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축제 참가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후보

The Influence of Festival Participation Motivation in the Festival on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ourism Immer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7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지속가능경영융합(구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Journal of Convergence Sustainability Management)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참가자의 참가동기를 파악하고, 참가동기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광몰입의 참가동기와 재방문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축제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95부의 유효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축제 참가동기를 도출하였고, 구성요소는 친교성, 일탈성, 체험성, 신기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참가동기요인 중에서 체험성, 신기성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가요인 중에서 체험성(β=.299)이 재방문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축제 참가자들이 춘제 공연의 관람 접근성을 쉽게 하고, 축제가 개최되는 지역 고유의 문화와 예술을 경험하고, 축제 관련 식음료를 체험하고 직접 요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관공몰입은 축제 참가동기 중에서 체험성과 신기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축제 참가자가 축제에 집중할 수 있꼬, 축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체험하며, 축제의 주제와 목표를 인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내용으로 구성하여 참가자의 관광몰입도를 높여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와 지역의 축제에 대한 시계열분석, 심층면접분석 등의 연구방법을 통한 마케팅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estival participants' motivations for participation, examine the impact of these motivations on revisit intentions,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immersion on these motivations. This analysis, in turn, provided operational strategies for sustainable and competitive festivals. To achieve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valid sample of 295 participants. The empirical analysis identified festival participation motivation as a variable influencing revisit intentions, and its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social interaction, deviance, experientiality, and novelty.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offered based on the findings: First, among the motivation factors, experientiality and novel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revisit intentions. Among the participation factors, experientiality (β =.299) had the strongest impact on revisit intentions. Therefore, to ensu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festivals, it is crucial to ensure easy access for festival participants to view festival performances, experience the unique culture and arts of the region where the festival is held,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sample and cook festival-related food and beverages. Furthermore, festival content and programs must be designed to be engaging and distinctive, and efforts to provide sufficient knowledge and materials on the festival theme are also important. Second, tourism immersion partially mediates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and novelty factors on revisit intentions among festival participation motivations. Therefore, programs and content should be designed to encourage festival participants to focus on the festival, participate voluntarily, and understand the festival's theme and goals, thereby increasing their tourism immersion. Future research should explore marketing strategies for festivals across diverse themes and regions, utilizing research methods such as time-series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1. 축제 참가동기
    2. 재방문의도
    3. 관광몰입
􀥹􀥹􀥹.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설계
    2. 측정도구 개발 및 설문지 구성
    3. 조사 설계 및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표본의 인구 통계 특성
    2. 측정변수의 신뢰도 검정
    3. 측정변수의 타당도 검정
    4. 연구가설 검정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양정미(Far East University, Department of Airline Cabin Service Management Professor) | Jungmi Y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