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도체특성과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Silag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issue Selenium Deposition in Finishing Hanwoo Ste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8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수준의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리지 와 무기셀레늄을 급여 시 비육기 거세한우의 생산성, 혈액 성상, 도체특성 및 조직 내 셀레늄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은 거세비육우 20두를 공시하였고, 처리구 는 셀레늄 수준에 따라 0.1 ppm Se(대조구), 0.3 ppm Se (T1), 0.9 ppm Se (T2) 및 무기셀레늄 0.9 ppm Se (T3) 급 여구로 4처리를 나누어 처리구 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 하여 90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시험사료는 셀레 늄 강화 및 셀레늄 무처리 관행 청보리 사일리지를 조합하 여 건물기준 30% 함유하도록 배합하였다. 실험사료 내에 셀레늄 강화수준은 사료섭취량과 증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 았고, 혈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농도는 대조구보다 T2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면역글로불린은 셀레늄함유 량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 T2와 T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p<0.05). 혈중 셀레늄농도는 유기태 셀레늄을 0.9 ppm 급여한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도체율, 배최 장근,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육색 및 지방색은 셀레늄급 여로 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사료 내 셀레늄 수준 및 형태는 육질 및 육량등급 간에 관련성이 형성되지 않았다. 신장, 간장 및 후지 내 셀레늄 함량은 사료 내 셀 레늄 강화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직선적으로 증가 하였고(p<0.05), 무기셀레늄급여는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 셀레늄함량 증가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셀레늄 강화 청보리 사일 리지 내 존재하는 셀레늄은 조직 내 셀레늄함량을 증가시 키기에 유효한 셀레늄급원인 것으로 나타났고, 셀레늄 강 화 청보리 최고수준(0.9 ppm Se)으로 급여하여 생산된 한 우 후지육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셀레늄은 성인기준 1일 최소 셀레늄 권장량(40 ㎍)의 약 69%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seleniferous whole crop barley silage (WCBS)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nd tissue selenium deposition infinishing Hanwoo steers. A total of 20 growing Hanwoo steer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feed groups: control (0.1 ppm Se), T1 (0.3 ppm Se), T2 (0.9 ppm Se), and T3 (0.9 ppm of inorganic Se). Five steers were allocated to each treatment group, and the trial lasted for 90 days. All experimental diets combined seleniferous and/or non-seleniferous WCBS up to a ratio of 30%. For the T3 diet, 0.9 ppm Se in the form of sodium selenite was added to the control diet. Dietary level and type of selenium did not affect feed intake and body weight gain. Blood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T2 group than in control. Blood immunoglobulin G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selenium;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2 and T3 than in control. Blood selenium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p<0.05) in T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ressing rate, ribeye area, marbling score, meat color and fat color. Furth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levels and chemical form of dietary selenium and quality and quantity of meat. To the contrary, tissue selenium content in kidney, liver, and hind leg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selenium; however, feeding inorganic selenium did not introduce a significant increase in tissue selenium content of finishing Hanwoo ste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enium present in seleniferous WCBS was an effectively absorbable selenium source, suitable for increasing tissue selenium content in beef. Approximately 100 g of hind leg muscle from steers fed on the T2 diet met approximately 69% of the recommended daily selenium requirements.

저자
  • 황보순(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Soon Hwangbo
  • 조익환(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Ik Hwan Jo Corresponding author
  • 김국원(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Guk Won Kim
  • 최창원(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Chang Weon Choi
  • 이성훈(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Sung Hoo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