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요양보호사의 우울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 서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삶의 질 과 직무 준비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G시 소재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예비요양보호사 241명 을 대상으로 임의표집하여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다. 연구기간은 2025년 1월부터 2025년 2월까지(약 2개월) 진 행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window version 25.0과 PROCESS macro version 3.5.3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예비요양보호사의 우울, 생활만족도, 사회적 배제 수준은 평 균 이상이었다. 둘째, 이 세 변수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PROCESS macro Model 1을 활용한 조절효과 분석 결 과, 사회적 배제는 우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수준 이하에서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이는 사회적 배제가 우울의 영향을 조절하여 중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에듀테크 시대에 접어들면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학습 방식이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기반 애플리케이션 을 활용한 학습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습 효율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공명영상학 학습에서 모바일 기반 애플리 케이션 사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학습 효과, 학습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자기공명영 상학을 수강한 2, 3학년 학생 70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24일부터 29일까지 수업 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퀴즈 활동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평균 점수는 4.58±0.66, 학습 효과는 4.61±0.62, 학습 만족도는 4.58±0.65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활용 전후 비교 분석에서 인식 (활용 전 3.62±0.97, 활용 후 4.58±0.66), 학습 효과(활용 전 3.60±0.92, 활용 후 4.61±0.62), 학습 만족도(활용 전 3.64±0.93, 활용 후 4.58±0.6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러한 결과는 자기공명영상학 교육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학습자의 참여도, 이해도, 만족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기공명영상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도 애플리케이션 기반 학습이 유용한 교육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교육 및 임상 실습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기대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령화 사회에 따라 길어진 노년기의 여 가 활용이 중요 문제로 인식되면서, 퇴직 이후 길어진 노년기 를 어떻게 의미 있고 가치 있게 보내며, 노년기 역할 상실감을 완화 시킬 수 있는 노인 여가 복지시설 중 여가 활동 장소로 대부분 이용되고 있는 경로당 이용에 따른 생활 만족도를 고찰 하여 노년기의 생활의 지표인 생활 만족도를 높여 노후를 풍요 롭게 보낼 수 있는 노인복지 정책을 제시하는 자료 제공에 기 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역할 소외 및 상실에 따른 대체 적 역할로서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여 생활 만족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는 활동이론에 따라 경로당 이용성취가 노인의 생 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서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108명을 대 상으로 2024년 10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설문조사를 임의표집 방법에 따라 자기 보고식, 문답식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여 불 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100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유의수준은 p< .05로 설정하여 기술 분석(Descriptive Analysis), t-test, 상관분 석, 및 단순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건강 상태, 소득수준 은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통제 변수로 하여 활동 변수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시 행하였다. 그 결과, 활동 변수에서 직업 유무는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가구 형태와 경로당 이용성취는 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통제 변수로 하여 경로당 이용 수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로당 이용 기간, 이용 시간, 프로그램 내용, 참여동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경로당 이용 만족도 는 생활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마지막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활동 변수, 경로당 이용 변 수가 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위계적 회귀분석 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성을 보였다. 생활 만족도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t 값이 유의확률 p< .05로 생활 만족도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로당 이용 변수는 이용 기간, 참여동기, 이용 만족도의 t 값이 유의확률 p<. 05로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활동 변수인 가구 형태, 경로당 이용 성취와 경로당 이용 변수인 이용 기간, 참여 동기, 이용 만족도 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경로당 이용 변수는 부분적으로 조절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결 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이 역할 소외 및 상실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경로당 이용성취가 생활 만족도에 영향 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경로당 이용을 통한 성취 내용이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기회로 생활 만족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며 향후 노인의 생활 만족도를 증진하기 위해 경로당을 활성화하는 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정부와 지역단체들은 지속적인 노력과 지원으로 노인의 생활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을 찾아 노인 의 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의 방안을 모색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은 경로당 이용 노인의 프로그램만족과 여가유 능감, 자아탄력성 간의 영향, 그리고 프로그램만족과 자아탄력 성의 관계에서 여가유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경로당 기능 강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에 거주하는 경로당 이용 노인 35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경로 당별 면접 조사를 하였다. 설문자료를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 뢰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경로당프 로그램 참여 노인의 여가유능감은 하위변인인 사회적 유능감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신체적 유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는 경로당에서 동년배 노인들 간의 원활한 정서적 교류가 긍정 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며, 노화에 따른 신체적 특성에 적절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또 경로당 프로그램만족은 여가유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경로당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최적의 각성과 재미를 얻게 되면 여가유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 히, 여가유능감이 경로당 프로그램만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서 완전매개 하는 구체적인 간접경로가 새롭게 드러났다. 