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bined Glossing as Input Enhancement in EFL Vocabulary Learning KCI 등재

EFL 어휘학습에서 입력강화로서의 혼합주석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054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혼합주석 (combined glossing)이 읽기 자료에 적용되었을 때 즉각적 어휘 회상(immediate word recall) 과 2주 후 어휘 기억유지 (word retention) 에 주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읽기 자료의 내용 이해에 중요한 단어들을 학습 목표의 어휘로 삼고 이들이 4번 반복적으로 나오도록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 졌고, 세 가지 혼합주석이 다음과 같이 적용되었다: (1)네 번의 L1 주석 (4G); (2) L1 주석 한번과 의미 써보기 (GR); (3) L1 주석 한번과 3번 볼드체 (GB3).초급을 조금 벗어난 (공인토익 450-470점) 30 명의 학습자들에게서 얻은 데이터 분석 결과, GR 주석이 즉각적인 수용적, 생산적 어휘 회상에 있어 가장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고, 다음으로 4G 와 GB3순서로 나타났다. 장기 어휘 기억 유지에 있어서는, 수용적 그리고 생산적 어휘 기억 유지에 있어 GB3 주석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다음으로 4G 와 GR 순서로 의미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 자료에 L1 주석과 의미적 강화인 단어 회상하여 써보기 (written retrieval), 또는 시각적 강화인 볼드체의반복 (frequent boldface) 과 혼합될 때 EFL 학습자의 어휘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d glossing in a reading text on L2 vocabulary learning. A total of 30 Korean EFL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types of glossing for target words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L1 glossing four times (4G); (2) L1 glossing plus written word retrieval (GR); and (3) L1 glossing plus boldface three times (GB3). The results showed that GR benefited immediate word recall, more substantially,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knowledge, followed by 4G and GB3. For word retention after two weeks, however, GB3 condi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word retention, followed by 4G glossing, while GR was the least helpful for delayed word retention. This indicates that when explicit glossing for target words is combined with retrieval opportunity as semantic enhancement, it is more significant for immediate word recall while learners are engaged in reading tasks in EFL vocabulary learning contexts. In addition, repetitive boldface as visual salience accompanied by explicit glossing prompted learners to connect target words’ form-meaning through repeated search, thereby benefiting long-term word retention most.

저자
  • Park Eun(Dankook University) | 박 은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