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기능구분 개편을 위한 산림분야 관계자 의식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Forestry Stakeholders Perceptions on the Reorganization of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3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산림 분야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림기능구분도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산주, 공무원, 임업 분야 종사자, 연구원으로, 이들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활용 현황 및 개편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성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제도나 지침에 따른 형식적 경영계획 수립을 지양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산림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 및 단순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생활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보전기능과 수원함양기능이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경관 제공,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 산림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기능은 추가적 고려 및 강조가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기능구분도의 개편 및 중장기 산림 관리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and effective improvements to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map based on a survey of stakeholders in the forestry sector. The study surveyed forest owners, government officials, forestry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f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its current utilization, and the need for revi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he ut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classification map requires moving away from rigid management plans driven by existing policies or guidelines. Instead, adopting field-oriented and customize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is necessary. Regarding the need for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the function of living environment conservation received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water supply, which were rated equally. Additionally, functions such as landscape provision, greenhouse gas absorption and storage, forest recrea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were identified as areas needing further emphasi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map and the formulation of long-term forest management strategie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설문조사
    2. 자료분석
결과 및 고찰
    1. 응답자 특성
    2.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3.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
    4. 산림기능구분 개편 필요성
References
저자
  • 손은희(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생) | Eun Hee Son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Jinju 52828, Korea)
  • 성호진(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대학원생) | Ho Jin Seo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Jinju 52828, Korea)
  • 송정은(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센터장) | Jung Eun Song (Director of the Cent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Daejeon 35262, Korea)
  • 노영희(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연구원) | Young Hee Roh (Research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Daejeon 35262, Korea)
  • 박윤선(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연구본부 연구원) | Yun Seon Park (Research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Daejeon 35262, Korea)
  • 김형호(경상국립대학교 산림자원학과 교수 /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Hyung Ho Kim (Professor,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