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이 성공한 환자들과 실패한 환자들의 특징 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Succeeded Patients and Failed Patients who Wear Applied the Intermittent Oroesophageal Tube (IOE Tube) Feed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2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임상 작업치료사들이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준에 대한 근 거자료를 제공하고, 간헐적 구강식도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이 의뢰된 자 57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 용하였다. 의무기록 열람을 통해 대상자들의 특징을 조사하였고, 인지 기능 평가를 위해 한국형 간이 정 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를 시행하였다. 훈련을 통해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과 실패한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결과 : 57명 중 45명(78.9%)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였으나, 12명(21.1%)은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 용을 실패하여 영양 섭취 방법을 변경하지 않았다. 실패 원인으로는 인지 저하 4명 (33.3%), 적용 방법에 대한 거부 3명(25.0%), 구역 반사 3명(25.0%), 폐렴 2명(16.7%)순으로 조사되었다. K-MMSE 점수에 서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을 성공한 군의 점수가 실패한 군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각 군의 평균 연령, 발병일로부터 연하재활치료 시작일까지의 평균 기간, 발병일로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연하재활치료 시작일부터 간헐적 구강식도관 훈련일까지의 평균 기간, 간헐적 구강식 도관 훈련 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간헐적 구강식도관 적용은 처치 방법과 관리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들은 환자 및 보호자가 동의하였을 경우 실시가능하다. 또한, 인지 기능과 구역 반사가 간헐적 구강식도관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환자에게는 과도기적 영양 지원 방법으로 뿐만 아니라 치료적 목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폐렴, 역류 등이 의심되는 경우 적용을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장기간 안전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자 및 보호자의 철저한 관리가 요구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proper evidence of the appliable standard of Intermittent Oroesophageal tube (IOE tube) feeding, and an increased recognition of the IOE tube. Methods : The subjects were 57 patients who were asked to apply IOE tube fee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by reading their medical records, and their cognitive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The study divided the subjects into successful and failed groups in IOE tube training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both groups. Results : IOE tube feeding was successfully applied to 45 of the 57 subjects (78.9%), but failed in 12 of them (21.1%). The causes of failure were poor cognitive functions (4 subjects), gag reflex (3 subjects), refusal of training method (3 subjects), and pneumonia (2 subjects). The successfu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failed group in K-MMS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verage age or training period variation. Conclusion : IOE tube feeding is appliable only if the patients and their care givers fully understand the treatment manner and agree with its implementation. In addition, IOE tube feeding can be considered not only a transitional nutrition supply, but also a treatment method for patients who have the proper cognitive function without a severe gag reflex. However, IOE tube feeding needs to be restricted to those patients who have pneumonia or a backward flow. For safe and long-term application of IOE tube feeding, close management for patients and their care givers is required.

저자
  • 윤인진(서울아산병원 작업치료실) | Yoon, In-Jin
  • 조선영(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Cho, Sun-Young
  • 홍기훈(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Hong, Ki-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