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지속가능경영융합(구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KCI 등재후보 Journal of Convergence Sustainability Management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18권 3호 (2025년 9월) 15

1.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부모교육 강사들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를 내러티브 탐구 방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부모교육 강사로 살아온 삶의 과정을 시간, 공간의 흐름에 따라 이야기로 재구성하여 부모교육 강사들이 부모, 교육자로서 자신의 정체 성을 어떻게 형성하고 전문성을 발달시켜 나앖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 중단 없이 부모교육 강사로 활발히 활동하며 동료들과 수강생 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은 3인의 부모교육 강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 료수집은 2024년 5월 2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이루어졌고 인터뷰, E-mail, 일기, 메 모 등을 주요 현장 텍스트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교육 강사의 전문성 발달 경험의 의미는 <실패 경험, 성장의 동력이 되다>, <부모역할 변화로 깊어진 강의>, <실천적 지식, 강의에 스며들다>, <배움의 여정, 끝없이 펼쳐진 길>, <정성으로 빚어 낸 나만의 강의> 등 다섯 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교육 강사 로서의 전문성 발달 경험은 교육현장에서 겪은 실패와 좌절을 성장의 자양분으로 삼 아 다시 도약하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자신의 부모역할 변화와 끊임없는 배움을 통해 독자적인 교육콘텐츠를 개발한 실천형 교육자로 성장해 나가는 삶의 여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800원
2.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 공동체의 붕괴와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 마을기업이 주 목받고 있다 특히 년 마을기업육성 및 . 2025 「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마 을기업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실효성 있는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구 체적 방안은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마을기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 률」에 근거하여 마을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 원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법률 조문 분석, 정책 문헌 및 선행연구 검 토,, 국내외 유사 정책 사례 비교를 통해 마을기업 지원 정책의 현황과 과제를 진단 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마을기업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는 법률 기반의 통합지원체계 구축, 중간지원조직의 전문성 강화, 단계별 맞춤형 교 육 및 컨설팅 제공, 지역 특성에 기반한 사업모델 개발, 그리고 지속가능성 중심의 성과관리 체계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을기업육성 및 지원 에 관한 법률」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마을기 업 정책의 체계적 운영과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4,000원
3.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영구 화장은 미용 산업에서 독립적인 전문 분야로 성장해 앖으나, 기존 연구는 기술적 요소와 소비자 만족도에 치우쳐 제도·위생·교육 등 공공적 의제와 질적 접근 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산업의 확대와 더불어 문신사 합법화 등 제도 환경 변화가 논의되는 현시점에서, 국내 연구 동향에 대한 체계적 검토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2005–2024년 국내 반영구 화장 관련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경향 을 파악하고, 학문적·산업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학술 논문 및 학위논문 256편을 수집한 뒤 PRISMA 2020 지침을 준용하여 최종 152편 을 선정하였고, 질적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방법·시기 분포를 범주화하고 교차 분석 하였다. 주제 분포는 소비자 인식·만족 31.58%, 시술 기법·기술적 특성 27.63%, 위 생·감염관리 14.47%, 정책·제도 13.16%, 교육·자격 13.16%로 나타났으며, 앞의 두 범주 합계는 59.21%였다. 특히 제도적 기반(위생·정책·교육) 묶음의 합계는 40.79% 로 확인되어, 기술·소비자 중심 연구와 더불어 구조·제도 축의 중요성도 뚜렷하게 드 러났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설문 중심의 정량 설계가 우세했으며, 질적 연구와 장기· 지역 다변화는 제한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반영구 화장 연구가 기술 중심을 넘어 소비자 인식의 심화와 제도 기반(위생·정책·교육)의 강화를 축으로 한 혼합방법적 전 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4,600원
4.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를 파악하고, 참가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몰입의 참가동기와 재방문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축제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95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축제 참가동기를 도출하였고, 구성요소는 친교성, 일탈성, 체험성, 신기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참가동기요인 중에서 체험성, 신기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요인 중에서 체험성(β=.299)이 재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축제 참가자들이 춘제 공연의 관람 접근성을 쉽게 하고, 축제가 개최되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하고, 축제 관련 식음료를 체험하고 직접 요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관공몰입은 축제 참가동기 중에서 체험성과 신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제 참가자가 축제에 집중할 수 있꼬, 축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며, 축제의 주제와 목표를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내용으로 구성하여 참가자의 관광몰입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지역의 축제에 대한 시계열분석, 심층면접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한 마케팅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5,200원
