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 DASH 설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점수의 차이와 검사도구의 특성과 민감도, 특이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1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전자 부품제조업의 생산직근로자 2,190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알아보기 위해 근골격계자각증상 설문지(KOSHA code H-30-2008)와 상지의 기능적 동작을 수행하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형QuickDASH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QuickDASH 설문결과, 상지기능과 관련된 목 부위(29.08점), 어깨 부위(28.31점), 팔/팔꿈치 부위(32.47점), 손/손가락/손목 부위(28.79점)별로 각각 통증을 호소하는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QuickDASH 점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골격계 통증자를 기준으로 QuickDASH 설문지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신체부위별로 알아 본 결과 목 부위는 임계값을 24.9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66.9%, 특이도는 57.0%로 나타났다. 어깨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1%, 특이도는 51.4%로 나타났다. 팔/팔꿈치부위는 임계값을 25.1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4.3%, 특이도는 64.2%로 나타났다. 손/손가락부위는 임계값을 21.4점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77.9%, 특이도는 48.7%로 나타났으며,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지 않고 어느 한 부위라도 양성에 해당하는 경우를 보면, 민감도 는 77.0%, 특이도는 63.5%, 임계값은 24.9점으로 나타났으며, AUC(Area Under the Curve)가 .78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제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 상지의 동작수행능력을 평가하는 QuickDASH 설문지 검사가 특정 관절에 대한 통증보다는 전반적인 상지의 통증과 기능장애에 대해서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2.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사용 하여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측정자가 치료사인 경우와 아동의 부모인 경우에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6개 장애인 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136명의 뇌성마비 아동 이다. 아동의 부모와 치료사들은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CS)를 이용하여 아동들의 사물 조작 능력을 평가하였 다. 측정에 대한 측정자간 일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136명의 아동(남 73명, 여 63명)들의 평균나이는 7세 6개월이었으며 나이 범위는 4세 0 개월부터 13세 6개월이었다. 아동의 부모가 측정한 MACS값과 치료사가 측정한 MACS의 값은 좋은 일치도를 보 였다(ICC=.84, 95% 신뢰구간 .77-.88). 결론 : MA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장애아동을 비롯한 부모들에 의해 평가가 이루 어진다고 하더라도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적절한 일치도를 보임으로써 일반인에 의해 보다 자주 손쉬운 평가가 가 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