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너지작물 재배를 위한 간척지 토양의 토양복토재로써 하수슬러지 고화물의 이용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Solidified Sewage Sludge as a Soil Cover Material for Cultivation of Bioenergy Crops in Reclaimed L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2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1. 각 시험구에서 재배 2년째 시기별 에너지작물의 초장을 조사한 결과,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시험구에서의 에너지작물 중 거대 1호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원지반토에서는 생육이 미비하였다. 2. 원지반토의 거대 1호 초장은 재배 1년차 97 cm에서 2년차 229 cm로 141% 증가하여 성장폭이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의 거대 1호에 비해 우수하였다. 3. 각 시험구의 토양 pH는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후 2년이 경과하여도 일정하게 pH 7.2~8.4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원지반토의 염농도는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지반토의 평균 염농도(0.27%)는 1년차의 염분 농도(0.31%)와 비교하여 조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원지반토의 평균 치환성 나트륨(Ex. Na) 함량은 8.99 cmol+kg1으로 하수슬러지 고화물 혼합구의 평균치(0.7 cmol+kg1)에 비해 약 12배 높았으며, 하수슬러지 고화물을 처리한 두 시험구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하수슬러지 고화물 처리 후 에너지작물 재배 1년차와 2년차 동일시기(5월, 11월)의 토양 유기물 함량은 1년차에 비해 2년차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하수슬러지 고화물 복토구의 유기물 함량의 증가폭이 가장 우수하였다. 6. 간척지 토양에 하수슬러지 고화물 처리는 토양 무기양분의 공급, 염류의 상향이동 완충 효과, 작토층 및 근권확대로 인한 지하경의 정상적인 번식이 이루어져 원지반토에 비해 에너지작물 생육이 우수하여 하수슬러지 고화물처리는 토양복토재로써 간척지 토양의 화학성 및 물리성 개선에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olidified se wage sludge for use as a soil cover material in reclaimed land, the growth of energy crop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plots during 2 years (2010 and 2011). The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the mixing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plot (SS50), the covering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plot (SS100), and the original reclaimed land plot (ORL) on reclaimed land for the intended landfill in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SLC). Plant height, measured in the second year (2011), was highest in the Geodae 1 grown at plots treat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The growth of energy crops cultivated in both SS50 and SS100 were better than in ORL.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 (OM) and total nitrogen (T-N) at both SS50 and SS100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the ORL over 2 years. However, the soil from ORL showed higher salinity with high contents of exchangeable Na+ cation than that of SS50 and SS100 over 2 years. We consider that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n reclaimed land used in this study could be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due to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 application of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provide soil nutrients on reclaimed land i.e. the growth of energy crops better than in ORL, resulted in more OM and T-N contents in SS50 and SS100. Secondly, the top layers mixed or covered with solidified sewage sludge on reclaimed land may be prevented the salinity accumulation due to capillary rise to surface soil, and improved the cultivation layer for effectively propagating the rhizomes of energy crops. Thus the solidified sewage sludge may be a great soil cover materials for cultivation of bioenergy crops in reclaimed land.

저자
  • 안기홍(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구본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최용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문윤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차영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박선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김중곤(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
  • 윤영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작물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