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암은 발생 빈도가 높지 않으며,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근치적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가 유일하나,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많지 않다. 복통을 주소로 내 원한 49세 환자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담낭암이 진단되었고,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및 양전자컴퓨터단층촬영 결과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로 확인되어 여러차례 담도 감압술과 항암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 중 시행한 반응 평가 검사에서 수술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우측 문맥술로 간 용적을 증가시킨 후 성공적으로 근치적 목적의 수술을 시행받았다. 첫 진단시 수술이 불가능하였던 진행성 담낭암 환자가 고식적 목적의 항암화학요법과 담관배액술을 여러 차례에 걸쳐 시행받은 이후 암의 범위가 줄어들어 성공적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급성 기종성 췌장염은 그 발생 빈도는 매우 드물지만 생명 을 위협할 수 있는 급성 췌장염의 심각한 형태이다. 기종성 췌장염은 장내 가스 형성 세균이 췌장에 침윤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췌장 실질 내 혹은 후복막강내 기종이 형성되어 있는 특징적인 영상 소견을 보인다. 기본적인 치료는 적절한 수액 공급과 적절한 항생제의 투약으로 감염을 조절하며, 임상 상황에 따라 수술적 제거 또는 경피 배액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73세 남성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기종성 췌장염이 적극적인 수액 및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여 전격성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진행하여 사망한 1예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급성 췌장염 중에 1차 검사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경우 급성 특발성 췌장염이라고 하며 그 중 종양에 의한 것은 비교 적 드물지만 진단이 늦어질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아 먼저 의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증례는 급성 특발성 췌장염 환자에서 악성종양을 의심하고 적극적으로 추적관찰하던 과정에서 초음파내시경상 이상소견이 확인되었고,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결정하여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관련 침습 암을 진단한 경우이다. 따라서 원인이 불분명한 췌장염에 대해 악성종양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함을 강조함과 동시에 초음파내시경의 추적관찰이 진단에 도움이 된 실제 사례를 보고함으로써 앞으로의 진료 및 의사결정에 유익할 것으로 보여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은 주변조직을 침투하는 특성으로 인해 담낭암과 감별이 어려우며 조직학적 확진을 위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고, 주변조직과의 유착으 로 확대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상당수이다. 소변색 변화를 주소로 내원한 69세 여자환자가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 명영상에서 주변조직을 침윤하는 담낭종괴가 발견되었고, 최초에는 담낭암으로 판단하였으나, 조직검사 및 추적 전산 화단층촬영으로 양성 염증 질환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 스테로이드 치료 시행 후 호전되어 확진을 위해 담낭절 제술을 시행하였고 황색육아종성 담낭염을 진단하였다. 스테로이드 치료로 인해 간조직 침투가 호전되어 광범위 절제 술을 피할 수 있었던 증례로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목적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 DASH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점수의 차이와 검사도구의 특성과 민감도, 특이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전자 부품제조업의 생산직근로자 2,190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알아보기 위해 근골격계자각증상 설문지(KOSHA code H-30-2008)와 상지의 기능적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QuickDASH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QuickDASH 설문결과, 상지기능과 관련된 목 부위(29.08점), 어깨 부위(28.31점), 팔/팔꿈치 부위(32.47점), 손/손가락/손목 부위(28.79점)별로 각각 통증을 호소하는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QuickDASH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골격계 통증자를 기준으로 QuickDASH 설문지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신체부위별로 알아 본 결과 목 부위는 임계값을 24.9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66.9%, 특이도는 57.0%로 나타났다. 어깨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1%, 특이도는 51.4%로 나타났다. 팔/팔꿈치부위는 임계값을 25.1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3%, 특이도는 64.2%로 나타났다. 손/손가락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7.9%, 특이도는 48.7%로 나타났으며,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지 않고 어느 한 부위라도 양성에 해당하는 경우를 보면, 민감도
는 77.0%, 특이도는 63.5%, 임계값은 24.9점으로 나타났으며, AUC(Area Under the Curve)가 .78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DASH 설문지 검사가 특정 관절에 대한 통증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대해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