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functionally classify the types of gardens that can be used in a city,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ived functions of gardens in Korea by reviewing the previous case studies, field surveys concerning gardens in citie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First, the roles and effects of gardens identified in the earlier studies were clustered into similar concepts. To ensure validity, the types of functions of the gardens were named based on opinions gathere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31 cases studied over four years. The data obtained were applied to supplement the redefine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items for gardens in the city as described above. The current status of the gardens was analyzed by type. The garden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socio-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health-related. The sociocultural type was dominant among the community garden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intended function of building an urban garden and to prepare guidelines for introducing socio-cultur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health-type gardens in the future.
        4,800원
        2.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2-round Delphi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FGI) survey method, in this study, are sequentially applied for the level analysis of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management technologies, that are classified into transport/storage, site evaluation, and disposal categories. The 2- 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domestic 56 experts in the HLW field in Korea, and survey answers were managed with questionnaires distributed by e-mail. In the FGI survey, domestic 24 experts from management field were formed into three group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Past research achievements including journal papers, intellectual properties and the expert opinions presented at expert hearing on HLW technology wer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survey, in this study, the average domestic technology level compared to the leading countries was 83.1% in transport area, 79.6% in storage area, 62.2% in site evaluation area, and 57.4% in disposal area,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he former level analysis results in 2017, technology level of transport-storage area increased by 8.6%, and the site evaluation-disposal technology area decreased by 7.27%. The highest factor that increase the level of technology in the transport-storage field was due to the increased R&D program resulting on journal papers, intellectual properties. In addition, the decrease factor in the level of technology in the site evaluation-disposal field was mainly due to relatively low R&D program when compared to the leading countries. Suggested method for the level survey can be used to find out the basic data of the lower tech technologies, to estimate the efficient research budgets and to prepare the R&D human resources. With this regards, R&D roadmap can be matured with suggested prediction method for the domestic technology level on HLW.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를 위해 수 ․ 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수행하여 사용자 경험을 파악하고, 수 ․ 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임상가의 수 ․ 전동휠체어 처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해본 휠체어 사용 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방법인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질문은 Krueger와 Casey가 제시한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현장메모, 녹음된 자료를 3명의 저자가 독립적으로 전사하여 Braun과 Clarke’s가 제시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참여자들은 수ㆍ전동휠체어를 사용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직업, 여가 그리고 해외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수ㆍ전동휠체어는 전동휠체어와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아 차량 탑재 시 용이하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하지만 휠체어 사용자들은 휠체어의 추진 구조물, 지지 구조물 그리고 소재 등에 문제점을 보고하였다. 참여자들은 경험한 수ㆍ전동휠체어의 문제점 개선과 함께 외형 디자인의 개선을 기대했고, 추가적으로 안전한 주행을 위해 가슴벨트나 넘어짐 방지 바퀴와 같은 부속품을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처럼 적극적인 여가참여를 수행하기 위해 수ㆍ전동휠체어의 안전성에 대한 의견이 특히 강조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여가 및 사회참여 활동 시 수ㆍ전동휠체어 사용자의 경험을 임상가 관점에서 파악하였 다. 향후 노인 및 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수ㆍ전동휠체어 개발 시 고려사항과 휠체어 사용자 평가 및 휠 체어 처방 시 임상가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하였으며, 실효성 높은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4,800원
        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증장애 인들의 전동휠체어에 대한 사용경험과 전동휠체어에 대한 그들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서 사용된 질문은 Krueger 와 Casey가 제시한 4가지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 하고 2명의 저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전동휠체어 구조물과 휠체어 자체의 결함,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경험하였으 며 이에 따라 전동휠체어의 추진 및 지지구조물, 중증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처방을 포함하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전동휠체어에 대한 구입 및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재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전 동휠체어 처방 시 휠체어 사용자가 속한 환경, 원하는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 추진구조물을 제 공해줘야 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고려한 전동휠체어 착석옵션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처방하여 중증장애인 이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작업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효율 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변화를 이끄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4,600원
        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food industries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launching ethnic foods in the global market, but communicating sensory information to target consumers has been complicated due to the ambiguity and complexity of Korean sensory descrip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icit various multidimensional sensory descriptors and their definition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Two consumer groups, consisting of 10 panelists in their 20s and 10 panelists in their 30-40s respectively, participated in the FGI. A total of 14 commonly used multidimensional sensory descriptors, including gamchilmat (감칠맛), gaeun (개운), goso (고소), gusu (구수), kkal-kkeum (깔끔), neu-kki (느끼), dambaek (담백), birin (비린), siwon (시원), sikeum (시큼), ssapssarae (쌉싸래), eolkeun (얼큰), jjapjoreum (짭조름), and kalkal (칼칼), were elicited. Their definitions showed that these descriptors not only were constructed using several sensory elements but also contained hedonic connotations. Descriptors such as gaeun, siwon, and kkal-kkeum we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overall sensory impressions, including aftersensations and post-ingestive effects rather than sensory concepts. As individuals tend to weigh different elements to construct the concept for each multidimensional descripto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dentify elements consisting of these descriptors to develop better test methods and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sensory profiles of Korean foods.
