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농업생명과학연구 KCI 등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57권 제5호 (2023년 10월) 15

1.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량 작물의 확보 및 생산량 예측은 국가 발전에 있어 필수적이며, 국가 경제뿐만 아니라 전 세계 식량 안보에 기여 한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상기후는 식량 작물 생산량에 직ㆍ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어, 작물 수확량 예측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지 작물의 경우 생산량 감소와 품질 저하 문제가 화두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농가들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큰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이러한 생산량 예측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이 농업 분야에도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작물 수확량의 정확한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인공지능 기반의 노지 작물 수확량 예측 기술(머신러닝, 딥러닝, 하이브리드 모델 등) 현황 및 작물 수확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모델 파라미터 등을 조사하였다.
4,2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아시아에서 돈육 생산과 소비의 강국인 중국, 일본, 한국 3개국의 과거와 현재 돈육 산업을 조사하고 향후 돈육 생산과 소비를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경제 시스템 변화와 가속화된 경제 성장으로 돈육의 생산과 소비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할 수 있었고, 양돈 산업은 계속 발전할 것이며, 생산과 소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돈육 생산량은 오랫동안 꾸준히 감소해 왔다. 일본은 돈육 수입량이 많아 순위가 높지만 수입량에 비해 소비가 크지 않아 수입량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 양돈산업의 발달과 대규모 농장 운영의 확대로 돈육 생산이 발달했고, 이를 통해 양돈 생산 분야에서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돈육의 소비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업 부문의 경제적 측면에서는 돈육 생산과 소비의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일본, 한국의 돈육 생산과 소비는 농업부문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4,000원
3.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대상록수종인 종가시나무에 대한 수간곡선식의 도출과 재적표의 작성 및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여 탄소저장, 흡수량을 추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공시목은 전남, 경남, 제주 등에서 수집된 468본이며, 수간형태를 도출하기 위하여 적용한 수간곡선 모형은 Kozak 모델이다. 이 모델의 적합도는 0.9452, 편의는 0.0807, 추정치 표준오차의 백분율은 1.7145, 평균절대편차는 1.2655로 각각 나타났다. 종가시나무의 개체목 재적은 Kozak 수간곡선 모델에 Smalian 재적식을 적용시켜 산출하였으며, 수고와 흉고직경급별로 재적표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붉가시나무 재적표와 이번에 만든 종가시나무 재적표를 서로 비교한 결과(t-test),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재적표는 두 수종 중 하나만 이용하거나, 둘을 하나로 통합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종가시나무림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산림바이오소재연 구소 시험림의 조사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조사구를 대상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생육상태가 양호한 시험구(A)에서 탄소저장량 은 93.17 C ton/ha, 그리고 탄소흡수량은 13.14 CO2 ton/ha/yr 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생육이 저조한 시험구(B)의 탄소 저장 및 흡수량은 양호한 시험구보다 약 1/3 정도 낮게 나타났다.
