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 of Tea Culture Activitie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if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Engagement in Middle-Aged Adults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indirect effects of secondary cultural activities and lif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engagement in middle-aged adults. Furthermore, it explored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tress on this mediating pathway, thereby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mechanisms by which self-efficacy leads to life engagement. Furthermore, it proposed cultural activity-based interventions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dults, contributing to the academic support of the educational and social applicability of secondary cultural activities.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on 142 middle-aged adults aged 40 to 60 residing nationwide. The self-efficacy scale, the life engagement scale, the participation in secondary cultural activities, and the life stress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8, perform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moderated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self-efficacy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life engagement,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secondary cultural activities. Second, life stress moderated the indirect path between self-efficacy and life engagement, with the strength of this mediating effect varying depending on stress level. Specifically, the lower the level of life stress, the more pronounced the effect of secondary cultural activities on eng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enhance the life engagement of middle-aged adul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lf-efficacy, a psychological resource, as well as promote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and alleviate life stres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programs that focus on the present and manage emotions can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daily life engagement of middle-aged adults to prevent stress and mental problems caused by life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