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가을철 갈대의 수확관리에 따른 이듬 해 조사료 생산성 비교 KCI 등재

Forage Productivity of Phragmites communis according to Harvest Management in Autum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0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가을철 수확관리가 이듬 해 생육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시험 1은 경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2010년 10월 28일 수확 시 예취높이를 3 cm,15 cm, 25 cm, 무예취구 등 4처리를 두고 2011년 10월 7일에 수확하였으며, 시험 2는 천안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 2010년 10월13일 예취높이를 10 cm, 20 cm, 무예취구 등 3처리를 두고 2011년 7월 7일에 1차, 10월 7일에 2차 수확을 실시하였다(시험 1). 이듬 해수확한 갈대의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3,092 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1,236 kg 으로 15 cm 예취구(1,234 kg)와 25 cm구(1,241kg)와 같은 수준이었고, 3 cm구의 수량은 가장낮은 경향이었다. 무예취구의 건물 소화율과RFV는 각각 39.98%와 65.3으로 예취구의 건물소화율 42.36~46.40%, RFV 67.8~72.5에 비해낮았으며 조사료(건초) 등급은 5등급(불량)이었다. 건물률은 무예취구가 50.67%로 예취구(45.31~47.60%)에 비해 높았다(시험 2). 이듬해 1차 건물수량은 무예취구에서 ha당 10,441kg으로 예취구에 비해 많은 경향이었으나 가소화 건물수량은 예취높이 20 cm구에서 3,885 kg으로 무예취구(3,693 kg)와 유의적 차이 없이많았으며, 10 cm구의 수량은 가장 적은 경향이었다. 사료가치는 예취구에서 양호하여 20 cm구에서 건물 소화율과 RFV는 각각 43.23%와64.1로 높았다(p<0.05). 조사료(건초) 등급은예취구는 5등급(불량), 무예취구는 6등급(부적합)이었다. 재생 갈대의 수량과 사료가치는 처리 간 차이 없이 조사료(건초) 등급은 4등급(다소 불량)이었다. 연간 건물수량과 조단백질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나, 가소화 건물수 20 cm구에서 ha당 5,354 kg로 무예취구(5,178 kg)와 차이가 없었으며, 10 cm구(4,531kg)는 가장 적었다. 1차 건물수량은 연간 수량의 75%, 조단백질 수량은 72%, 가소화 건물수량은 69%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재생 수량의비율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수확기에 있는 갈대는 가을철이라도 한 번 수확해 주는 것이 사료화 이용과 함께 이듬 해 생육에 유리하였으며, 수확 시 예취높이는 15~20 cm가 권장되었고, 장기적으로 갈대 자원의 안정된 생산성을유지하기 위해서는 연 1회 수확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harvest management during autumn on the forage production, quality and regrowth of following year of Phragmites communis as native gras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nsan and in Cheonan from 2010 to 2011. Forages were cut at 3 cm, 15 cm and 25 cm in height as compared to control (no harvest) in Ansan plots, and forages grown in Cheonan plots were cut at 10 cm and 20 cm in height with control (no harvest). The forages were harvested one time on Oct 7, 2011 in Ansan, and were harvested twice on July 7 and on October 7 in Cheonan. In Ansan, dry matter (DM) yield of control plot the following year were higher than those from harvested plots. In vitro digestible DM (IVDDM) yields, however, were the same: 1,236 kg/ha from control, 1,234 kg from 15 cm cut and 1,241 kg from 25 cm cut plots, except that lower IVDDM yield from 3 cm cut plot than these were observed. Forage quality of control plot was poorer than those of harvested ones.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control were 39.98% and 65.3, respectively as compared to harvested plots (42.36~46.40% IVDMD and 67.8~72.5 RFV). Yield and quality from Cheonan plots were similar to those from Ansan plots. Annual yield in DM and in CP from control plot were a little higher than those from harvested plot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found in IVDDM yield between 20 cm cut (5,354 kg/ha) and control (5,178 kg). But IVDDM of 10 cm cut forages was less (4,531 kg). Forage quality scores were better from 20 cm cut, and 10 cm cut plot than control, in order (p<0.05). The quality grades were the 5th and 6th for forages from harvested plots and control plot, respectively. Regrown Phragmites communis from all Cheonan plots ranked the 4th in forage quality. More than 70% of annual yield was observed from the first grown forages. One time harvest per year was desirable for following regrowth and long time stable production of Phragmites communis. We recommended that Phragmites communis be harvested once for more forage yield with higher quality, and that optimum cutting height is 15~20 cm.

저자
  • 서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ung Seo Corresponding author
  • 박진길(안산시청) | Jin Gil Park
  • 김원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Won Ho Kim
  • 김맹중(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Meing Jooung Kim1
  • 박형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yung Soo Park
  • 최기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i Choon Choi
  • 성하균((주)애드바이오텍) | Ha Guyn Sung
  • 이종경(농업기술실용화재단) | Joung Kyo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