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치매노인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KCI 등재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Appli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 Pilot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3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치매노인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2년 5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구로구 ○○데이케어센터에 내원한 경 . 중등도 치매노인 7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주 1회 40분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후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평가는 Assessment of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CIS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작업 중심 회상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치매노인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기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p<.05). 또한 경도치매와 중등도 치매 사이에 ACIS 점수 변화량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는 없었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치매노인에게 있어서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향후 작업치료사들이 작업 중심 회상치료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작업 중심 회상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on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Methods : For seven elderly persons with dementia, four with mild dementia and three with moderate, we executed occupational reminiscence for eight weeks from May to July, 2012, with
one session per week, at 40 minutes per session.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hich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tool, was also applied to verify the effects occupational reminiscence on the subjects’ ability regarding thei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The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Assessment of Interaction Skills (ACIS).
Results :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terven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p<.05). In addition, an improvement of their
ACIS sco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ose with mild dementia and those with
moderate dementia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occupational reminiscence for elderly people
suffering from dementia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by enhancing thei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skills. If occupational therapists can obtain knowledge and make a program for
occupational reminiscence therapy, research in this field will be further developed.

저자
  • 임경민(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im, Kyung-Min
  • 박지혁(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Park, Ji-Hyu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