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양삼의 재배지 환경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과 제언 : 평창지역을 중심으로 KCI 등재후보

Ginsenoside Content Analysis and Suggestions for Wild-simulated Ginseng Based o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ultivation : Focusing on Pyeongchang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5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초록

산양삼은 산림청 특별관리 임산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지만 체계적인 연구 나 표준 재배지침이 현장의 재배 현실과는 상이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창지역의 산양삼 재배지 환경조건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어 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산양삼 시료를 각각 10본씩 채취하여 실험을 통해 확 인하였다. 산양삼 입지환경은 경사, 사면 방향, 해발고, 나무 종류, 흉고 직경과 수 고 등 모두 6가지를 조사하여 국립산림과학원의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침엽과 활 엽으로 구분하였다. 산양삼 재배지의 토양산도를 포함한 9가지 토양이화학성 분석 에서는 전체적으로 침엽지역보다 활엽지역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통계분석 결 과에서는 A, B, C, 재배지에서 침엽과 활엽지역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 재배지는 침엽과 활엽지역의 유의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 결과에서는 Re, Rb1, Rg1의 순서로 높은 함량을 나타 내고 있어서 평창 산양삼의 주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로 산양삼은 산 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환경과 비슷한 곳을 재배지로 선정하여야 고품질의 제품 을 생산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 결과가 임업인 소득증대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ild-simulated ginseng is designated and managed as a specially managed forest product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ut systematic research and standard cultivation guidelines differ from the reality of cultivation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10 samples of wild ginseng were collected and tes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ginsenosid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wild-simulated ginseng cultivation sites in Pyeongchang. The site environment was examined in terms of slope, orientation, elevation, tree type, tree diameter, and tree height us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Academy of Forestry Sciences, and divided into coniferous and broadleaf forests. The soil chemistry analysis showed that the overall content was higher in the broadleaf area than in the coniferous area,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oniferous and broadleaf areas in plots A, B, C, and D. In plot 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niferous and broadleaf areas. The results of the ginsenosides content analysis showed a high content of Re, Rb1, and Rg1, in that order, confirming the main components of wild-simulated ginseng in Pyeongcha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wild-simulated ginseng should be selected as a cultivation site similar to the environment where wild ginseng can grow well to produce high-quality product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resource to help increase the income of foresters.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1 산양삼 및 토양시료 수집
    2.2 산양삼 재배지의 토양이화학성 조사
    2.3 산양삼 시료 추출 및 시약
    2.4 산양삼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
    2.5 자료처리 방법
3. Results
    3.1 입지환경 분석 결과
    3.2 토양이화학성 분석 결과
    3.3 진세노사이드 함유량 분석 결과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박상수((Researcher) 03674 Dept.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Future, Myongji Univ. Geobukgol-ro 34, Seodaemunk-gu, Seoul, Korea.) | Sang-Soo Park
  • 이재범((Professor) 17058 Dept. Convergence Healthcare, Graduate School, Myongji Univ. Myongjiro 116, Cheoingu, Yonginsi, Korea.) | Jae-Bum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