4,000원
4.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분함량과 미생물 첨가제가 알팔파 사일리지의 발효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알팔파는 개화 10% 시기에서 수확되었으며 수분 함량(M60, M50, M40 및 M30)이 60, 50, 40 및 30%일 때 각각 이용하였다. 1500g을 샘플링한 후, 증류수 10mL을 첨가한 미첨가구(NAD)와 Lactococcus lactis 와 Pediococcus pentosaceus의 혼합물을 증류수(0.1g/10mL)에 1.5 x 1010cfu/g 농도로 희석한 후 접종한 미생물 균주 첨가구(ADD)를 3개월 및 6개월 발효하였다. 수분 및 미생물 첨가제에 따른 연평균 알팔파의 조단백, 중성세제 불용성 섬유 및 산성세제 불용성 섬유에서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발효기간에서 pH는 ADD의 M40에서 가장 낮았다(p<0.05). NAD 처리구에서는 젖산이 M50에서 가장 높았고(p<0.05), ADD 처리군에서는 M40 시험구에서 젖산이 가장 높았다(p<0.05). NAD와 ADD의 M60은 젖산 함량이 다른 수분 함량들에 비해 가장 낮으며(p<0.05) 낙산이 유일하게 검출되었다. 미생물군집의 상대적 풍부도는 ADD 처리구의 M40과 M50에서 Homo LAB (Enterococcus, Lactiplantibacillus, Lacticasei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Clostridium은 M60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5.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바이오매스 전소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저회에 유기 물질을 혼합하여 펠렛화한 후 배추 재배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배추 재배는 노지(UC, upland cultivation)와 시설재배지(GC, greenhouse cultivation)에서 진행되었으며, 처리조건은 대조구(Cont, control)와 저회(BA, bottom ash), 유기질 비료(OF, organic fertilizer), 저회 펠렛(BP, pelleted bottom ash) 처리구로 나누었고, 배추 이식 7일 전에 저회, 유기질 비료 및 저회 펠렛을 각각 1 ton 10a-1 수준으로 시용하였다. 배추의 생체중은 재배지역에 상관없이 OF와 BP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Cont 처리구에 비해 각각 15.7-41.6 및 9.7-51.5% 범위로 생체중이 증가하였다. BP 처리구에서 배추 수확 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전반적으로 OM, TN, Avail. P2O5 등의 함량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OF 처리구와 유사하였다. 노지와 시설재배지에서 배출된 N2O 배출량은 BP 처리가 OF 처리에 비해 29.7 및 11.0%로 각각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저회 펠렛의 시용은 관행처리구와 비교해 볼 때, 배추 생육, 토양 특성 및 N2O 배출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 of the surrounding vegetation on the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mountain-cultivated ginseng (MCG, Panax ginseng C.A. Meyer)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rate and growth were tested for allelopathy effects on four forest tree species after treatment with fallen leaves and leaf extracts. In the case of soil treatment through fallen leaves and crushed leaves, the germination rate was lower in the Quercus myrsinifolia treatments, and the average germination time was slower when Chamaecyparis obtusa was treated. In the cas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variabilis, which are used in most of the MCG cultivation areas, they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ed germination. In the fallen leaves treatments, the stem showed a tendency to lengthen. The hot water extract treatment showed a higher germination percentage than the cold water extract treatment. The extract treatment showed a deficient germination percentage of some MCG seeds. However, in the case of the treatments except for this, the germination percentage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However, the Mean Germination Time,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value were faster and higher than the control treatment.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llelopathic index (AI) of MCG according to the extract treatment of 4 species, most had a negative effect on germination, and P. densiflora and Q. variabilis extract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The ginsenoside content was higher in the fallen leaves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he above results will help select and manage MCG plantations.
4,300원
7.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lvic acid, a humic substance with unique properties, has sparked interest due to its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eases, Alzheimer's disease, and as a microplastic adsorbent. However,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produce insufficient quantities for commercial use, which has prompted research to enhance fulvic acid produ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mpac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ation on the yield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fulvic acid extracted from white peat. Fulvic acid was extracted from both S. cerevisiae-treated and untreated white peats using acid precipitation. The yield of fulvic acid from the S. cerevisiae treated group reached its highest at 3.5 % after 72 hr of fermenta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untreated group (1.1 %).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nalysis revealed similarities in functional groups and characteristic absorption bands between the treated and untreated fulvic acid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 cerevisiae fermentation can increase the yield of fulvic acid extracted from white peat, providing a promising approach for enhancing the commercial viability of fulvic acid production.
