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급성 뇌경색 진단을 위한 CT관류영상과 MR확산영상의 비교 KCI 등재

The functional imaging to Diagnose Acute Cerebral infarction Comparing between CT Perfusion and MR Diffusion Imag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6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급성 뇌졸중의 경우 빠른 시간 내의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급성기 뇌경색 환자 에서 관류CT와 확산강조MRI의 영상을 비교하여 허혈 부위와 경색부위에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관 류 CT와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diffusion weighted MR imaging, DW-MRI)을 시행한 12명의 급성뇌경색 환자를 대 상으로 병변부위와 정상부위에서 각각의 CBF, CBV, MTT, TTP지도와 DW-MRI의 신호강도 값을 비교하고, 관류CT 와 DW-MRI에서 병변의 크기 비교를 해보았다. CBF, CBV, MTT, TTP는 모두 관류결손을 보였고, 관류 결손이 인지 되는 부위에서 MTT와 TTP시간의 현저한 지연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MTT와 TTP 지도의 결손부위 면적은 DW-MRI 보다 크게 나타나 허혈성 반음영을 추측할 수 있었고, 일부 DW-MRI에서 경색부위를 나타내지 못하는 경 우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류 CT의 지도를 이용하면 뇌경색의 조기 진단뿐만 아니라 허혈 중심부, 그리고 허혈성 반 음영을 예측하여 관류결손 부위의 혈류 역학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It is very important for early diagnosis and therapy with ischamic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This study was to know the ischemic penumbra lesion which compared CT-perfusion and diffusion weighted MRI(DWMRI)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12 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had performed perfusion CT and performed DWMRI. Perfusion image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CBV), cerebral blood flow(CBF), time to peak(TTP) and mean transit time(MTT) maps obtained the values with defect lesion and contralateral normal cerebral hemisphere and DWMRI was measured by signal intensity and compared of lesion size between each perfusion map. All perfusion CT maps showed the perfusion defect lesions in all patients. There were remarkable TTP and MTT delay in perfusion defect lesions. The lesions on CBF map was the mos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lesions on DWMRI. The size of perfusion defect lesions on TTP and MTT map was larger than that of lesions on DWMRI, suggesting that MTT map can evaluate the ischemic penumbra. Perfusion CT maps make it possible to evaluate not only ischemic core and ischemic penumbra, but also hemodynamic status in the perfusion defect are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erfusion CT can be useful to the diagnosis and treatment in the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저자
  • 김선희(마산대학교 방사선과) | Seonhee Kim Corresponding Author
  • 은성종(한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Sungjong Eun
  • 임채평(광양보건대학 방사선과) | Chaepyeong R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