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existing overseas-developed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biomass of domestic apple trees (Malus domestica) in South Korea. To assess their suitability, predicted biomass values derived from these equations were compared with actual measurements obtained through destructive sampl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some overseas equat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applied to domestic apple trees, suggesting their potential applicability to local conditions. However, it was also noted that certain equations may not fully captu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pple trees, such as the slender spindle form associated with modern high-density planting practices. Give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new allometric equations that are specifically optimized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cultivation environments of domestic apple orchards. Such equations would enable more accurate biomass estimation, support agricultural sustainability, and provide reliable data for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Tier 2-level studies on biomass and carbon sequestration in apple orchards while also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expanding research to include various fruit tree species to develop customized biomass estimation models for enhanced agricultural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최근 지구온난화를 동반한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RCP 8.5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말까지 연평균 기온은 4.8℃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고온 환경은 식물체의 생장, 개화시기, 동화산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고온 환경에서 감자의 생장과 대사산물 변화를 Soil-Plant-Atmosphere-Research (SPAR) 챔버와 온도구배하우스를 사용하여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온 조건의 SPAR 챔버 및 온도구배하우스에서 개화시기가 약 5∼9일 빨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온 조건은 감자 생장을 촉진하며 동화산물 함량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어 개화 3일 전(Days Before Flowering 3, DBF 3)과 개화 21일 후(Days After Flowering 21, DAF 21)의 엽록소, 카로티노이드, 당 및 전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생육 초기인 DBF 3에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감소하였고, 자당 및 전분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생육 후기인 DAF 21에는 자당 및 전분 함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화와 관련 있는 유전자 발현을 qRT-PCR로 분석한 결과, 고온 조건에서 SP6A, PhyB, SP5G, COL1, COL2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온 환경은 개화 전 감자 잎의 자당 및 전분 함량과 개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쳐 감자의 개화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수수를 대상으로 수수 주산지에서 취득한 무인기 기반 RGB영상에 Seg-Net과 U-Net모델을 작성 후, 일반화 가능성을 검토하여 실시간 재배지 파악에 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상북도 안동시의 수수 재배지 영상 264장을 이용해 모델학습을 진행하고, 충청북도 제천시 수수 재배지 영상 14장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U-Net의 학습은 14epoch, AccuracyC = 0.9426, LossC = 0.1593, Dice_coefC = 0.9223, AccuracyV = 0.6403, LossV = 1.9624, Dice_coefV = 0.6402에 4시간 37분이 소요되었으며, Seg-Net의 학습은 101epoch, AccuracyC = 0.6363, LossC = 0.6573, Dice_coefC = 0.5586, AccuracyV = 0.5711, LossV = 0.6785, Dice_coefV = 0.5586이며 1시간 55분이 소요되었다. Test결과 U-Net은 AccuracyT = 0.6806, LossT = 0.7180, Dice_coefT = 0.5558, Seg-Net은 AccuracyT = 0.7472, LossT = 0.5225, Dice_coefC = 0.6159로 나타났다. Seg-Net의 Calibration성능은 낮지만 일반화 성능이 뛰어나며, 모델의 빠른 학습 시간, 더 낮은 메모리 요구량으로 수수 재배지 분할에서 U-Net보다 효율적인 모델이라고 사료된다.
