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오미자 수확 후 이산화염소수를 이용한 표면 세척에 따른 미생물 저감 효과 KCI 등재 SCOPUS

Enhanced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Omija (Schizamdra chinesis Baillon) by ClO2 (chlorine dioxide) treat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87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오미자의 위생과 저장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총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균)의 저감을 위해서 세척수 종류(물, ClO2, H2O2) 및 농도별 이산화염소수(ClO2 10 ppm, ClO2 15 ppm, ClO2 20 ppm, ClO2 25 ppm, ClO2 30 ppm)처리에 따른 세척시간(30~90초) 및 세척배수(×1~×4)을 달리 처리 하여 오미자 표면에 존재하는 총 호기성 세균수, 효모 및 곰팡이균수를 측정하였다. 오미자의 세척수 종류에 따른 미생물 균수 측정 결과, 세척하지 않은 구(control) 및 물세 척 처리구보다 이산화염소수 처리구 및 과산화수고 처리구 가 총세균, 효모 및 곰팡이 균수가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 다. 이산화염소(ClO2)수를 이용한 오미자의 세척시간에 따 른 미생물 균수 측정 결과 총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는 이산화염소 농도 30 ppm 에서는 30초, 15 ppm에서는 60초, 10 ppm에서는 90초 처리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세척 배수에 따른 미생물 사멸 효과는 이산화염소 농도 30 ppm 에서는 ×1, 20 ppm에서는 ×2, 15 ppm에서는 ×4로 처리시 총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가 측정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로 미루어 보아 이산화염소수 처리구는 이산화염소수의 농도 가 증가하고 세척 배수가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effectivenes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treated with ClO2 (chlorine dioxide) concentration (10, 15, 20, 25 and 30 ppm), washing time (30, 60 and 90 sec) and multiple proportion (x1, x2, x3 and x4). The seven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Omija without washing water treatment), W-T (Omija treated by tap water (20±1℃) for 30 seconds), ClO2-10 (Omija treated by 10 ppm ClO2), ClO2-15 (Omija treated by 15 ppm ClO2), ClO2-20 (Omija treated by 20 ppm ClO2), ClO2-25 (Omija treated by 25 ppm ClO2), ClO2-30 (Omija treated by 30 ppm ClO2), and then they were detected number of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The rate of inactivation was found, for microorganisms of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to increase with a increase of ClO2 treatment concentration and multiple proportion. No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in ClO2-30 sample treated for 30 sec, ClO2-15 treated for 60 sec and ClO2-10 treated for 90 sec were detected, and in ClO2-30 Omija with multiple proportion ×1 (Omija : 30 ppm ClO2 solution ratio was 1:1 (w/w)), ClO2-20 with ×2 (Omija : 20 ppm ClO2 solution ratio was 1:2 (w/w)) and ClO2-15 with ×4 (Omija : 15 ppm ClO2 solution ratio was 1:4 (w/w)) respectively.

저자
  • 이슬(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Seul Lee
  • 문혜경(경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Hey-Kyung Moon
  • 이수원((주)토리식품) | Su-Won Lee
  • 문재남(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Jae-Nam Moon
  • 이선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Sun-Ho Lee
  • 김종국(경북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과) | Jong-Kuk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