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관령에서 옥수수 품종별 생육특성과 건물수량에 기후변화의 영향 KCI 등재

The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Hybrid Corn Varieties in Daegwallyeong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0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고랭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현상태와 초기생육은 품종간 차이는 없었으나 년차별 기후변화에 따라 습해 및서리 피해가 발생하였다. 2010년도는 6월 1일 서리가 내렸고, 2011년도는 파종 후 강우가 지속되어 발아 및 초기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초기생육이 안정적인 품종은국산품종으로 광평옥, 도입종은 P3156 품종이었다. 옥수수의 출사일은 년차 간 평균 5.5일의 차이가 있으며 국산종은 8월 8일부터 8월 12일까지 출사기간이며 도입종은 8월 5일부터 8월 11일까지 출사하여 도입종과 국산종의 출사일은 3~4일 차이가 있었다. 광평옥의 출사일은 8월 8일,P3156 품종은 8월 5일로 비교적 빨리 출사하는 품종이고평안옥과 DK729 품종은 출사기가 늦은 품종이었다. 옥수수 평균 초장은 231 cm 정도이며 국산품종 광평옥은 236cm, 평안옥 237 cm로 초장이 큰 품종이 건물생산량도 많았다. 줄기의 굵기는 전체 평균 23.2 mm, 착수고는 94 cm이었다. 착수고가 낮아 내도복성인 품종은 청안옥 86 cm,33J56 품종 80 cm이었고 강다옥은 101 cm로 착수고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고랭지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이삭비율은전체평균 39.3%이었으며 국산종보다 도입종이 다소 높았다. 국산품종 중에서 광평옥은 40.1%로 이삭비율이 높았으며 도입종 중에서 P3394 품종이 42.2%로 대등한 이삭비율을 보였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초중은 평균 59.6톤/ha이었으며 국산품종보다 도입품종의 생산성이 다소 높았다.평균 건물수량은 16,653 kg/ha이며 건물수량이 많은 품종순으로 32P75, P3156, 평안옥, P3394, 광평옥이며 건물수량은 각각 18,901 kg/ha, 17,997 kg/ha, 17675 kg/ha, 17194kg/ha, 17188 kg/ha 이었다. 옥수수의 당도는 발효과정에서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고랭지에서 평균 당도는 8.1이었다. 국산품종이 8.69로 도입품종 7.42에 비해 평균 1.27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DN 수량에서 32P75 품종은13,381 kg/ha, P3156 품종 12,590 kg/ha, P3394 품종 12,532kg/ha이며 국산품종은 평안옥 12,140 kg/ha, 광평옥 12,036kg/ha로 이들 국산품종은 도입품종과 대등한 TDN 수량을생산할 수 있었다. 고랭지에서 도입품종과 국산품종의 사료가치는 평균 CP 7.8%, 소화율74.2%, NDF 42.4%, ADF23.5%, TDN 70.3%로 대차 없었으며 청안옥의 TDN 함량은 73.3%로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silage corn hybrids in fields of forage crops of Hanwoo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Apr. 2009 to Sep. 2011. Corn hybrids were cultivated in Daegwallyeong of Gangwon Province, at an altitude of 760 m. Corn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5 domestic varieties and 5 foreign varieties. Differences of silk days according to years occurred at an average of 5.5 days. The silk periods of domestic varieties occurred from Aug. 8 to 12, while that of overseas varieties was from Aug. 5 to 11. Silk days of domestic varieties occurred approximately 3 to 4 days earlier than those of oversea varieties. Silk days of Kwangpyeongok and P3156 belonging to the early varieties were Aug. 8 and 5, respectively. Kwangpyeongok and P3156 were Aug. 8 and 5, respectively. Pyeonganok and DK729 belonged to late varieties. The mean plant height of corn was approximately 231 cm, while those of Kwangpyeongok and Pyeonganok were 236 cm and 237 cm, respectively. The mean stem diameter and ear height of corn were approximately 23.2 mm and 94 cm,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tem diameters, those of Cheonganok and 33J56 were 86 cm and 80 cm, respectively, while Gangdaok grew to a greater height (enter height) than other varieties. Dry matter yields of Kwangpyeongok and Pyeonganok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varieties. The mean leaf ratio of corn was 39.3%, while that of domestic varieties increased as compared to foreign varieties. The average DM yield of corn was 16,653 kg/ha, while those of 32P75, P3156, Pyeonganok, P3394 and Kwangpyeongok were 18,901, 17,997, 17,675, 17,194, 17,188 kg/ha, respectively.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s of 32P75, P3156, P3394, Pyeonganok and Kwangpyeongok were 13,381, 12,590, 12,532, 12,140 and 12,036 kg/ha, respectively. Corn crude protein (CP),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TDN were 7.8%, 74.2%, 42.4%, 23.5% and 70.3%, respectively. In the case of nutritive values of cor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f corn varieties of domestic and foreign origin.

저자
  • 김맹중(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Meing Jooung Kim
  • 서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ung Seo
  • 최기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i Choon Choi
  • 김종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ong Geun Kim
  • 이상학(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ang Hack Lee
  • 정종성(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Jeong Sung Jung
  • 윤세형(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Sei Hyung Yoon
  • 지희정(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Hee Chung Ji
  • 김명화(건국대학교 농식품안전인증센터) | Myeong Hwa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