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부미용인의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I 등재후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formance Orientation and Resilience on Self-Efficacy among Skin Care Practition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7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지속가능경영융합(구 아유르베다 융합 연구) (Journal of Convergence Sustainability Management)
한국아유르베다학회 (Korean Ayurveda Association)
초록

서비스 산업의 경쟁 심화와 성과 중심 문화는 종사자의 심리적 부담과 직무 동기 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을 대상으로 .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이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미용 종사자 180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성과 주의는 평가·보상·승진제도로, 회복탄력성은 소통능력·생활만족도로, 자기효능감은 일 처리능력·과제난이도·자신감·자기조절력으로 도출되었으며, 모든 척도의 신뢰도는 양 호하였다. 분석 결과, 성과주의와 회복탄력성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보상제도와 소통능력·생활만족도가 자기효능감 향상 에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인의 직무 역량과 심리적 안정을 위한 조직 차원 의 성과관리 체계와 회복탄력성 증진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 산업 종사자의 역량 개발 프로그램과 인적자원 관리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in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spread of a performance-oriented culture have increased employees’ psychological burden and influenced their work motivatio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formance-oriented management and resilience on self-efficacy among skin beauty practitioners. A survey of 180 practitioners was conducted, followed b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ance-oriented management was classified into evaluation, compensation, and promotion systems; resilience into communication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to task performance ability, task difficulty,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All constructs demonstrated acceptable reliability.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oriented management, resilience, and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with compens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contributing particularly to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and resilience enhancement to strengthen the job competency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skin beauty practitioner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competency-building programs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in the beauty industry.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성과주의
    2. 회복탄력성
    3. 자기효능감
III.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방법 및 절차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측정도구
IV. 연구 결과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3. 상관분석
    4. 성과주의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5. 회복탄력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은희(Professor, Dept. Liberal Arts, Kyungbok University) | Eun-he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