이에 여가유능감 제고의 실천적 방안을 통하여 노년기 일상의 내적· 외적 스트레스를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대처하는 능력인 자아 탄력성과 노인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언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 기 위해 의사결정나무모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는 경 상북도 내 중학교 5개교에 재학 중인 1,71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부모양육태도, 교사와의 관계, 친구관계, 사회정서역량 등을 주 요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은 SPSS 28.0과 Stata 16.0을 활용하 여 이루어졌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 로지스틱 회 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의사결정나무모형에서는 사회정서역 량 중 자기인식(자기개념)이 삶의 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 었으며, 부모양육태도 중 따뜻함과 자율지지, 친구관계, 그리고 자기관리 (목표관리)와 (정서조절)도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로지스 틱 회귀분석에서는 부모양육태도(따뜻함(OR=1.700), 자율지지(OR=1.549)), 교사와의 관계(OR=1.508), 친구관계(OR=1.893), 사회정서역량 중 자기인 식(자기개념)(OR=1.646)과 자기관리(정서조절(OR=1.365), 목표관리(OR=1.279)) 가 삶의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삶의 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정과 학교에서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및 사회 정서역량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교육적·정책적 개입 방안 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연령대를 포함한 종단적 연 구를 통해 보다 일반화된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target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e., a bus-type rural transportation model, that has recently been activated to target public transportation-vulnerable areas in urban-rural integrated cities, and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travel time and service factors on user satisfaction with the transportation mode.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a field survey of 449 passengers regarding their usage status and satisfaction with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n rural areas across the country. As access and travel times increased, bus user satisfaction decreased. Particularly, access time was approximately 1.6 times more important than travel time. Meanwhile, satisfaction with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was found to increase as drivers were kind and drove safely, vehicles were convenient and ran on time, lines and stops were appropriate, fares were satisfactory, and information on schedules and how to use them was available. Among these service elements, the kindness of the driver was analyz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is suggests that to activat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considering the selection of pick-up and drop-off locations to reduce access time an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kindness of drivers is important. The essential flexible schedul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can be activated only when an operating environment is created that reduces access time and in-vehicle travel time.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revitalize the use of demand-responsive smart mobility if it operates on a fixed route and schedules similar to those of existing buses.
이 연구는 육군 지휘관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육 군 리더십코칭을 받은 지휘관 74명을 대상으로 리더십코칭의 효과 및 만족 도에 대해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 설문은 이끌기, 리더다움, 품성, 역 량개발, 군사 전문성, 성과달성 6개 분야로 측정하였으며, 만족도는 코치 적극성, 코칭 필요성,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5개 분야로 측정하였다. 설문자료는 일표본 T검정, Kruskal-Wallis 일원배치분 산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사 전문성과 성과달성 측면에서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진단문항 적절성, 코칭기법 적절성, 코치 전문성 측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위한 발전방안으로 코치 전문성 향상, 다양한 리더십 성향을 고려 한 코칭, 코칭 대상 계급 재검토, 리더십코칭 계량화 및 코치인력 다양화 등 4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육군 리더십코칭의 질적향상과 지휘관들의 리더십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군 전투력이 한층 더 높아질 것 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축제에 참여한 관람객이 원하는 다양한 체험과 주 관적인 견해인 지각된 가치가 관람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하고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 째, 체험요소는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지각된 가치는 관람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째, 체험요소와 관람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체험요소가 지각된 가치를 증가시켜 관람만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 라서 다채로운 체험을 통해 받게 되는 자극이 관람객에게 강한 영향을 주고 매력적으로 판단하여 공연 관람만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이를 통해 축제 운영자들에게 관람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축제의 효과적인 운영과 성장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 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이용 자의 서비스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 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와 이 용자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료는 SPSS 26.0 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 만족은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우리 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서비스 품질이 서비스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용자의 서비스 효과성 관계에서 서비스 품질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서울형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서비 스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종사자의 직무환경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특성 을 고려한 서비스 개선에 대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취업 중인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역량과 사업체 지원이 취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취업 사업체 유형별로 비교하여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2023 년 발달장애인의 일과 삶 실태조사’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 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취업 중인 발달장애인 814명이며, 사업체 유형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 표준사업장, 정부재정 공공일자리, 민간 사 업체 등 네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적 역량과 사업체 지원이 취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 장애인의 직업적 역량과 사업체 지원이 취업만족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 다. 