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식적 항암 치료와 담관배액술 후 근치적 절제를 시행할 수 있었던 복막 전이를 동반한 진행성 담낭암 1예 KCI 등재 SCOPUS

Metastatic Gallbladder Cancer Treated with Curative Surgery after Cyclic Chemotherapy and Biliary Drain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6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담낭암은 발생 빈도가 높지 않으며,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근치적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가 유일하나,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많지 않다. 복통을 주소로 내 원한 49세 환자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담낭암이 진단되었고,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및 양전자컴퓨터단층촬영 결과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로 확인되어 여러차례 담도 감압술과 항암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 중 시행한 반응 평가 검사에서 수술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우측 문맥술로 간 용적을 증가시킨 후 성공적으로 근치적 목적의 수술을 시행받았다. 첫 진단시 수술이 불가능하였던 진행성 담낭암 환자가 고식적 목적의 항암화학요법과 담관배액술을 여러 차례에 걸쳐 시행받은 이후 암의 범위가 줄어들어 성공적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allbladder cancer is the most common malignancy of the biliary tract and carries very poor prognosis. Surgery is an only curative modality of treatment in the gallbladder cancer. However, as most of the gallbladder cancers are diagnosed at advanced stages, surgery can be attempted in a very limited number of patients. In advanced stage, treatment option is confined to a palliative systemic chemotherapy, and biliary decompression is needed when cholangitis is suspected. We report a case of 49-yearold patient with metastatic gallbladder cancer treated with successful curative resection after several courses of palliative chemotherapy and biliary decompression.

목차
서 론
 증 례
 고 찰
 요 약
 REFERENCES
저자
  • 유민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Min Su You
  • 이상협(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Sang Hyub Lee
  • 강진우(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Jinwoo Kang
  • 최영훈(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Young Hoon Choi
  • 최진호(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Jin Ho Choi
  • 백우현(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Woo Hyun Paik
  • 류지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Ji Kon Ryu
  • 김용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 Yong-Ta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