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물에 의한 호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법에 대한 고찰 KCI 등재

Review of a Plant-Based Health Assessment Methods for Lake Eco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물관리 정책이 수질평가 중심에서 수생태계 건강성 평 가로 전환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현재까지 수계의 평가기법은 수질이나 하상구조와 같은 물리화학적 요소 및 플랑크톤, 저서동물과 같은 일부 생물의 평가 에 국한되어 개발되어 왔다. 식물은 호수의 물리, 화학 및 생물 변화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지표인데 개발이 늦었 다. 환경부에서는 전국의 호수와 저수지를 생태계로써 평 가하고 관리할 목적으로 생태계의 평가 기법을 마련 중 에 있다. 이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식물을 이용하여 우리 나라 호수생태계에 적합한 건강성 평가기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기개발된 국외의 평가기법 중 주로 다변수법을 주로 고찰하였다. 다변수법의 적용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변수 간의 상관성 등의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단일 변수로 쓸 만한 지표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다변수법은 다면평가와 데이터 축적의 장점이 크다. 다변 수법을 세 단계, 즉 평가지표의 선정, 점수화, 평가지수의 결정과 검증단계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평가지표 선정단 계에서 가장 적용가능한 지표는 종조성과 수도 및 종 풍 부도와 다양성 관련 지표들이다. 국외에서 대부분 포함하 는 지표종은 아직 개발이 불완전해서 우리나라에서 적용 하기에 한계가 있다. 다수 조사자가 참여할 경우 식물상 에 대한 오동정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점의 사전 고려가 필요하다. 지표의 점수화 단계도 한계 가 있다. 우리나라에 인위적 교란이 거의 없는 기준 호수 가 없기 때문에 대안으로 다수의 호수를 조사하고, 조사 된 호수의 지표값을 상대화하여 적용해야 한다. 같은 이 유로 지수에 대한 검증과정도 어렵다. 종합할 때, 여러 가 지 한계가 있지만 현장에서 조사 가능한 지표를 이용하 여 식물을 이용한 호수 건강성의 다변수평가체계를 구축 하는 것은 가능하다. 추후, 식물종의 질적 가치에 대한 지 표를 추가하고 보다 많은 호수 조사의 결과가 누적되면 수준 높은 평가체계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It is a global trend that the water management policy is shifting from a water qualityoriented assessment to the aquatic ecosystem-based assessment. The majority of aquatic ecosystem assessment systems were developed solely based on physicochemical factors (e.g., water quality and bed structure) and a limited number of organisms (e.g., plankton and benthic organisms). Only a few systems use plants for a health assessment, although plants are sensitive indicators reflecting long-term disturbances and alterations in water regimes.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system is underway to evaluate and manage lakes as ecosystem units in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 reviewed the existing multivariate health assessment methods of other leading countries, and discussed their applicability to Korean lakes. The application of multivariate assessment methods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in addition to the correlation problem among variables. However, a single variable is not available at this moment, and the multivariate method is an appropriate system due to its multidimensional evaluation and cumulative data generation. We, therefore, discussed multivariate assessment methods in three steps: selecting metrics, scoring metrics and assessing indices. In the step of selecting metrics, the best available metrics are species-related variables, such as composition and abundance, as well a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ator species, such as sensitive species,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in other countries, but their system of classification in Korea is not yet complete. In terms of scoring metrics, the lack of reference lakes with little anthropogenic impact make this step difficult, and therefore, the use of relative scores among the investigated lakes is a suitable alternative. Overall, in spite of several limitations, the development of a plant-based multivariate assessment method in Korea is possible using mostly field research data. Later, it could be improved based on qualitative metrics on plant species, and with the emergence of further survey data.

저자
  • 정연숙(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Choung Yeonsook Corresponding author
  • 이경은(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 Kyunge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