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capability, based on a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and manual ability, based on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Methods : The subjects were 18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are using a rehabilitation program from one of sixteen welfare centers. Therapists classified the children using MACS, and the parents evaluated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their children based on a PEDI questionnaire. The differences in their functional capabilities at each level of MACS were compared. We used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S and PEDI scores. We inspected the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scores at each level using an ANOVA analysis and Bonferroni post-hoc.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186 children (105 male, 81 female) was 7y 5mo [range of 4y 0mo - 13y 7m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r = -.79) and mobility(r = -.77) between each level of MACS. Post-hoc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ability at all levels of MACS. Posthoc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ability at all levels of MACS except levels 1 and 2.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bility was found (p<.05) at all levels of MACS. Conclusion : MACS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with self-care and mobility domain among the functional skill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at each level. In conclusion, it is possible to roughly explain the functional skills of children with CP using MACS, indicating that MACS may be useful in clinical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