둘째, 사업체 유형별로 취업만족도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발달장애인의 취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먼저, 학습자 수업참여(인지, 정서, 행동)와 수업만족도 의 인과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는 다차원 학습자 수업참여와 수업만 족도 간의 관계에 있어 학습자 수업참여의 어떤 하위변수들이 팀 학습활 동의 매개효과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는 다차원 학습자 수업참여가 팀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팀 내 상호작용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K대학 응용화학 과 학생을 대상으로 98개의 설문을 통하여 빈도분석, 각 변수들의 척도 와 신뢰도 분석 그리고 각 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요인 분석 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수별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가설 검증은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하였 다. 연구결과는 첫째, 행동적 수업참여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팀 학습활동은 행동적 수업참여와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 내 상호작용은 인지와 정 서적 수업참여와 팀 학습활동 간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높은 수준의 팀 내 상호작용이 이루어진 다면 학습자 수업참여가 팀 학습활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커진 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의 메이크업 행동이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 H시에 거주하는 60-80 대 여성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1일부터 약 5개월간에 걸쳐 설문조사가 진행하였으며, 회수된 272부 중 불성실한 응답 19부를 제외하고 총 253부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크업 행동 중 동조성, 심미성, 흥미성, 예의성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 행동 중 동조성, 심미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만족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만족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이크업 행동과 심리적 만족감의 관계 에서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적으로 여성 노 인의 메이크업 행동은 필수적인 자기관리 행위이며, 외모의 변화를 통해 노화 스트레스를 없애고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여성노인의 메이크업 행동은 여성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나 편견을 감소시켜주는 동시에 여성 노인의 자존감을 높여주는데 중요한 방안으로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교과목이 아닌, 기초학문과 지역사회의 필요를 연계하는 방식 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이라는 교양 교과목을 선택하여, 실생 활에 접근해 있는 스마트 폰 활용 교육이라는 학습 주제로 노인대학, 장애 기관 등 협력하여 서비스 러닝 활동을 진행하였다. 대학 교양 과목 강의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의 연구가설을 구축하여 서비스러 닝 기반 교과목 교수법 확대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을 통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만족도는 추천과 확대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러닝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 봉사 활동이 자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중요한 요 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봉사활동 시간이 적절한 경우, 학생들 은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보다도 서비스 러닝 교수법이 적용된 교과목을 후배들에 게 추천하고 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 족한 학생들은 서비스 러닝 교수법의 확대 적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 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보육서비스 질을 향상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실천적 방 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육교사가 인지한 어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직무스트레스가 매개변수로 작 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어 린이집 원장의 진성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사 회적지지를 통해 보육교사의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직 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보육에 전념함으로써 보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성 주민에 대한 안면마사지 서비스 품질이 관 리 효과와 관리 만족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 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 거주 경로당 이용 여성 주민을 대상으로 2024년 09월 10일부터 2024년 10월 10일까지 최종 2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수거하여 SPSS 25.0과 AMOS 25.0을 프로 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노화로 인해 보이지 않는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자 아 존중감이 약화 된 노인 여성에게 안면마사지 프로그램은 그 건강성과 역동성을 회복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고 자아 존중감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나아가 성 공적인 노화 및 안면 개선을 통해 적극적인 인간관계 개선 및 삶 의 질에 매우 도움이 된다는 효과적인 모델로 제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immersion, satisfaction, and confidence in nursing competence after simulation practice.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administered to 138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using SPSS/WIN 27.0. Results: Immersion, satisfaction, confidence, and nursing competence scored 85% of the overall scores. Nursing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mmersi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nly immer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competence, explaining 55.8% of variance. Conclusion: The level of immersion must be increased to enhance nursing competence in simul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mmersion on nursing competencies.
