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n the Purchase of Intestinal Health Functional Foods -Focusing on Men and Women-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행되는 고령화와 경제 수준의 향상, 그리고 식품 제조, 포장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50대 전후로 진 행되는 갱년기 시기에 호르몬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진행되는 장 기능의 저하로 인 하여 장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계획된 행동이론에 근거하여 장 건강기능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성인남녀 3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변수들 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태도(남성 3.74+0.72 vs. 여성 3.90+0.68, p=0.043)와 지각 된 행동 통제(3.80+0.64 vs. 3.96+0.63, p=0.030)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서 다중그룹 경로분석을 하였을 때, 태도 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남성과 여성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 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은 비표준화 경로계수가 높았다. 지각된 행동 통제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이 0.372인데 비해 남성은 0.445로 높 은 수치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여성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남성(0.388+0.091, p<0.001)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매 의도가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0.283+0.108, p=0.007)만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325명으로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 계를 갖는다. 하지만 장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와 관련되어 연구가 질적으로 양적으로 제한되어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진전된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역할 을 하였다고 사료 된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world, the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food manufacturing and packaging technology. In particular, intestinal problems are increasing due to the rapid decrease in hormones and the decline in intestinal function that occurs during the menopause period around the age of 50.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e conducted a multi-group path analysis by dividing the effects on the purchase of intestinal health functional foods into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25 adult men and women in Kore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ns of the variables,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men in attitude (men 3.74+0.72 vs. women 3.90+0.68, p=0.043)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3.80+0.64 vs. 3.96+0.63, p=0.030). Subsequently, when multiple group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he effect of attitude on purchase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for both men and women. However, women had higher un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than men. The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purchase intention was 0.372 for women, while it was 0.445 for men.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subjective norm on purchase intention,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women, b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men (0.388+0.091, p<0.001). The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on purchase behavi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women (0.283+0.108, p=0.007).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analyzed 325 Korean adults.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research related to the purchase of intestinal health functional foods is limited in quality and quantity, this study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sufficient basic data for more advanced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