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조업 종사자의 근골격계 통증에 따른 QuickDASH의 특성 KCI 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QuickDASH for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3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 DASH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점수의 차이와 검사도구의 특성과 민감도, 특이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전자 부품제조업의 생산직근로자 2,190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알아보기 위해 근골격계자각증상 설문지(KOSHA code H-30-2008)와 상지의 기능적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QuickDASH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QuickDASH 설문결과, 상지기능과 관련된 목 부위(29.08점), 어깨 부위(28.31점), 팔/팔꿈치 부위(32.47점), 손/손가락/손목 부위(28.79점)별로 각각 통증을 호소하는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QuickDASH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골격계 통증자를 기준으로 QuickDASH 설문지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신체부위별로 알아 본 결과 목 부위는 임계값을 24.9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66.9%, 특이도는 57.0%로 나타났다. 어깨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1%, 특이도는 51.4%로 나타났다. 팔/팔꿈치부위는 임계값을 25.1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3%, 특이도는 64.2%로 나타났다. 손/손가락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7.9%, 특이도는 48.7%로 나타났으며,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지 않고 어느 한 부위라도 양성에 해당하는 경우를 보면, 민감도
는 77.0%, 특이도는 63.5%, 임계값은 24.9점으로 나타났으며, AUC(Area Under the Curve)가 .78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DASH 설문지 검사가 특정 관절에 대한 통증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대해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o what extent the QuickDASH score has on
manufacturing workers in a particular area in terms of manag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subjects with and without pain. In addition, we intended to see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QuickDASH scores in terms of pain, whether any part of the score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hether we can distinguish people who know what the score is to a certain extent from those who don’t.
Methods : A QuickDASH survey was conducted on 2,190 manufacturing production workers with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only. To see any differences in the scores, their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survey results from QuickDASH, an ROC analysis used to measur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ickDASH scores of subjects with pain in their neck, shoulder, arm/elbow, and hand/finger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subjects. When a certain body area such as the neck, shoulder, arm/elbow, and hand/finger was not distinguished, in the case of subjects with symptoms in any body area, and the symptom-free subject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ject type even when the QuickDAS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7.0% and 63.5%, respectively, the number of critical points was 24.9, and AUC was .776.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QuickDASH can be used as an arm function assessment tool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ies.

저자
  • 강진우(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 Kang, Jin-Wu 교신저자
  • 김장곤(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Kim, Jang-G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