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욕창예방방석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for Pregnant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36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기능적인 욕창예방방석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이다.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사용 경험을 조사하여 제품의 개선 방향에 대한 욕구와 제품 개발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욕창예방방석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중 임신 중 방석을 이용한 연구참여자는 5명이다.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는 대상자 선정, 2단계는 사전준비, 3단계는 포커스그룹인터뷰, 4단계는 자료 전사, 5단계는 자료 분석, 6단계는 결과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진행 과정을 모두 녹화한 후 3명의 연구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주제에 대해 합의하고 개념, 범주, 주제로 분류화하여 분석하 였다.
결과 :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개념, 6개의 범주,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욕창예 방방석의 구조, 디자인, 서비스로 도출되었다. 방석의 구조에서는 적정한 강도의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며, 욕창 호발부위 와 이승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방석의 기능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센서 기반의 피드백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임산부 특성상 체중의 측정이 중요하고, 실금의 횟수가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관련해서는 방석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방문서비스 및 커버 여분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욕구와 질 좋은 방석이 공적급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제도 관련 의견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고충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출산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발될 척수손상 임산부 를 위한 욕창예방방석은 추후 임신 과정에서 저해될 수 있는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 functional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for pregnant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the product and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product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experience of using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with disabilities.
Methods :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who had experience using a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Among them, 5 study participants who used cushions during pregnancy.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six stages, with the first stage being goal selection, the second stage being pre-prepared, the third stage being focus group interview, the fourth stage being data transcription, the fifth stage being data analysis, and the sixth stage being results. After recording all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each of the three researchers was transferred to agree on a common topic, categorized into concepts, categories, and topics, and analyzed.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15 concepts, 6 categories, and 3 topics were derived. The three topics were derived from structure, design, and service of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In the structure of the cushion, it was found that it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of appropriate strength, and that it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te of pressure ulcer and the transfer.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function of the cushion should be manufactured as a product that can control the pressure and provide sensor-based feedback. In particular, it was reflected that weight measurement is importa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and that the number of incontinence may increase. In addition, with regard to service, there was an opinion related to the system that a high-quality cush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ublic pay as well as the desire for follow-up service for visiting service and extra cover so that the cushion can be used continuously.
Conclusions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n assistive device by reflecting the desire to understand the pain that pregnant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may experience and to give birth to a healthy child. It is expected that the pressure ulcer prevention cushion for pregnant women with spinal cord injury to be developed through this will improve daily living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that may be hindered during pregnancy.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 방법
    1. 포커스그룹인터뷰
    2. 연구 참여자 및 연구 질문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욕창예방방석의 구조에 대한 욕구
    2.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욕창예방방석의 기능에 대한 욕구
    3.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욕창예방방석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재남(전주대학교 건강과학종합연구소 연구원) | Kim, Jae-Nam (Dept. of Health Science Research Institute, Jeonju University, Research)
  • 조선영(전주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사업실 사회복지사) | Jo, Sun-Young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ocial Worker)
  • 장완호(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Jang, Wan-H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Jeonju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