4,000원
8.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코르크보드를 보강하여 건축부재 및 놀이기구의 안전부재 등으로 폭넓게 활용할 것을 목적으로 코르크보드의 중층에 금속, 유리섬유, 탄소섬유를 삽입하여 보강한 3종의 코르크복합보드를 제조하였고, 코르크복합보드의 수분흡수에 따른 치수안정성 및 접착층 박리성능을 조사하였다. 코르크복합보드의 흡수율은 0.37% - 0.45%의 범위에 있었고, 코르크보드에 비해 0.61배 - 0.74배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코르크복합보드의 두께팽창률은 0.92% - 1.58%의 범위에 있었고, 코르크보드 보다 1.4 - 2.4배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 값들은 일반 목질보드보다 현저히 낮았고, KS규격의 12%이하를 하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코르크복합보드의 준내수 및 내수침지박리시험후의 접착층박리율은 0%로 전혀 접착층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었고, 흡수율과 흡수두께팽창률은 상온침지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목질보드에 관한 KS규격을 하회하는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4,000원
9.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의 첨가량을 3수준(낮음 : 5.8 g, 중간 : 10.8 g, 높음 : 22.4 g)으로 하여 흘림뜨기로 초지한 태지의 지합과 강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흘림뜨기에 의해 제조한 한지와 태지의 평량은 태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34.4~36.1 g/㎡였으며, 가둠뜨기 태지의 평량은 25.7 g/㎡였다. 지합지수는 첨가한 태의 양이 적을 때는 한지보다 양호하였으나 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지합지수도 증가하여 지합은 좋지 않았다. 태의 첨가에 의한 표면의 평활도와 거칠음도도 소량의 태 첨가에서는 미첨가 한지 보다 약간 좋았으나 태의 첨가량이 높았을 때는 평활도와 거칠음도 모두 미첨가 한지 보다 좋지 않았다. 태지의 인장지수는 한지에 비해 낮았으며, 태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파열강도도 소량의 태 첨가에서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 양이 많아지면 감소하였고, 내절도는 태의 첨가에 의해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태를 첨가하여 흘림뜨기로 초지한 태지의 물성은 소량의 첨가 시 약간 우수해지기도 하나 전체적인 물성의 개선에는 기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렇다고 태의 첨가로 인해 크게 종이의 물리적 성질을 크게 손상시키지도 않아 외형상의 아름다움과 독특함을 살린 용도로의 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낙엽활엽수종인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잎의 흡음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잎을 주재료로 하여 재료의 크기와 두께 및 건조 조건을 달리해 흡음재를 제조하였다. 중간형 측정관(100㎐-3200㎐)을 적용한 관내법(Impedance tube method)을 이용하여 흡음율을 측정하였 다. 총 18개의 조건에서 측정된 흡음율을 분석하였다. 기건엽 조건(MC 13.92%)과 생엽 조건(MC 162.04%)의 흡음율은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향상되었다. 흡음율은 밀도의 증가에 비례하는데, 부피당 밀도가 더 높은 생엽조건의 두께별 흡음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생엽 조건군에서 크기 0.5 × 0.5㎠의 2.50㎝ 두께에서 평균 흡음율은 0.6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시험처리 조건별 흡음재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율은 기건엽 조건의 두께 1.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전반적인 흡음율은 1000㎐ 이상의 대역에서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4,000원
11.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료내 비테인, 글라이신, 그리고 콜린의 혼합 첨가가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노령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면역 반응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총 336마리의 86주령 로만 갈색종 노령 산란계를 6처리 7반복, 반복당 8수씩 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모든 영양소 및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다. 대조구를 제외한 사료 처리구는 0.2% 비테인, 0.62% 글라이신, 그리고 0.32% 콜린을 단독, 두 가지 혼합, 혹은 세 가지 혼합으로 사료내 첨가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모든 산란계는 매일 8시간 동안 평균 온도 31.7±1.7℃, 습도 57%의 고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사양되었고, 이외 시간에는 평균 온도 27±1.3℃, 습도 57%에서 사양하였다. 실험 결과, 비테인, 글라이신 및 콜린의 첨가는 생산성, 난품질, 그리고 면역 반응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0.2% 비테인과 0.62% 글라이신을 혼합 첨가한 처리구에서 혈청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다른 혈청 지표들은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현재 수준에서 사료내 비테인, 글라이신, 그리고 콜린의 혼합 첨가는 고온 스트레스 환경에서 사양되는 노령 산란계의 생산성, 난품질, 면역 반응 및 혈액 성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4,000원
