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수성 총체 사료용 벼 품종 ‘목양’ KCI 등재

A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Cultivar ‘Mogya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7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목양’은 국립식량과학원 벼 육종연구진이 총체 사료용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1년 하계에 SR24592-HB2319 를 모본으로 하고 신초형 IR73165-B-6-1-1을 부본으로 교배 하여 계통육종법으로 육성한 품종으로 2010년 12월 농작물 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품종으로 선정 됨과 동시에 ‘목양’으로 명명하였다. ‘목양’의 출수기는 보통 기 재배에서 8월 23일로 ‘녹양’보다 8일 정도 늦은 만생종이 다. ‘목양’은 도열병, 줄무늬잎마름병, 오갈병에는 ‘녹양’보다 강하지만, 흰잎마름병, 벼멸구에는 약한 편이다. ‘목양’은 ‘녹 양’보다 탈립에 강하고, 후기녹체성이 우수하였다. ‘목양’은 가소화양분총량(TDN) 함량이 높고 중성세제불용섬유소(NDF) 와 산성세제불용섬유소(ADF)가 낮았다. ‘목양’의 총체수량은 지역적응시험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17.7 MT/ha 로 ‘녹양’보다 25% 증수하는 경향을 보였다. ‘목양’은 가소화 양분총량(TDN)은 59.5%였으며 ADF와 NDF가 낮아 상대적 사료가치가 ‘녹양’에 비해 높은 품종이다. ‘목양’의 정조 수량은 보통기 재배에서 5.59 MT/ha로 ‘녹 양’보다 16% 증수되었다. 재배적지는 중부 및 남부평야지 1 모작 지대이다.

‘Mogyang’, a new high biomass yield and whole crop silage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i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Suwo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was to 2010 and released in 2011.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R24592-HB2319/IR73165-B-6-1-1. This cultivar has about 118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seeding to heading and has long and erect leaves (culm length 93 cm). It has tough thick culm with strong lodging tolerance. This cultivar has a few less tillers per hill and markedly more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Mogyang’ has wide and stay green leaf compared other whole crop silage varieties. This new variety has grain shattering resistance and disease resistance for blast and dwarf virus. This variety has good qualities for whole crop silage with high TDN (Total Digestive Nutrient) yield and low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nd low ADF (Acid Detergent Fiber) compared to common high grain yield varieties. The biomass and TDN yield performance of ‘Mogyang’ was 59.5% (chemical properties), 17.7 MT/ha (biomass yield), individually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Mogyang’ is adaptable to central plain area,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저자
  • 박향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yang-Mi Park
  • 성낙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Nak-Sig Sung
  • 장재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ae-Ki Chang
  • 김준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un-Hwan Kim
  • 정오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O-Young Jung
  • 최임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m-Soo Choi
  • 최용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Hwan Choi
  • 이규성(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Gyu-Sung Lee
  • 이점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m-Ho Lee
  • 홍하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a-Cheol Hong
  • 신영섭(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Seop Shin
  • 황흥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ung-Goo Hwang
  • 정종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Min Jeong
  • 현웅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Ung-Jo Hyun
  • 김연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eon-Gyu Kim
  • 김명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yeong-Ki Kim
  • 안억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Eok-Keun Ahn
  • 원용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Jae Won Corresponding author
  • 이상복(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ang-Bok Lee
  • 양창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ang-Ihn Y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