5.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물리적·화학적 미용 시술 과정에서 모발 보호를 위한 기능수의 효과를 규명하고, 특히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저분자수의 효용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 었다. 이를 위해 버진 모발에 염색, 탈색, 퍼머넌트 등의 시술을 실시한 후, 정제수, 미네랄수, 저분자 정제수, 저분자 미네랄수를 각각 적용하여 세척하였다. 이후 미네 랄 성분 분석, pH 측정, 표면 원소 및 거칠기 관찰, 모표피 구조 및 미세구조 분석, 모발 굵기와 인장강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저분자 미네랄수는 정제수 대 비 Ca, Mg, Na, S 등 주요 무기질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네 가지 물 의 pH는 7.21~7.29 범위로 모두 중성에 가까워 화장품 원료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표면 원소 분석에서는 저분자 미네랄수로 세척한 경우, S 성분의 비율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표면 거칠기와 모표피 손상 정도가 상대적으로 적 게 관찰되었다. 더불어 모발 굵기와 인장강도 측정에서도 저분자 미네랄수 처리군이 우수한 보존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저분자 미네랄수가 물리적·화학적 시술 후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기능수임을 시사 한다. 따라서 미용 시술 후 모발 관리뿐만 아니라 화장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5,200원
6.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내재적 메커니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델을 적용하여 설 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관련된 연구를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서비스 기업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 집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서비스 기업 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 간 대부 분의 가설은 지지되었다. 서비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의 지각된 따뜻 함, 지각된 유능함, 기업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고정관념 내용 모형을 적용하여 설 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관련 연구와 서비스 기업에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4,800원
7.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속눈썹 미용 시술의 소비자 피해 양상과 이를 유발하는 제도적 한계를 규명하고, 자격 기준과 법제 분석을 중심으로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중위생관리법」, 국가기술자격제도, 시술 제품 안전관리, 소비 자 피해 구제 절차, 행정 단속 체계 등 시술 전 과정에 걸친 국내 법령 및 정책 환 경을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행 제도는 자격 기준의 불명확성, 위생관리 세부 규정 부재, 제품 안정성 관리 미흡, 피해 구제 절차의 한계, 행정 집 행 실효성 부족 등 다양한 취약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도적 허점은 무자격 시술, 비위생적 환경, 미인증 제품 사용 등으로 이어져 소비자 피해 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속눈썹 미용 시술의 특수성을 반영한 자격 기준 강화, 위생관리 규정의 세분화, 제품 안전성 관 리의 전 과정 관리, 전문 조정 절차를 포함한 피해 구제 제도의 개선, 단계적·차등적 규제 도입 등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적·미용학적 관점에 치중 한 기존 연구와 달리 법제·행정·시장 구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 가 있으며, 후속 연구에서는 시술자·소비자·감독기관을 포함한 실증자료를 수집하고, 주요 해외 국가의 규제 모델과 비교함으로써 국내 제도의 국제적 정합성과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4,900원
8.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와 경제 수준의 향상, 그리고 식품 제조, 포장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50대 전후로 진 행되는 갱년기 시기에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는 장 기능의 저하로 인 하여 장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장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성인남녀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변수들 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태도(남성 3.74+0.72 vs. 여성 3.90+0.68, p=0.043)와 지각 된 행동 통제(3.80+0.64 vs. 3.96+0.63, p=0.030)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서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하였을 때, 태도 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은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높았다. 지각된 행동 통제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0.372인데 비해 남성은 0.445로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여성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0.388+0.091, p<0.001)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매 의도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0.283+0.108, p=0.007)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325명으로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 계를 갖는다. 하지만 장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와 관련되어 연구가 질적으로 양적으로 제한되어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역할 을 하였다고 사료 된다.
5,400원
9.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TS가 피부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여, 근거 체계를 구축하고, 주요 키워드 간 관계와 역할 및 패턴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텍스트마이닝과 토픽모델링 및 단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들은 MTS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와 연관 키워드를 혼합하여 전자도서관에서 검색하였으 며, 결론 부분의 Text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피부', '효과', '실험', '관리', '개선' 등의 어휘가 주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TF-IDF 분석에서 높은 가중치의 키워드들은 MTS의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한 과학적 실험 기반 논의를 시사했다. 셋째, LDA 분석 결과, ‘과학적 검증 중심’과 ‘피부 개선 효과 중심’의 토픽2개로 나뉘었다. 넷째, 단어 네트워크에서 '피부'를 중심으로 '주름', '효과', '실험' 등이 강하게 연결되었고, '여성'과 '모공' 노드는 MTS가 여성 안면 부위 에 주로 적용됨을 나타냈다. 본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유사 의료 미용 시술 분석에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시계열 분석과 감성 분석을 통해 MTS 효과의 변화와 대상자 반응을 심층 탐색할 필요가 있다.
