “appearance cohesiveness”, “cooked rice aroma”, “sweet taste”, “texture cohesiveness”, “thickness”, and “stickiness” than the control group (all p<0.05). The appearance and flavor accep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or similar for the porridge samples made with the addition of 0.2% non-blanched FGP (NBG0.2) and 0.4% non-blanched FGP (NBG0.4) when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4,300원
        1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the surrounding vegetation on the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mountain-cultivated ginseng (MCG, Panax ginseng C.A. Meyer)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rate and growth were tested for allelopathy effects on four forest tree species after treatment with fallen leaves and leaf extracts. In the case of soil treatment through fallen leaves and crushed leaves, the germination rate was lower in the Quercus myrsinifolia treatments, and the average germination time was slower when Chamaecyparis obtusa was treated. In the cas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hich are used in most of the MCG cultivation areas,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ed germination. In the fallen leaves treatments, the stem showed a tendency to lengthen. The hot water extract treatment showed a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than the cold water extract treatment. The extract treatment showed a deficient germination percentage of some MCG seeds. However, in the case of the treatments except for this,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However, the Mean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value were faster and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llelopathic index (AI) of MCG according to the extract treatment of 4 species, most had a negative effect on germination, and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extract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e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r in the fallen leaves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he above results will help select and manage MCG plantations.
        4,300원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몇 년 전부터 우리나라의 양봉농가에는 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이상기후 악재와 초비극 상황인 꿀벌 군집 붕괴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으로 인하여 최대 60% 이상의 꿀벌이 폐사하거나 사라지는 등 양봉산업 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으로 약해진 꿀벌의 면역력과 봉군 세력을 향상시 키기 위하여 농업부산물 홍삼박을 활용한 화분떡을 자가제조하여 꿀벌 사양 먹이를 통한 봉군 세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가공부산물 홍삼박을 건조하여 130 mesh 이상 초미립자로 분쇄하 였으며, 조사포닌 725 mg 100-1을 함유하였고 화분떡 총중량의 0.5, 1.0, 2.5, 5.0, 10.0%로 첨가하여 완전하게 혼합 배합하여 화분떡을 제조하였다. 분봉벌은 4월 분봉한 봉군으로 이용하였으며, 2달 동안 1주일 간격으로 대조구 화분떡과 제조한 홍삼박 화분떡 5처리구에 급이하여 봉군의 세력을 조사하였다. 사양 먹이로 급이한 화분떡은 30일간 달관조사에서 대조구와 처리구 모두 꿀벌 먹이로 거부반응은 없었다. 봉군 세력 조사로 4월 분봉벌의 봉군은 1매 2갈로 시작하여 약 한 달 후에 6매 봉판으로 증소되었으며, 이때 조사된 봉군별 봉개율은 대조구 55%(100 기준) 대비 홍삼박 0.5~1.0% 처리구는 58~60%로 +(5~9)% 향상되었던 반면, 홍삼박 2.5% 이상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봉개율이 -(9~20)%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화분떡 먹이 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평균 96.9%(100) 소모율 대비 홍삼박 0.5% 처리구는 97.7%로 다소 높았으나 홍삼박 2.5% 이상 처리구에서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3.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양삼은 산림청 특별관리 임산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 나 표준 재배지침이 현장의 재배 현실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창지역의 산양삼 재배지 환경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어 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양삼 시료를 각각 10본씩 채취하여 실험을 통해 확 인하였다. 산양삼 입지환경은 경사, 사면 방향, 해발고, 나무 종류, 흉고 직경과 수 고 등 모두 6가지를 조사하여 국립산림과학원의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침엽과 활 엽으로 구분하였다. 산양삼 재배지의 토양산도를 포함한 9가지 토양이화학성 분석 에서는 전체적으로 침엽지역보다 활엽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 과에서는 A, B, C, 재배지에서 침엽과 활엽지역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 재배지는 침엽과 활엽지역의 유의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 결과에서는 Re, Rb1, Rg1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 내고 있어서 평창 산양삼의 주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산양삼은 산 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과 비슷한 곳을 재배지로 선정하여야 고품질의 제품 을 생산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임업인 소득증대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800원
        14.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삼의 일반적인 가공법인 물과 주정 혼합용매로 추출여과하여 농축액으로 제조 시 증숙 등의 가열처리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중합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현재 기능성이 밝혀진 30여 가지 주요 진세노사이드 외 극미량인 200여 종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고 있어서, 오히려 홍삼 본래 의 기능성 규명과 효능 구현을 복잡하게 만들고, 추출 횟 수를 거듭할수록 떫은맛이 강해지는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서 부정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저온(40oC 미만)에 서 1차만 추출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한 결과 수율은 고형 분 66-77% 정도에서 26-30%를 나타내어 기존의 연구 결 과인 40.47±0.47% 보다 현저히 적은 수율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분말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분석시험을 진행한 결 과 시료 18종 전체에서 진세노사이드 34종이 검출되었고, 특히 홍삼 지표성분 3종인 Rb1, Rg1, Rg3 합계는 42.48 mg/ g으로 시판 홍삼제품의 환산량 9.0 mg/g과 8.7 mg/g 보다 4-5배 많았다. 본 시료는 진한 홍삼의 향취와 함께 면역력 증진 등 6가지 기능발현에 9-25%의 소량 복용으로 1일 복 용량이 유의성 있게 작아서 복용의 편의성과 함께 제품의 보관, 유통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판 유통 중인 건조 인삼류(백삼 24점, 홍삼 26점) 포 장 제품을 수집하여 곰팡이 발생 조사를 수행하였다. 백 삼과 홍삼은 각각 50%와 46%의 시료에서 곰팡이가 검출 되었고 검출 시료의 평균 곰팡이 오염도는 각각 0.5와 0.2 log10 CFU/g이었다. 백삼에서는 Penicillium polonicum, P. chrysogenum, Rhizopus microsporus가 각각 18.2%로 우점하 였으나 홍삼은 Aspergillus spp.이 87.6%로 우점하였으며 이 중 A. chevalieri가 50.0%로 가장 높았다. 이 중 독성 종으로 알려진 P. polonicum, P. chrysogenum, P. melanoconidium, A. chevalieri 균주의 citrinin 독소 생성 가능성을 분석한 결 과, 13 균주 모두 독소 유전자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 결 과는 조사한 시료의 곰팡이독소 오염 위험은 매우 낮지만, 건조 인삼류에 곰팡이 오염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4,000원