자연과 인간 활동을 결합한 치유농업은 현대 사회의 심리적·정서적 요구를 충족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2021년 「치유농업육성 및 연구개발에 관한 법률」의 제정 이후 치유농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국내 연구는 치유농업의 심리적·정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구체화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의 주요 영역인 원예치료에서 주요 치유 중재로 활용하는 작물재배활동, 특히 파종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상징적 ‘평행적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사회복귀를 준비 중인 수형자들이 참여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수집한 활동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경력과 성취, 가족 및 인간관계, 개인적 성장과 회복력, 신앙과 영성, 공동체 기여와 같은 삶의 주요 주제와 파종 활동 간의 상징적 유사성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파종 활동은 대상자들에게 자기 성찰과 정서적 통합의 기회를 제공하며, 사회적 재통합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유농업이 개인의 심리적 성장과 공동체 복귀를 지원하는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치유농업 이론의 심화와 실천적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Seeds of some barberry species have embryo with physiological dormancy that requires a cold stratification for germination. Berberis amurensis Rupr. is a native species of Japan, Korea, the Russian far east, and parts of China. This specific plant is important for its edible fruits and rhizomes with high medicine valu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ratification on germination and physiological change of B. amurensis. Seeds were placed on sterilized sand medium moistened with distilled water in 9 cm diameter petri dishes and stored at 4 and 25˚C for 0, 15, 30, 45 and 60 days. Each treatment had 40 seeds per replica, and three repetitions per treatment. Immediately after stratification, total phenolics contents (TPC) was analyzed and seeds incubated at 15/6˚C for 12 weeks. Warm stratific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ed forcing for germination than cold stratification treatment. At 25˚C for 60 days, stratified seed showed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25.7±4.3%) and germination started in 14 days of the stored period. Whereas TP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ed period. Contrastively, cold stratification had no effect on the germination ability. In the same way germination percentage of non-stratified seeds were also zero. The results confirmed that B. amurensis seeds were in a dormant state and warm stratification increased the germination ability by breaking of dorma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variations of leaves, flowers, and seeds of Quercus myrsinifolia Blume to understand its ecological adaptation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Jinju, Hapcheon, and Sancheong, and nine leaf traits, six flower traits, and five seed traits were analyzed. Significant regi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with Hapcheon exhibiting the largest leaf and flower sizes, while Sancheong showed the largest and heaviest seeds. Jinju recorded the smallest values for most trait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distinct regional groupings, with Hapcheon displaying intermediate traits, Sancheong larger traits, and Jinju smaller traits. Correlation analysis identified stro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leaf length and width, seed length and weight, and the number of staminate flowers and catkin width, highlighting key indicators for growth. Climate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morphological traits, with higher temperatures negatively affecting leaf and seed sizes, while precipitation show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Among soil factors, pH and magnesium content were closely related to morphological traits. pH exhibit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eaf length and petiole length, while magnesiu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 weight and leaf width.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significant rol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morphological variation and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regionally adaptive breeding strategies.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region-specific breeding strategies and cultivars for Q. myrsinifolia, contributing to ecological management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블루베리 재배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산림 부산물인 파쇄 잣구과를 멀칭 재료로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황 처리와 비교 분석하였다. 멀칭 무처리구와 잣구과, 잣구과+황, 황, 잣나무 잎을 멀칭 후 블루베리의 생장(수고, 잎 너비와 길이)과 생리 상태(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반응), 잎의 무기영양 상태, 토양 화학성(질소, 칼륨, 칼슘, pH, 유기물)을 분석하였다. 블루베리는 멀칭 처리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생장을 보였다. 잣구과와 황 멀칭 처리는 대조구 대비 수고 2.9배, 잎 너비 1.2배, 잎 길이 1.2배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함량도 증가하여 블루베리의 생리·생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잣구과 단용 처리구보다는 잣구과와 황 멀칭 처리구가 블루베리의 생리 상태가 양호하게 나타났으 며, 생장과 생리 특성 및 토양의 화학성이 개선되어 블루베리 재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면적의 장기적인 관찰을 통해 파쇄 잣구과 멀칭이 블루베리의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백두대간 줄기에 위치하며 산림청 지정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희양산의 관속식물상에 대해 조사하였다. 현지 조사는 2021년 4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조사 결과 총 447분류군 94과 268속 395종 9아종 37변종 6품종의 생육이 확인되었 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총 10종이 확인되었으며, 멸종위기종(CR)에 왕벚나무 1종(식재), 위기종(EN)에 두메닥나무 1종, 취약종(VU)에 꼬리진 달래 등 3종, 약관심종(LC)에 금강제비꽃등 5종이 포함되었다. 