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pathogenic bacteria is crucial for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public health and food safety. However, existing bacteria detection techniques have several drawbacks as they are inconvenient and require time-consuming procedures and complex machinery. Recently, the precision and versatility of CRISPR/Cas system has been leveraged to design biosensors that offer a more efficient and accurate approach to bacterial detec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iques. Significan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biosensors based on the CRISPR/Cas system which has shown promise in efficiently detecting pathogenic bacteria or virus. In this review, we present a biosensor based on the CRISPR/Cas system that has been specifically develop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detect different pathogenic bacteria effectively including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This biosensor takes advantage of the CRISPR/Cas system's precision and versatility for more efficiently accurately detecting bacteria compared to the previous techniques. The biosensor has potential to enhance public health and ensure food safety as the biosensor’s design can revolutionize method of detecting pathogenic bacteria. It provides a rapid and reliable method for identifying harmful bacteria and it can aid in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ve measures, mitigating the risk of bacterial outbreaks and their associated consequences.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area will lead to development of even more advanced biosensors capable of detecting an even broader range of bacterial pathogens, thereby significantly benefiting various industries and helping in safeguard human health
홍삼의 일반적인 가공법인 물과 주정 혼합용매로 추출여과하여 농축액으로 제조 시 증숙 등의 가열처리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중합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현재 기능성이 밝혀진 30여 가지 주요 진세노사이드 외 극미량인 200여 종의 진세노사이드가 검출되고 있어서, 오히려 홍삼 본래 의 기능성 규명과 효능 구현을 복잡하게 만들고, 추출 횟 수를 거듭할수록 떫은맛이 강해지는 등 건강기능식품으로 서 부정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저온(40oC 미만)에 서 1차만 추출한 홍삼농축액을 제조한 결과 수율은 고형 분 66-77% 정도에서 26-30%를 나타내어 기존의 연구 결 과인 40.47±0.47% 보다 현저히 적은 수율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 분말의 진세노사이드 함량분석시험을 진행한 결 과 시료 18종 전체에서 진세노사이드 34종이 검출되었고, 특히 홍삼 지표성분 3종인 Rb1, Rg1, Rg3 합계는 42.48 mg/ g으로 시판 홍삼제품의 환산량 9.0 mg/g과 8.7 mg/g 보다 4-5배 많았다. 본 시료는 진한 홍삼의 향취와 함께 면역력 증진 등 6가지 기능발현에 9-25%의 소량 복용으로 1일 복 용량이 유의성 있게 작아서 복용의 편의성과 함께 제품의 보관, 유통에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alogs by using high and low moisture extrusion processes to create a plant-based analog burger patty material. The isolated soy protein blends of low- and high-meat analogs (LMMA and HMMA) were texturized using the twin-screw extruder equipped with a cooling die. The highest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cutting strength were observed in beef, but the highest stringiness was indicated in HMMA. The highest integrity index was seen in beef, while LMMA had the highest nitrogen solubility index (NSI). LMMA also had the highest water holding capacity (WHC) and water absorption capacity (WAC), whereas beef had the highest oil absorption capacity (OAC). LMMA had the highest emulsifying activity (EA) and emulsion stability (ES) in emulsifying properties. Further, the highest protein digestibility was revealed in LMMA. This study suggested that extrusion process types influence the quality of meat analog, which could be the elementary source for manufacturing the analog burger patty.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기능적인 욕창예방방석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이다.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사용 경험을 조사하여 제품의 개선 방향에 대한 욕구와 제품 개발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욕창예방방석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중 임신 중 방석을 이용한 연구참여자는 5명이다.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는 대상자 선정, 2단계는 사전준비, 3단계는 포커스그룹인터뷰, 4단계는 자료 전사, 5단계는 자료 분석, 6단계는 결과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진행 과정을 모두 녹화한 후 3명의 연구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주제에 대해 합의하고 개념, 범주, 주제로 분류화하여 분석하 였다.
결과 :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개념, 6개의 범주,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욕창예 방방석의 구조, 디자인, 서비스로 도출되었다. 방석의 구조에서는 적정한 강도의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며, 욕창 호발부위 와 이승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방석의 기능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센서 기반의 피드백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임산부 특성상 체중의 측정이 중요하고, 실금의 횟수가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관련해서는 방석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방문서비스 및 커버 여분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욕구와 질 좋은 방석이 공적급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제도 관련 의견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고충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출산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발될 척수손상 임산부 를 위한 욕창예방방석은 추후 임신 과정에서 저해될 수 있는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 도구의 문항을 개발하는 예비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과정은 예비 문항 구성과 본 문항 구성을 통해 이루어졌다. 예비 문항 구성은 문헌고찰을 통한 문항 수집 후 감각통합 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 3명과 학교 작업치료 경험이 있는 작업치료사 4명에게 문항 적절성 조사 및 신규 문항 수집을 하였다. 