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평가를 개발하고 개발된 각 항목의 예비타당도를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 : 문헌 고찰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과 관련이 있는 사회성 요소들을 선별하고 평가의 구성 개념을 정립하였다. 내용 타당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후 사회성평가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설계, 개발, 및 사용성 평가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인 타당도와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공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어판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Korean version of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와 개발된 사회성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 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발달 아동 32명과 발달장애 아동 16명과의 사회성 평가 결과를 평균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총 3개의 대분류 안에 8개의 세부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세부 평가항목으로는 지시따르기, 모방, 주의공유, 전상징기적 지식, 상징행동, 규칙이해, 감정지각, 조망수용이 있다. 각 항목에 대한 구성 및 과제 적절성을 델파이 조사결과 모든 항목이 CVR .8-1로 나타났다. 사회성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정상발달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수행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1, p = .000). 아울러 K-SCQ 및 SMS 점수와 개발한 사회성 평가 점수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9, .57, p < .01).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태블릿 기반의 사회성 평가항목을 개발하였고, 각 평가항목과 구성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성평가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고, 향후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to evaluate the social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o study the pilot validity of each developed item.
Methods: Constructed concepts related to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were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o establish the content validity, an expert panel was form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e digital assessmen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 avatar and the logic of the running,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h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investigat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Communication Questionnaire (K-SCQ) and the Social Maturity Test (SMS) were conducted,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analyzed. To examine the discriminant validity, a Mann-Whitney analysis was conducted for 32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D) and 16 children with DD.
Results: The study results consisted of eight items in three major categories. Detailed items include following instructions, imitation, joint attention, pre-symbolic behavior, symbolic behavior, understanding rules, emotion per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As a result of a Delphi survey on the construct concept and task relevance of each item, the CVR of all items ranged from .8 to 1. The test scores between children with TD and D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items of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5.1, p = .000).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K-SCQ and SMS scores and the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score (-.69, .57, p < .01).
Conclusion: In this study, a tablet-based social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the items and composition of the assessment were found to be valid. It is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help examine the level of social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DD in clinical practice and the education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