특히 두메닥나무는 국내 신분포지로 판단된다. 특산식물은 은꿩의다리, 청괴불나무 등 1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73분류군으로 IV등급에 6분류군, III등급에 21분류군, II등급에 21분류군, I등급에 25분류군 이 포함되었다. 이 결과는 향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인 본 조사지역의 지속적인 보전을 위한 보호대책 마련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환경오염과 자원 고갈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재생 가능하고 생분해가 가능한 바이오소재 개발이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의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꽝꽝나무(Ilex crenata Thunb.)를 대상으로, 발아 증진 및 순화재배 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대량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바이오소재로서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A3, KNO3, NH4NO3, KH2PO4, PEG와 같은 다양한 프라이밍 처리제를 이용하여 꽝꽝나무 종자의 발아 특성과 유묘 생육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KNO3 50 mM 처리구는 발아율을 99.0%까지 증가시키며 발아 과정을 가속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유묘 생육 및 단위면적당 수확량에서는 NH4NO3 200 mM 처리구가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질소의 두 가지 형태(NH4 +, NO3 -)를 동시에 제공하여 질소 대사를 극대화한 결과로 판단된다. 유묘활력지수(SVI) 또한 NH4NO3 200 mM 처리구에서 254.3±41.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대량 생산과 바이오소재 원료로의 활용에 적합한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발아 증진 기술 및 초기 생육 안정화를 통해 꽝꽝나무의 대량 재배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그린바이오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향후 다양한 재배 조건과 종자 특성에 따른 최적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원소재용 자생식물인 돈나무를 건전한 묘목으로 생산하기 위해 적정 차광비율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차광은 0%(T0), 55%(T55), 75%(T75)의 3수준으로 처리하였으며, 간장 및 근원경 생장, 엽 수, 바이오매스, 묘목품질지수(SQI), 엽록소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간장 생장과 바이오매스는 T75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지만(p ˂ 0.05), 근원경 생장과 엽 수는 처리 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 > 0.05). 묘목품질지수는 T75가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다른 두 처리에 비해 약 45% 이상 높았다. 엽록소 a와 b, a/b 비율, 총 엽록소 함량 모두 T75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다(p ˂ 0.05). 본 연구 결과로 돈나무는 T75에서 간장 생장, 바이오매스, 묘목품질지수, 엽록소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돈나무 묘목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fghanistan is a producer of high-quality pistachios among the top ten producers in the World. Nowadays, these edible nuts are losing their quality and quantity due to hemipteran insect infestation and their diversity during all growth phases in the country borderline. The expansion of the pistachio pest in Iran has caused concerns for Afghanistan, especially in the provinces of Herat, Badghis, and Takhar which are close to the Iran borders. Hence, this survey was initiated to primarily detect the phytophagous insect pest presence in the pistachio open forest areas and to know what management tools were effectively used in alleviation of the pest infestation. Our findings indicated that galling aphids, aphids, thrips, and root beetles received the maximum positive responses in the Herat province, but psyllids, aphids, root beetles, leave miners, fruit borers and thrips received the highest responses in Badghis province. In addition, Takhar province depicted plant bugs, twig borer moths, galling aphids, leaf miners, and leafhoppers got the most positive responses accordingly. In the meantime, the data showed that management outcomes were not satisfactory despite the use of sanitation, cultural practices, and chemical application. The surve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pest and in the application of pest control methods among the survey regions. Finally,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strategy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order to stop the phytophagous insects from turning into actual pests. This will reduce the pistachio loss annually and improve the nut culture quality in Afghanistan.
현재 국내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는 209종의 수록 화학염색한지의 색상과 색 특성을 조사하고, 2개사로 부터 오방색과 오방간색과 유사한 화학염색한지의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국내 화학염색한지는 먼셀의 10색상이 모두 있었으며, R과 YR 계열 색상이 각각 17 %로 가장 많았고, 이어 Y (15 %), RP (13 %), PB (11 %), GY (10 %), P (5 %), G (5 %), B (3 %), BG (3 %) 계열의 순으로 청색계열의 색상이 가장 적었다. R, YR, G, B, RP 계열의 화학염색한지는 각 계열의 거의 모든 색상의 한지가 제조되고 있었으나, BG, PB, P계열 화학염색한지 의 색상범위는 다른 색상의 화학염색한지 보다 좁았다. 2개사의 오방색과 오방간색 화학염색한지에 대하여 72시간 자외선 조사처리에 의한 색 견뢰도를 평가하였다. 72시간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상이 변한 것은 B사의 자색 화학염색한지의 색상이 9.9RP에서 1.1R로 변한 것 외에는 없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의 화학염색한지에 대해 72시간 자외선 조사 후의 색차는 황색(btY) >> 벽색(btB), 유황색(mY) > 녹색(myG), 홍색(vpR), 자색(dpR) > 적색(srO) > 청색(sB) > 흑색(Bk), 백색(미염색한지 : Wh)의 순이었다. 오방색과 오방간색으로 화학염색한 한지안에서의 색 견뢰도는 황색이 가장 좋지 않으며, 흑색과 백색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분야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림기능구분도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산주, 공무원, 임업 분야 종사자, 연구원으로, 이들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활용 현황 및 개편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성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제도나 지침에 따른 형식적 경영계획 수립을 지양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산림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 및 단순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생활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보전기능과 수원함양기능이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경관 제공,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 산림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기능은 추가적 고려 및 강조가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기능구분도의 개편 및 중장기 산림 관리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현재의 표고버섯 시장 및 수급상황과 신선 표고버섯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 접종배지의 영향력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에 사용한 자료의 시간적 범위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도별 시계열자료이다. 