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숙 다수성 추파 총체사료용 귀리 신품종 ‘옥한’ KCI 등재

A New Early-Heading and High-Yielding Winter Oat Cultivar for Whole Crop Forage, ‘Okh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0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옥한’은 내한성이 있어 남부지역뿐만 아니라 충청지역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면서 숙기가 빨라 논에서 벼 앞그루로 재배할 수 있는 조숙 다수성 귀리 품종 개발을 목표로2011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잡종은 1995년에 출수가 빠르면서 종실이 대립인 ‘아리80’을모본으로 하고, 출수기가 중생 정도이고 대립종이며 초형이 좋은 ‘Maine PI-590’을 부본으로 온실에서 인공교배하여 작성되었으며, 집단 및 계통 선발에 의해 내한성이 강하고 초형이 우수한 ‘SO95027-B-45-16-10-6-2-Y7-10’ 계통을 선발하였다. 이 계통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3개년에걸쳐 생산력검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숙기가 빠르고 수량이 많아 ‘귀리7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간 충남 예산, 전북 김제와 익산, 제주 등 4개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2011년 11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귀리 신품종‘옥한’은 좁은 녹색 잎, 황갈색 줄기, 황갈색의 긴 종실을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5월 6일로 표준품종인 ‘삼한’보다 6일, 제주지역에서는 11일 빨랐다. ‘옥한’의 내한성은‘삼한’과 대등하였고, 도복에 강하였다. 건물수량은 ha당평균 15톤으로 14.1톤인 ‘삼한’에 비해 6 % 많았다. ‘옥한’은 ‘삼한’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9.2 %, 가소화양분총량(TDN)이 58.5 %로 다소 낮았으나 TDN 수량은 ha당 8.7톤 으로 8.36톤인 ‘삼한’ 보다 340 kg 많았다. ‘옥한’의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7 ℃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벼 이앙이 빨라 월동작물의 재배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답리작 재배를 통한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

‘Okhan’ (Avena sativa L.), an oat cultivar for winter use, was developed by the breeding team at the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11. It was derived from an original cross between ‘Early80’, exhibiting early heading, and ‘Maine PI-590’ (CI 7518), exhibiting large-size grain, in 1995. Subsequent generations as well as cross-bred cultivars were handled in bulk, and pedigree selection programs took place at Suwon and Yeoncheon, respectively. A promising line, ‘SO95027-B-45-16- 10-6-2-Y7-10’, was selected in 2004, and was designated ‘Gwiri74’ after being selected from a yield trial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8. The breeding line ‘Gwiri74’ was subsequently evaluated for earliness of heading and forage yield in four different locations, Yesan, Iksan, Kimjae, and Jeju, from 2009 to 2011, and was finally named as ‘Okhan’. Over 3 years, the heading date of ‘Okhan’ was about 6 days earlier than that of the check cultivar ‘Samhan’, and their average forage dry matter yield harvested at the milk-ripe stage was 15.0 ton ha-1, compared with 14.1 ton ha-1 of check cultivar. Cultivar ‘Okhan’ was lower than the check cultivar ‘Samhan’ in terms of the protein content (9.2% and 9.9%, respectively)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58.5%, and 59.3%, respectively), while the TDN yield per ha was more than the check (8.70 and 8.36 kg, respectively). Fall sowing cropping of ‘Okhan’ is recommended only in areas where average daily minimum mean temperatures in January are higher than -7°C, and it should not be cultivated in mountain areas, where frost damage is likely to occur.

저자
  • 한옥규(국립식량과학원) | Ouk-Kyu Han Corresponding author
  • 박태일(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Tae-Il Park
  • 박형호(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Hyung-Ho Park
  • 송태화(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Tae-Hwa Song
  • 김기종(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 Kee-Jong Kim
  • 박남건(국립축산과학원) | Nam-Geon Park
  • 주정일(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Jung-Il Ju
  • 장영직(전라북도 농업기술원) | Young-Jik Jang
  • 황종진(국립식량과학원) | Jong-Jin Hwang
  • 권영업(국립식량과학원) | Young-Up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