        4,000원
        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어린이신문의 내용적 문제점과 원인을 탐색하여 이를 개선할 수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1차적으로 국내에서 발간되는 어린이신문에 대 한 내용적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지면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고 , 그 원인 과 해법을 탐색하기 위해 초점집단 (초등학생과 학부모, 교사, 언론인, 전문가)을 대상 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내용분석 결과에 따르면, 일반 신문과는 차별되게 이 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사용한 형태의 기사와 중립·긍정적인 기사가 가장 많았다 . 어린 이신문의 기사 비중은 42%로 정보·학습적 내용과 광고가 더 높은 비중을 보였다 . 정 보·학습 콘텐츠는 영어·한자 학습에 편중되었으며 , 자체 제작보다는 학습콘텐츠 제작업 체와 이들의 출판물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광고는 도서광고가 주류를 이루었 다. 심층인터뷰의 분석결과 , 어린이신문은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증대, 글쓰기 능력과 사고력·판단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하지만 어린이신문이 신문보다는 ‘학습지’에 가깝다고 평가되었다 . 따라서 기사의 비중 확대와 학습·정보 내 용과 광고의 축소, 초등학생의 학년별 수준에 맞춘 기사 제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아울러, 어린이신문의 활성화와 가정·학교에서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린이신문 의 보급에 대한 재정 지원, 읽기 문화 진흥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6,600원
        7.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Gongsik", defined as food-sharing by picking food from a common plate using personal utensils, we conducted 7 focus group interviews including 47 university students during a 6 month period.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audio taped, transcribed, and categorized into major themes. We divided Gongsik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practical reasons, socio-psychological reasons, boundaries, suppressive situations, emotion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s using different utensils, and future prospects. Gongsik appeared to be useful for fostering quick food sharing, intimacy and solidarity, and a fixed behavior learned at home. If the amount of food was too small to provide individual servings, as in Jjigae, Gongsik was likely to occur spontaneously. Family, close relatives, friends, and lovers sharing common activities and/ or blood ties were composed the boundaries of Gongsik. However, Gongsik was avoided in elegant restaurants or in view of foreigners. Participants showed mixed feelings towards Gongsik. Gongsik conducted with a spoon was conside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suggested intimacy in a food sharing context. Half of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Gongsik would be maintained into the future. Gongsik is a culturally-specific behavior that includes both positive and negative meanings. Aside from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aspects of food-sharing, we suggest that the negative aspects of Gongsik related to the issue of hygiene be considered i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4,000원
        8.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21세기 학계, 산업계를 비롯 국가적으로 그 발전을 권장하는 핵심 분야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세계 10위권의 경제규모를 유지하고 있지만 기존 선진국들의 견제와 중국 등 신흥 국가들의 끊임없는 도전을 통해 그 위치의 유지는 물론 향후 전망 또한 밟지 않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래에 충분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확보하는 것은 학계, 산업계를 망라하고 전 국가적인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이런 국가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훌륭한 대안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때문에 학계와 산업계는 물론 정부에서도 주요한 분야로 육성발전시키고자 하는 융합 분야이다. 따라서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융합교육과 스마트교육은 지식기반인 현대사회에서 각광받고 있는 교육의 새로운 흐름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은 아주 중요하다. 연구의 방법 및 내용,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 사례를 국내외적로 분석하고 진단하여 관련 연구동향과 기대효과를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하여 관련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행하며, 둘째,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교과(프로그램)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In-deep Interview)을 통한 전문가 집단의 태도연구(FGI)를 실시한다. 또한 결과 분석을 활용하여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제안과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향후의 실증적 자료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총 설문 대상자 30명의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SAS 9.3, Chi-square & Fisher's Exact test 설문응답의 기술 통계로써,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설문조사를 위해서 조사계획, 설문지, 표본추출, 본 조사, 자료입력, 자료 분석 등의 전 과정에서 가장 적절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한다. 특히,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FGI 설문 설계 및 통계적 분석기법과 신뢰도를 위하여 설문지 문항작성이 본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전문가집단 태도에 관한 각 설문문항에 대하여 크론바흐 기법을 이용한 신뢰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여 확인한다. 설문항목은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이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 교양교육의 과학・예술 교과(프로그램)에 대한 인지 및 경험, 참여의도, 교과(프로그램)의 주제, 목표, 내용영역, 학문영역, 이수시간, 이수학점, 온.오프라인 교육(시스템) 형태 등 모든 문항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긍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 문항 간 신뢰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문항 간 상관관계 또한 독립적이지 않고 연관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활성화 정도, 장단점, 한계 등의 설문항목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정부와 대학 당국의 적극적인 정책개발과 지원에 대한 아쉬움 또한 통계적으로 확인되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9.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 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 다양성 인정, 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 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 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 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 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 부가적, 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