분석방법은 전대수를 적용한 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수요의 가격 탄성치는 –1.10%로 나타나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수요량은 1.10% 감소하였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비탄력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선 표고버섯 가격이 1% 증가할 때 공급량은 0.33%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차별성은 톱밥접종배지가 공급량에 미치는 영향과 최근의 소비시장의 상황을 반영한 모형을 추정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신선 표고버섯의 원산지 변경에 따른 경제적 효과분석과 톱밥접종배지 생산자에 대한 지원 정책 개발을 위한 정책실험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분포하고 있는 22개 오름의 식물상 자료를 활용하여 식물 생육형별 종풍부도에 대한 경관(오름 면적, 오름 높이, 오름 임상 다양성, 500m 내 녹지 면적) 및 환경인자(기후인자, 토양인자)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2개의 오름에서 총 153과, 486속, 870종의 식물이 관찰되었으며, 각 오름 내 종수를 활용하여 생육형별 종풍부도를 산출하였다. 식물의 생육형별 종풍부도의 제어인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모형추론법과 일반최소자승법을 수행했다. 그 결과, 오름 내 식물의 종풍부도를 제어하는 주요인자는 오름 면적, 높이 및 임상 다양성과 기후인자로 나타났다. 반면, 경관적 연결성을 대변하는 오름으로부터 500m 내 녹지의 면적과 토양인자는 종풍부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면적 관계 이론에 기반한 면적효과와 서식지 이질성 효과의 증가는 균등한 자원분배와 다양한 서식지 유형을 야기하여 식물의 종풍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기온 감소와 강수량 증가는 식물의 수분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종풍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기온 및 강수량에 따른 강한 환경 여과 효과는 이러한 기후조건에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토양인자와 분산 여과 효과정도를 대변하는 500m 내 녹지 면적의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면적이 작고 서식지 유형이 단순한 오름은 종의 멸종과 개체수 감소에 대한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오름 내 서식지 이질성을 높이거나 환경에 적합한 식물종을 도입하는 등 경관 및 환경인자를 고려한 구체적인 관리전략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Fetal Bovine Serum (FBS) plays a crucial role in animal cell culture; however, the increasing number of bovine fetuses used and sacrificed solely for FBS collection has raised ethical concerns globally. The welfare of fetuses during FBS blood collection has become a key focus of debate among animal welfare and ethics organizations worldwide.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heat-inactivated coelomic fluid (HI-CF) from the earthworm Perionyx excavatus may serve as a viable FBS alternative in adherent cell cultures. This study evaluates the potential of HI-CF as an FBS substitute during the in vitro maturation (IVM) stage of bovine embryo culture, with a focus on improving developmental rate through antioxidation effects. In this study, 2% HI-CF was incorporated into IVM media, assessing its impact on cell growth,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antioxidation. The group of 2% of HI-CF exhibited a trend toward increased cleavage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antioxidant genes such as NRF2 and GS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a trend toward increased expression was observed. Conversely, GPX1 displayed a trend of decreased expression. Notably, IGF1 and NQO1 were significant upregulated (p < 0.05) in the 2% HI-CF group. Additionally, oocytes stained with H2DCFDA showed a significantly reduced ROS levels (p < 0.05) in the 2% HI-CF group compared with contro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I-CF's antioxidative effects support enhanced cell growth and blastocyst development rate, surpassing those observed with FBS. Consequently, HI-CF shows promise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FBS in vitro maturation of bovine oocytes.
This study examined the feeding behavior and growth performance of 31 Hanwoo steers (10 months old; 278 ± 36.13 kg) within a precision livestock farming system using Roughage Intake Control (RIC) units for real-time data collection. Feeding behavior traits were derived from RIC database data using R software, with subsequent analysis conducted using SAS softwa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eers visited the feed stations every 31.12 ± 11.99 minutes, averaging 11 ± 3.37 visits/day. Each feeding session lasted an average of 5.90 ± 1.55 minutes, resulting in a feed intake rate of 77.98 ± 22.53 g/min. Mean daily feed intake was 4.76 ± 1.36 kg, and body weight increased consistently, reaching an average of 412 ± 43.44 kg, with an average daily gain (ADG) of 1.26 ± 0.38 k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visit duration (r² = 0.621; p < 0.01) a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daily feed intake and feed intake duration (r² = −0.445; p < 0.05), indicating behavioral adapt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feeding behavior traits concerning growth performance,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individual animal behavior and its implications for productivity while emphasizing the role of advanced technologies in optimizing feed utilization in confined livestock systems.
