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습동기조절전략 군집에 따른 대학생 성공과 삶의 만족도 차이 분석 연구 KCI 등재

Analysis of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y clust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유형을 분 류하고, 이러한 유형에 따른 대학생 성공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G시 소재 대학 보건계열 학과(간호학과, 응급구조학과,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학습동기조절 전략 척도, 대학생 성공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군집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등을 통 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조절전략에 따라 '소극적 조절집단 (25.6%)', '중간 조절집단(39.6%)', '적극적 조절집단(34.8%)'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적극적 조절집단은 모든 전략에서 높은 점수를 보 였으며, 특히 사회적 인정/외적 보상 추구, 부모(교사)기대에 대한 보답, 공부에 대한 의무 등의 자기조절 전략에서 두드러진 활용 수준을 보였 다. 이러한 학습동기조절전략의 유형에 따라 대학생 성공의 모든 하위요 인과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건계 열 대학생의 학습동기조절전략이 학업적 성취를 넘어 대학생활의 다양한 측면에서의 성공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 한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types of learning motivation regulation strategies among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se types.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health-related majors (nursing, paramedicine, and dental hygiene) at a university in G city using the Korean Learning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cale, College Student Success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passive regulation group (25.6%), moderate regulation group (39.6%), and active regulation group (34.8%). These types of self-regulation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scales of college success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습동기조절전략
    2. 대학생 성공
    3. 삶의 만족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학습동기조절전략 하위요인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
    3. 각 군집별 대학생성공, 삶의 만족도 차이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1. 결론
    2.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정선(광주보건대학교) | Jeongsun Kim (Gwangju Health University)
  • 류정희(전남대학교) | Jeonghee Ly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