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합악취 숙련도 평가를 위한 시험용 시료로서 현장시료의 타당성과 이를 이용한 숙련도 평가 KCI 등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397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냄새환경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한국냄새환경학회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악취숙련도 시험을 위한 PTM 물질로 현장시료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에 채취한 현장시료의 안정성과 채취 균질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장시료를 PTM으로 사용하여 71개 악취검사기관의 공기희석관능법의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설정값(참여기관 또는 기준기관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를 기준으로 3가지 Z-score 평가법(표준편차 이용한 Z-score, Robust 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 목표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으로 숙련도의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하수처리장 농축조에서 채취한 현장시료는 2일 동안 희석배수의 변화 없이 안정적이었고, 참여기관을 4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채취한 현장시료가 균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현장악취시료가 악취 숙련도 평가를 위한 PTM 물질로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숙련도 시험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참여기관의 숙련도 만족비율은 Z-score 평가법이나 설정값의 기준(참여기관 또는 참고기관으로 선택한 3개 대학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 보다는 목표표준편차(S*ref)값에 의존하였다. 숙련도 만족비율은 S*ref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TM 시료의 분석결과에 대한 변동계수(CV) 0.13에 해당하는 목표표준편차값에서 숙련도 만족비율은 약 93∼96% 수준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stability and the feasibility of field odor samples as proficiency testing materials (PTMs) for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Seven-one olfactometry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he proficiency testing. Interlaboratory comparison was carried out by using a field odor samples taken from a sewage thickener as PTMs. Statistics for quantitative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three Z-score methods (standard deviation Z-score, Robust Z-score, target standard deviation Z-score) based on either average or median for the participants and three-reference laboratories results. The dilution to threshold of the field samples was constant for 2 days. The difference of dilution to threshold between the samples taken by all of participa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field odor sample is feasible as one of PTMs. Satisfactory performance of participants depend on target standard deviation (S*ref) rather than on Z-scores and the creteria of assigned values such as median and average. The satisfactory performance increased with increasin S*ref, and It was 93-96% of participants at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0.13.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2.1 현장시료의 채취 장소와 채취방법
  2.2 PTM 시료로서 현장시료의 안정성
  2.3 환경시료를 이용한 숙련도 평가
  2.4 통계적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PTM 시료로서 환경악취의 안정성
  3.2 환경시료를 이용한 숙련도 평가
  3.3 악취검사기관의 숙련도 평가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권우택(을지대학교 보건환경안전학과) | Woo-Taeg Kwon
  • 김선태(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Sun-Tae Kim
  • 이석준(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 Seok-Jun Lee
  • 홍석영(국립환경과학원) | Suk-Young Hong
  • 김명옥(국립환경과학원) | Myoung-Ock Kim
  • 정인영(국립환경과학원) | In-Young Chung
  • 한진석(국립환경과학원) | Jin-Seok Han
  • 류희욱(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 Hee-Wook Ry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