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악취물질 배출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KCI 등재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Odor Compounds from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397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냄새환경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한국냄새환경학회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제시를 위하여 2008년~2010년까지 28개소의 공공하수처리시설에 대하여 복합악취와 지정악취물질(22종)을 대상으로 악취실태조사 및 원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처리 공정과 슬러지 처리공정에서 주로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되고 있었으며, 황화수소와 메틸머캅탄 등의 황화합물류가 주요 악취원인물질로 조사되었다. 공공하수처리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유입수에서의 복합악취는 67배~66,943배, 황화수소는 ND~66.87 ppm으로 조사되었다. A 하수처리시설 유량 조정조에서의 복합악취와 황화수소는 교반시 각각 3,000배, 6.23 ppm, 비교반시 각각 300배, 0.20 ppm으로 조사되었다. 유입 분배조와 생슬러지 분배조는 하수와 슬러지 이송 파이프 라인의 낙차에 의해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므로 파이프 라인의 연장과 악취포집설비를 정상적으로 설치․운영하여 내부를 음(-)압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by the odor survey and causal analysis on dilution value and legally-designated odorants(22 compounds) of 28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in operation for 3 years between 2008 and 2010. As a result of this study, major odorous compounds in the research area appeared to be sulfur compounds such like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The highest odor concentration was detected at the pre-treatment and sludge treatment process. It was examined that the odor from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was different with appearance of sewage flows and odor dilution value of sewage flows was 67~66,943 dilution value, hydrogen sulfide was ND~66.87 ppm. Flow adjustment tank was to be examined that in case of agitating odor dilution value and hydrogen sulfide was the 3,000 dilution value, 6.23 ppm and in case of non-agitating the 300, 0.20 ppm at A. It was so formed the positive pressure by a high head of conveying fluid pipe in inflow distribution tank and raw sludge distribution tank that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negative pressure by the extension of conveying fluid pipe and the proper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ventilation system.

목차
1. 서 론
 2. 연구내용 및 방법
  2.1 조사대상 처리시설
  2.2 측정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악취발생원별 악취발생 특성
  3.2 악취발생원인 분석 및 관리방안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서병량(한국환경공단 호남권지역본부 대기관리팀,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Byeong-Ryang Seo
  • 전학송(현테크이엔지(주),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Hak-Song Jeon
  • 박영수(LG 이노텍(주) 환경안전기획팀,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Yeong-Su Park
  • 윤병로(세종플랜트(주),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Byeong-Ro Yun
  • 장태혁(한국환경공단 유해대기관리팀,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Tae-hyuk Jang
  • 김태오(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Tae-oh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