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 분석 기반 텍스쳐 투영으로 구성된 놀이 공간 KCI 등재

Textures Projected Amusement Space based on Space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254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최근 MS사에서 Kinect를 출시하면서. 기존 고가의 RGB-D 카메라 센서를 대신하고 또한 MS의 SDK와 다른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쉽게 동작/공간 인식을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공간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서 삼차원 공간을 재구성하고 적합한 텍스쳐 컨텐츠를 제작하여 RGB-D 센서와 프로젝터가 합쳐진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실제 객체에 텍스쳐를 투영하고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놀이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서 실제 객체의 고정된 텍스쳐를 확장하고 사용자와 반응하는 전시형 체험 공간에 활용가능 하다.

Recently, MS present Kinect as low-price RGB-D camera sensor and there are well made library’s for motion sensing and space analysis. we present amusement space based on space analysis. We apply space analysis algorithm for 3D reconstruction and make contents for 3D model from 3D reconstruction. We project this contents at real object in amusement space by display module which combine RGB-D camera and projector. we present amusement space which project texture form contents at real object and this object interact with users.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공간 분석    2.1 Kinect Fusion 알고리즘    2.2 공간 좌표 변환   Ⅲ. 텍스쳐 컨텐츠 구성 및 투영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준석(홍익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박사과정) | Joonsuk Park
  • 김태규(홍익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석사과정) | Taegyu Kim
  • 박준(홍익대학교 컴퓨터 공학과 부교수) | Jun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