12.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의 한우 개량에 있어서 정확한 혈통 정보가 중요해짐에 따라 고밀도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chip의 SNP 정보들을 활용한 친자 확인으로 혈통 정보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미 혈통 정보가 확인되고 Microsatellite (MS) 유전자형으로 친자 여부가 확인된 14개의 가계, 318두로 친자 확인 분석을 하였다. Call rate 100%인 마커들을 활용한 친자 확인 분석 결과, 9두가 모 부정, 19두가 완전 부정으로 총 28두가 부정으로 판정되었고, 이는 부모의 SNP 정보에서 나올 수 있는 조합과 다른 자식의 유전자형이 확인되었다. 이후, 친자 확인 정확도 향상을 위해 call rate와 minor allele frequency (MAF)를 기준으로 SNP 마커 수를 증가시켜 분석하였으나 부정으로 판정되는 개체들이 추가적으로 발생하였고, 이는 SNP 정보의 결측치 증가 및 자식의 유전자형 변이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고밀도 SNP chip을 활용한 친자 확인 분석에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고밀도 SNP 정보를 이용한 친자 확인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물질 유래 항산화제인 파프리카 추출물을 돈육 패티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돈육 패티(C),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NC), 파프리카 추출물을 5 mg 첨가한 돈육 패티(T1), 파프리카 추출물을 10 mg 첨가한 돈육 패티(T2)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돈육 패티는 7 ℃ 냉장 온도에서 0일 및 7일간 저장하였으며, pH, 육색, 가열 감량, 지방산패도, 및 카르보닐함량을 비교하였다. 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은 pH와 가열 감량을 보였다(p < 0.05). 처리구에서 낮은 명도와 높은 적색도 값을 나타냈다. 또한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 첨가구보다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높은 적색도를 나타냈다(p < 0.05).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는 증가하며, 저장 7일째 처리구에서 낮은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 를 보였다(p < 0.05). 특히 저장 7일째,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가장 낮은 지방산패도를 보였다. 파프리카 추출물 또한 지방산패도를 낮추며,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크게 지질산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돈육 패티에서 파프리카 추출물을 첨가하면 돈육 패티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파프리카 추출물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아질산염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지님을 확인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4.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a potential sterilization process that uses calcium hypochlorite (Ca(ClO)2) as a disinfectant and hydrogen peroxide (H2O2) as a neutralizing agent for monoculture processes of microalgae (Nannochloropsis ocul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 contaminants (prokaryote) were present when the Ca(ClO)2 concentration was greater than 0.010%. The use of an equivalent amount of H2O2 completely neutralized Ca(ClO)2 and had an additional bactericidal effect because of the formation of singlet oxygen. No substanti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biomass accumulation and chlorophyll contents compared to those in cultures sterilized using conventional physical methods such as autoclaving. Therefore, chemical sterilization using Ca(ClO)2 and H2O2 has an excellent economic advantage, and we expect the proposed ecofriendly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 to become a critical culture technology for microalgae-related industrialization.
4,000원
15.
2023.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황 분말의 첨가가 마요네즈의 품질특성, 항산화활성 및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들기름으로 제조된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을 0.5%, 1%, 2%, 3% 농도로 첨가하여 4°C에서 12주 동안 저장하였으며, 강황 분말 무첨가구와 비교하였다.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들기름 마요네즈의 L* (명도) 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 (적색도)는 모든 실험구에서 negative (-)값이었으며, b* (황색도)값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다(p<0.05). 강황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마요네즈를 저장하는 동안 과산화물가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강황 분말 첨가 시료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은 저장 초기에 비해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0.5%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유화안정성을 보였으며, 1%의 강황 분말 첨가구는 무첨가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점도는 저장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무첨가구에 비해 1% 이상의 강황 분말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들기름 마요네즈에 강황 분말 첨가 시 항산화 활성 증대 및 과산화물의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0.5~1% 첨가시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 및 점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