본 문항 구성은 초등교사 24명에게 내용 타당 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를 이용한 문항 적절성 조사, 작업치료사 19명에게 내용 타당도 지수(CVI)를 이용한 문항 적절성 조사 및 감각의 종류, 감각처리장애의 분류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결과 : 문헌고찰을 통해 179문항이 수집되었고, 이후 예비 문항 구성 단계에서 93개 문항 삭제, 23개 문 항 추가되어 105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본 문항 구성 단계에서는 내용타당도 지수 값이 단계에 따라 70-80%가 만족될 때 선정하여 19개 문항 삭제, 1개 문항 추가되어 87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최종적으 로 학교에서의 활동에 기초한 감각처리 문항으로 분류하면, 일반적 학습 활동은 45개 문항, 예체능 활동 은 17개 문항, 식사 시간 및 쉬는 시간 활동은 25개 문항으로 총 87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학교의 활동 영역을 바탕으로 감각처리능력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문항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평가도구의 임상적, 연구적 사용을 위해서는 추후 본 평가도구의 다양 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make extruded rice snack with high quality in texture and nutrition by adding mealworm. Addition of the mealworm has the merit to fill in high-quality protein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hich are insufficient in rice. Thu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process of extrusion cooking. As the extrusion process varied, the die temperatures were set to 120oC and 130oC. Also, the moisture contents were adjusted to 30% and 35%. The specific length, the expansion ratio, and the water absorption index increased as the added content of mealworm became higher. On the contrary, the density, the breaking strength, the apparent elastic modulus, and the water solubility index decreased. As mealworm and moisture content increas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 rancidity decreased. As a result, the addition of mealworm to the extruded rice snack was effective in improving texture, nutrition, and antioxidation.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임상 작업치료사들이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근 거자료를 제공하고, 간헐적 구강식도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이 의뢰된 자 57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 용하였다.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대상자들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해 한국형 간이 정 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를 시행하였다. 훈련을 통해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과 실패한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 57명 중 45명(78.9%)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으나, 12명(21.1%)은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 용을 실패하여 영양 섭취 방법을 변경하지 않았다. 실패 원인으로는 인지 저하 4명 (33.3%), 적용 방법에 대한 거부 3명(25.0%), 구역 반사 3명(25.0%), 폐렴 2명(16.7%)순으로 조사되었다. K-MMSE 점수에 서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의 점수가 실패한 군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각 군의 평균 연령, 발병일로부터 연하재활치료 시작일까지의 평균 기간, 발병일로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연하재활치료 시작일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간헐적 구강식 도관 훈련 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은 처치 방법과 관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은 환자 및 보호자가 동의하였을 경우 실시가능하다. 또한, 인지 기능과 구역 반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환자에게는 과도기적 영양 지원 방법으로 뿐만 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폐렴, 역류 등이 의심되는 경우 적용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장기간 안전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 및 보호자의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작업치료에서 정적 강화를 통한 3단계 지시 따르기 훈련법이 작업참여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3단계 지시따르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에서 정적 강화물의 사용 유무에 따 른 작업참여도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발달장애 아동 2명이었으며, 개별실험 연구방법 중 중다기초선(multiple baseline across tasks)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1단계 기초선에서 대상 아동들에게 기존의 작업치료 방법(작업치료Ⅰ)을 시 행하여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2단계에서는 정적 강화를 통한 3단계 지시따르기 훈련법을 사용하여 지시따르기 훈 련을 실시하였다. 지시따르기 훈련 후 작업치료(작업치료Ⅱ)를 시행하여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작업 치료를 실시할 때 아동에게 강화물을 제공하면서(작업치료Ⅲ) 작업참여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 1은 작업치료Ⅰ에 비해 지시따르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Ⅱ에서 작업참여도가 증가하였고, 강화물을 적용한 작업치료Ⅲ에서는 작업치료Ⅱ에 비해 작업참여도가 다소 감소하였다. 대상자 2는 작업치료Ⅰ에서와 지시따르 기 훈련 후 실시한 작업치료Ⅱ에서 작업 참여도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강화물을 적용한 작업치료 Ⅲ에서 는 작업참여도가 증가하였다. 결론 : 작업치료 중재에 있어 치료 전에 지시따르기 훈련을 적용하거나 치료시 직접적인 강화물을 적용하는 것은 작업참 여도를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시판되는 증자 녹차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한 분획물로부터 최근 병원성 식중독균으로서 문제시되고 있는 E. coli O157:H7균에 대한 항균성을 검색하였다.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그 유효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핵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물로서 분획한 후 MIC를 검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0μg/disk 농도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헥산 분획물은 활성이 없었다.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낸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농도별 항균력 및 pH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균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3균주 모두 250-2000μg/disk 농도에서 새육이 억제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균은 산성조건에서는 생육이 가능하지만 pH 10 이상의 강한 알칼리 조건에서는 생육이 크게 억제되었다. 35℃에서 E. coli O157:H7 933과 932균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농도별 생육저해 효과를 검색한 결과 두 균주 모두 250μg/ml , 500μg/ml의 농도에서는 12시간 이후부터 생육하기 시작하였으나 1000μg/ml의 농도에서는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 was synthesized using phosphorus compound which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for the replacement of halogenated flame retardants. In this study, polyols which have phosphorus moity in their structural unit were synthesized by two-step polycondensation reaction using dimethyl phenylphosphonate, ethylene glycols. adipic acid, and 1,4-butanediol. In the next step, polyurethane dispersion was prepared using these polyols, isophorone diisocyanate with dimethyl propionic acid. The particle size of polyurethane latex was reduced from 347 nm to 240 nm with increasing DMPA content. It was observed that the LOI values of prepared coatings increased from 27% to 35% with increasing phosphorus content.
Aqueous urethane dispersion resin begins to assume commercial importance due to increasing environmental awareness of VOC in coating industry. Moreover there have been strong industrial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reactive-type polyurethane flame retardant coatings. In this study, chlorinated polyester polyols were synthesized by two step polycondensation reaction using mono chloroacetic acid, adipic acid, trimethylol propane, and 1,4-butanediol. In the next step polyurethane dispersion was prepared using these chlorinated polyester polyols and isophorone diisocyanate with dimethylol propionic acid(DMPA) and trimethylamine. The structure of chlorinated polyol was characterized by GPC, FT-IR and NMR. Particle size and its distribution were examined in terms of various dispersion parameters including molecular weight and composition of polyol, amount of DMPA, and NCO/OH ratio, etc. The effect of chlorinated polyols on flammability was also evalu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