6,100원
10.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비스 산업의 경쟁 심화와 성과 중심 문화는 종사자의 심리적 부담과 직무 동기 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을 대상으로 .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미용 종사자 18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성과 주의는 평가·보상·승진제도로,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생활만족도로, 자기효능감은 일 처리능력·과제난이도·자신감·자기조절력으로 도출되었으며, 모든 척도의 신뢰도는 양 호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보상제도와 소통능력·생활만족도가 자기효능감 향상 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의 직무 역량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직 차원 의 성과관리 체계와 회복탄력성 증진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산업 종사자의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인적자원 관리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11.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12.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사법에서는 자연장 이란 화장한 유골의 골분 을 수목ㆍ화초ㆍ잔디 등의 밑이나 주변에 묻거나 해양 및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뿌릴 수 있는 시설 또는 장소가 마련된 묘지ㆍ화장시설ㆍ봉안시설ㆍ자연장지에 뿌려 장사하는 것이라고 말하 고 있다. 자연장의 방법으로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자연장지에 묻어 장사하는 것도 자연장이고,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해양 등 일정 구역에 뿌려 장사하는 것도 자연장 이라고 한다. 하지만 장사법은 해양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구역으로, 화장한 유골 의 골분을 뿌릴 수 있는 구역에 관한 규정이 미비한 점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사법의 자연장관련 주요내용을 살펴 보고, 장사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자연장과 관련한 배경 및 문제점에 관한 사항을 고 찰한 후 그에 대한 개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5,400원
13.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에서 외모는 개인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그중 모발은 개성과 이미지 표현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아름답고 건강한 모발은 단 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자신감과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기준으로 여겨진다. 그러 나 과도한 시술로 인한 물리적·화학적 손상은 모발의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고 회복시키기 위한 세정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저분자 미네랄 수가 손 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모발 세척제로서의 실용성과 효과를 검증하고 자 하였다. 염색 및 열(세팅펌)시술을 통해 손상된 모발(D 집단)을 대상으로 저분자 미네랄 수, 미네랄 수, 저분자 정제수, 정제수를 각각 세정수로 사용하였다. 이후 미 네랄 성분 분석, pH 측정, 표면 원소 분석, 모발 거칠기 측정, 모표피 관찰, 미세구조 분석, 모발 굵기 및 인장강도 측정을 통해 세정 후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저분자 미네랄 수로 세정한 모발 시료는 황(S)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면 거칠기 및 큐티클 구조 역시 다른 세정 군에 비해 가장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초기 모 표피 구조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며, 미세구조에서도 큐티클 높이가 가장 높았다. 모발 굵기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인장강도에서는 저분자 미네랄 수 세정 군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연구 결과, 저분자 미네랄수는 손상된 모 발의 보호 및 회복에 효과적인 세정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중성에 가까운 pH 특성과 우수한 보습 및 보호 효과는 기존의 정제수 대비 미용 시술 후 관리에 적합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저분자 미네랄수는 염색, 열펌 시술 등으로 인한 손상 모를 위한 고급 세정 솔루션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으며, 헤어 미용 산업에서 차별화된 고급화 전략의 일환으로 적용될 수 있다.
5,200원
14.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대 사회의 산업화와 서구화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만성 염증성 질환이 급증하고 있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과도한 분비가 다양한 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최근 10년간 발표된 염증성 사이토카인 관련 연구와 약용식물의 항염 효과에 관한 논문을 체계적으로 수집·분석 하고, 전통 본초 문헌에 기록된 약재의 효능과 현대 생명과학·약리학적 연구 결과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IL-6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로는 상황, 방기, 신 이, 적소두가 확인되었으며, TNF-α 억제 효과를 보이는 한약재로는 모과, 황금, 인 동등, 자초가 규명되었다. 이들은 RAW 264.7 대식세포와 다양한 염증 모델에서 염 증성 사이토카인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NF-κB 및 MAPK 신호 경로 차 단을 통한 분자적 기전이 입증되었다. 전통적으로 해열, 해독, 활혈, 소종의 효능으 로 기록된 이들 약재의 항염 효능이 현대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통해 과학적으로 입 증되었으며, 이는 전통 지식이 과학적 근거를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해 당 약재들은 항염증 보조치료제, 기능성 식품, 천연물 신약 개발의 유망한 후보군이 될 수 있으며, 향후 통합적 염증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200원
15.
202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food delivery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food delivery services among ‘the Young-Old’(60-74 years old) livi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ho use the Senior Center, Gyeongnodang. Considering that the research subjects ar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interview technique. The survey period was approximately three months, from May 1, 2025, and a total of 235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research. Overall, ‘the Young-Old’ prioritize price over anything else when choosing delivery services, and they primarily use the services to enjoy delicious food or to simply solve a meal. Furthermore, the economic feasibility, convenience, and hygiene of delivery services are key factors in driving satisfaction when using delivery services, and this satisfaction can lead to continued intentions to use delivery services. Therefore, food delivery companies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providing detailed nutritional information and hygiene managemen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Young-Old’ customer and encourage their continued use of delivery services, as they may prioritize health and safety over taste or price. Furthermore, food delivery companies need to develop easy-to-use, senior-friendly delivery app interfaces or enhance phone ordering services to improve accessibility of deliver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can leverage these research findings to introduce food delivery vouchers or discount policies targeting the seniors. This can not only help seniors meet their meal needs but also generate new demand in the food delivery market. This research sets a starting point for a study that approaches the commercial phenomenon of food delivery from a gerontological and social welfare perspective, targeting ‘the Young-Old’ generation as active consumers.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valuabl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anging lifestyles of older adults due to societal changes.
6,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