        17.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삼은 다양한 국가에서 과거로부터 민간의약적으로 사용해 온 유용한 한약자원으로, 동북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하고 있다. 인삼의 학명은 Panax ginseng C. A. Meyer로 Araliaceae에 속하고 약용 부위는 곁뿌리를 제거한 뿌리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인삼의 종류와 명칭을 정리하고, 동북아시아 공정서 내 인삼의 기원들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인삼종의 전초의 형태를 비교하였고, 여러 문헌 정보를 바탕으로 각국 인삼종의 약리학적 효능을 정리하였다. 현재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려인삼의 품종은 약 15종이며, 이들 중 재래종(자경종), 천풍, 연풍, 금풍, 산양삼의 형태학적 특징을 비교하였다. 한약재 활용 가능한 인삼을 수확하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 재배해야 하며, 그 조건도 까다롭다. 약리학적으 로 가치가 있는 인삼종의 시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대량증식 방법으로 기내조직배양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수집하여 크기를 측정하고 형태를 비교하였고, 종자를 횡단면으로 절단해 배의 형태를 관찰했다. 각 인삼종의 종자를 활용하여 기내배양을 진행하였고, MS+GA 1.0mg/L 조건에서 발아율은 미국삼이, 생존율은 금풍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인삼의 한 종류인 산양삼은 자연에서 성장 속도가 느리고, 재배조건이 까다롭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산양삼을 수경 재배해, 해당 인삼종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미생물종을 동정하였다. 기내배양을 통한 4종의 인삼종 종자 발아 실험에서도 다양한 미생물종이 확인되었고,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한의학 연구원이 제공하는 전통의학정보포탈(KIOM Oasis Portal)과 농업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의 인삼특작부에서 각 인삼종의 종자를 분양받아 진행되었 다. 해당 논문은 기내배양을 통한 인삼의 대량생산 체계 구축 연구의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fter adding black ginseng powder at ratios of 0%, 1%, 3%, 5%, and 7%, and the potential of black ginseng as a functional foo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pH decreased. The L value d ec 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while the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hardnes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black ginseng powder content. Notab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diammonium salt (ABTS) radical scavenging showed the highest increases in cookies containing 7% black ginseng powder. The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ack ginseng powder add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ack ginseng powder can be applied to cookies to achieve high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4,000원
        19.
        2022.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insenosides content according to additional UV-A, and UV-B LED irradiation before harvesting the ginseng sprouts. One-year-old ginseng seedlings (n=100) were transplanted in a tray containing a ginseng medium. The ginseng sprouts were grown for 37 days at a temperature of 20°C (24h), a humidity of 70%, and an average light intensity of 80 μmol·m-2·s-1 (photoperiod; 24h)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Ginseng sprouts were then transferred to a custom chamber equipped with UV-A (370 nm; 12.90 W·m-2) and UV-B (300 nm; 0.31 W·m-2) LEDs and treated for 3 days. Growth parameters and ginsenoside contents in shoot and root were conducted by harvesting on days 0 (control), 1, 2, and 3 of UV treatments, respectively. The growth parameters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UV treatments (wavelengths or the number of days). Ginsenoside contents of the shoot was highly improved by 186% in UV-A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in 3 days of the treatment time. The ginsenoside contents of the roots was more improved in UV-A 1-day treatment and UV-B 3-day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by 171% and 16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is thought that UV LED irradiation before harvesting can produce sprout ginseng with high ginsenoside contents in a plant factory.
        4,000원
        2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Holstein 비육후기에 홍삼박, 광물질 및 설탕을 첨 가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일당증체량, 육질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로서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급여하지 않는 처리구를 대조구(C), 홍삼박 200g 첨가 급여 구는 T1, 홍삼박 100g과 광물질 50g 첨가 급여구는 T2 그리고 광물질 50g과 흑설탕 20g 첨가 급여한 구를 T3 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사료섭취량 및 1일 채식량은 T2 및 T3구가 C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채식량 이 많았던 T2 및 T3구에서 총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 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C구가 다른 구 (T1, T2, T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05), T1, T2 및 T3 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 면적 및 육량등급은 처리구 상호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근내 지방은 T3(4.5) > T1(4.0) > T2(2.7) > C(2.5)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질등급은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T3 > T1 > T2 > C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제적 조수익성은 T3 > T1 > T2 > C구순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합사료와 조사료 만 급여하는 체계(C) 보다는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첨가 급여(T1,T2, T3)하는 체계가 도체등급 및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특히 증체량, 육질등급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T3구가 가장 좋은 급여체계로 나타났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