산화적 스트레스는 활성산소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만성퇴행성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 덖음 꽃차 8종 추출물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radical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 중에서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LO), 산수유(Cornus officinalis, CO) 및 카모마일(Matrecaria chamomilla) 꽃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0.21, 13.39, 12.39 mg gallic acid equivalent/g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LO, CO, 및 매화(Prunus mume) 꽃차 순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8종의 식용 꽃차 에탄올 추출물은 10,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및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특히, LO와 CO 꽃차 추출물은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100 μg/mL 농도에서 CO, LO, 및 목련(Magnolia kobus) 꽃차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70% 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우수한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식용 덖음 꽃차는 radical 소거 활성 및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다른 꽃차 추출물에 비해 LO와 CO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radical 소거능이 우수하여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를 활용한 인력파종 및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를 활용한 기계파종을 비교하여 강원도 고랭지 지역의 여름감자 파종작업에 대한 작업효율 및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작업효율은 일정 면적을 파종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도출하였다. 동일한 작업효율을 가지는 조건에서 인력파종 및 기계파종의 연간 고정비와 연간 유동비를 산출하여 각 파종작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고정비로는 감가상각비, 이자 및 수리비를, 유동비로는 인건비와 유류비를 고려하였다. 또한, 총비용 소요 분석을 통해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가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 대비 경제성이 높아지는 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기계파종이 인력파종 대비 약 4.6배 높은 작업효율을 보였으며 파종률은 두 방식에서 모두 100%로 나타났다. 경제성의 경우 구매 비용은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가 높았으나, 인건비 측면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보였다. 이에 따라 4년 9개월 이후부터 트랙터 부착형 파종기의 총 소요비용이 수동식 감자 파종기구의 총 소요비용 대비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계파종이 인력파종 대비 생력화 효과가 크며 경제성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콩은 높은 단백질 함량과 다양한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식품 및 사료 산업에 필수적인 작물이다. 그러나 농촌 인구의 고령화와 저렴한 수입 콩으로 인해 국내 콩 생산량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농업 기계 기술의 발전이 필수적이며, 특히 콩수확기의 선별 메커니즘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CFD-DEM 결합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콩수확기의 선별장치 내의 유동 역학과 입자 움직임을 분석하여 선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한 진풍 콩(Glycine max (L.) Merrill) 품종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선별장치는 콩, 콩대, 줄기를 분리하여 콩알만 수집하도록 설계되었다. 실험 중에는 콩 줄기를 균일하게 투입하여 분리율과 수집률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동 분석을 위해 표준 k-ε 난류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CFD-DEM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선별 장치 내의 내부 유동과 입자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추가로 CFD 분석 결과를 DEM 시뮬레이션에 활용하여 Ganser 항력 모델을 적용하여 콩과 콩대의 분리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CFD-DEM 결합 시뮬레이션을 통해 콩수확기의 선별 장치 성능을 평가하고 최적의 팬 회전속도를 결정하였다. 실험에서 팬 회전속도는 각각 900 rpm, 1,000 rpm, 1,100 rpm, 1,200 rpm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선별장치에서 측정한 풍구 회전 시의 공기 유속과 시뮬레이션 에서 팬 회전으로 발생한 공기 유속 간의 RMSE 값은 0.64 m/s에서 1.12 m/s로 나타났다. 풍구 회전수에 대한 콩의 수집률을 시뮬레이션 결과 풍구 회전수가 증가할수록 수집률이 감소했으며, 900 rpm일 때 최대 94.08%의 수집률을 보였다. 콩대와 콩줄기 분리율의 경우 900 rpm과 1,000 rpm에서 55%~60%로 낮은 효율을 보였다. 1,100 rpm에서 86.38%, 1,200 rpm일 때 86.14%의 분리율이 측정되었다. 콩 수집률과 콩대 분리율 모두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려면, 풍구 회전수는 1,100 rpm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