본 연구는 산림 분야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산림기능구분도의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산주, 공무원, 임업 분야 종사자, 연구원으로, 이들의 산림기능구분에 대한 인식, 활용 현황 및 개편 필요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산림기능구분도의 활용성과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기존 제도나 지침에 따른 형식적 경영계획 수립을 지양하고, 현장 중심의 맞춤형 산림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특히, 통합 및 단순화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생활환경보전기능이 가장 높은 응답 비율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자연환경보전기능과 수원함양기능이 동일한 비중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림경관 제공, 온실가스 흡수 및 저장, 산림휴양, 생물다양성 보전과 같은 기능은 추가적 고려 및 강조가 필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산림기능구분도의 개편 및 중장기 산림 관리 방향 설정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is mixed method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nd experiences among users of a general health checkup center. Methods: A total of 152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o assess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levels. Additionally, 11 participant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o determine their pre-checkup anxiety and post-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s.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whil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anxiety scores were 2.80±2.24 on the Visual Analog Scale for Anxiety and 44.06±9.55 on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ale. Education level w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AI scores. Participants with a college education or higher had significantly lower STAI scores(p<.005), indic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 levels and lower STAI scores. The mean nursing satisfaction score was 36.49±8.84, with male participants reporting higher nursing satisfaction levels. The pre-health checkup anxiety experience included three themes: “contrasting expectations about checkup results,” “various emotions felt during the checkup process,” and “physical and mental reactions.” The health checkup nursing satisfaction experience included four themes: “satisfaction with nurses’ support and care,” “comfort during the checkup process,” “dissatisfaction due to nurses’ habitual responses,” and “expectations for nurses’ emotional support and communication.” Conclusion: Providing comprehensive nursing information is essential to reduce user anxiety and improve nursing satisfaction. Moreover,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etaversing, into information delivery can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better address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checkup users.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에서 기업들이 살아남기 위한 효율적인 경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업은 미래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으면서, 반대로 경기침체의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한 비용 절감도 필요한 상충적인 상황에 놓여있다. 그에 따라 미래를 위한 투자의 일환으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여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구성원들의 교육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형식교육과 더불어 무형식학습에 의한 교육이 중요하며, 이러한 경향에 따라 무형식학습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형식학습을 통해 기업 특유의 기술에 대한 역량이 높아진 구성원은 직무수행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자기효능감이 증가하여 직무에 대한 만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구성원의 인재우대 인식으로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 구성원이 조직의 인 재우대를 높게 인식하고 있다면, 제도의 수용성이 높아지고 이는 무형식학습의 효과성을 높여 직무만족 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형식학습 참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고, 이 관계가 인재우대 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무형식학습과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서 인재우대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 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매개효과가 인재우대 인식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 펴보도록 한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인적자본기업패널 2020년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료분석 결과 첫째, 무형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둘째, 무형 식학습 참여는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무형식학습 참 여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의 관계는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정적인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무형식학습 참여가 무형식학습 효과성 인식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인재우대 인식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 한 연구결과를 통해 무형식학습의 실행과 효과에 대해 고민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구성원의 직장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직장만족도에 영향 을 주는 선행요인과 이직의도를 초래하는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관리자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직구성원의 직장만족도에 따른 잠재프로파 일은 총 5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직장만족도 유형과 개인 및 조직 특성간의 관계에서는 배우자가 있을 경우 직장만족도가 낮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상사지원 및 최고경영자 지원이 높을수록 직장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만족도 유형과 이직의 도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장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 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만족도 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관점에서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구 연구 방향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