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ality and limit of Copyrignt Protection of Parody
이 시대 예술의 주요한 현상인 패러디는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주로 우리가 외국 작품을 모방하는 형태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외국 작가들이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모방하는 형태가 많아져‘, 역표절’논란이새로운현상으로등장했다. 이에 따라 표절이냐, 패러디냐를 둘러싸고 논란은 많아졌지만, 실제 소송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이는 문제의 심각성이 덜해서가 아니라, 법적으로 표절과 패러디 경계가 모호하고, 소송을 제기할 때 시간적∙정신적 비용이 적지 않게 들기 때문이다. 이 글은 우리나라 사법부가 패러디와 표절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 패러디를 얼마나 저작권법으로 보호해주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 데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저작권 관련 다양한 판례를 분석했다. 아울러 현행 저작권법 체계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데 있어서 안고 있는 한계를 찾아내고, 그 대안적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저작권법은 패러디에 대한 법적 근거가 모호해 인용의 법리를 규정한 저작권법 25조나 2차적 저작물 작성권에 관한 내용을 담은 21조의 해석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이유로 재판부는 법조문을 해석할 때 미국에서 패러디의 법적 근거가 되는‘공정이용’4가지 요건을 참조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때로는 지나치게 엄격하게 공정이용 요건이 적용됨으로써 예술가들의 창작 의욕을 고취시키고 인류의 지적 문화를 키운다는 저작권법의 원래 목적에서 벗어나, 오히려 이것이 새로운 예술의 탄생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예컨대, 서태지의 인기곡‘컴백홈(Come BAck Home)’을 패러디한 개사곡‘컴배콤’에 대해 재판부는 단순히 웃음을 자아내는 데 그쳤을 뿐 새로운 메지시를 담아내지 못해 저작권 침해라고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원곡에 없는 창작성이 추가되었으며 사회 비판 메시지도 담고 있다고 평가한다. 전문가들의 견해를 충분히 참고했을 경우 재판부가 이 개사곡을 패러디로 인정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저작권 인정여부를 판단할 때 중요한 준거가 되는 아이디어/표현 이분법도 오브제 등 아이디어 자체가 미술 작품이 되는 현대미술의 창작 개념과 맞지 않는 측면이 있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이런 가운데, 지도 등 미술적 표현이 들어간 저작물에서 아이디어 자체의 창작성을 인정해준 판례가 있어서 미술작품에서도 아이디어의 저작권이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하지만 재판부가 판결문에서 아이디어의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는 현행 저작권법을 의식한 탓인지, 이를 언급하지 않은 점은 아쉽다. 아이디어와 표현의 구분이 모호해지는 현대사회 저작물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앞으로 아이디어도 저작권으로 보호하기 위한 사법계의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ise of Postmodern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appropriation and remix, parody has become a key phenomenon ofcontemporary arts. Until the early 1990s, parody had been used for Koreans to imitate foreign arts. But more recently, foreign artistshave increasingly parodied local artistic works, causing controversies over plagiarism by foreigners. Accordingly, many contentions have occurred over how to distinguish a parody from a plagiarized work. But such disputes havebarely ended up in courts. It was not because of the severity of the problem but because of the enormous time and energy required tosettle cases through lawsuits since the borderline between a parody and plagiarism has become blurred.The primary goal of this thesis is to show how the Korean judiciary defines the meaning of parody and plagiarism and how parody isbeing protected by the copyright law through an analysis of a variety of precedents. Also, this thesis talks about the limitations of thecurrent copyright law in reflecting the views of the arts industry and suggests some solutions to this issue.The findings show parody is loosely defined under the Copyright Law of Korea, making it more relevant to invoke the Article 25 ofthe copyright law on quotations and citations and the Article 21 that governs secondary art works. For this reason, Korea’s judiciarysystem has a strong tendency to rely on the four-factor ‘fair use’test, which is widely used in the US legal system, to determinewhether the use of a copyrighted work is fair.The findings also show the Korean judiciary system, which often applies the fair use principles too strictly to copyright cases,discourages artists from creative works, hampering the advancement of human culture and knowledge.For instance, the judging panel has ruled “Combacom,”a song that changed the lyrics of Seo Tae-Ji’s popular song “Come BackHome,”violated the copyright law in that the new song just made fun of the original and failed to convey a new message. However,industry experts say the “parodied”song added creativity that the original had lacked and also carried a message of social criticism. If theexperts’views were fully taken into account, Combacom could have been regarded as a legitimate parody.Furthermore, the idea-expression dichotomy--currently, the most important criteria in judging copyright cases--doesn’t fit wellwith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modern art. Interestingly, there was a legal precedent that seemed to recognize the creativity of ideas ina case involving a map and other artistic expressions, potentially opening the door for more ideas in art works to be protected by thecopyright law. It is regretable, however, that the judge didn’t clearly state that in the ruling, apparently mindful of the current law thatdoes not respect the copyright of ideas. Given that the dividing line between ideas and expressions in modern arts is getting blurred, it ishighly encouraged that the Korean judiciary sector will actively discuss how to protect ideas under the copyright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