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여성 골다공증과 체질량지수와의 관계 분석 KCI 등재

Relationship Analysis of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BMI) in the Middle-Aged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0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일반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저체중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비만인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밀도 검사에서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중년여성 120명을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체질량 지수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을 저체중, 18.5 ~ 22.9를 정상, 23.0 ~ 24.9를 과체 중, 25.0 ~ 29.9를 비만, 30.0 이상인 경우를 고도비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체질량지수 분포는 저체중이 2명(1.7%), 정상이 18명(15.0%), 과체중이 19명(15.8%), 비만이 75명(62.5%), 고도비만이 6명(5.0%) 이었다. 또한 체질량지수와 골다공증의 상관관계는 체질량지수가 정상인 경우 18명 중 13명(72.2%)이 골다공증 이었으며 과체중 의 경우 19명 중 14명(73.7%), 비만의 경우 75명 중 63명(84%), 고도비만의 경우 6명 중 5명(83.3%)로 나타나 체 질량지수가 비만인 경우에서 골다공증 발생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은 체질량지수가 비만일수록 골다공증 환자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부분 골감소증보다는 골다공증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Generally, the osteoporosis of a middle-aged women have been reported that was a high risk in underweight, but the obese women have feasible osteoporosis. Therefor, the subjects were 120 middle-aged women that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in the bone mineral densitometer (BMD), this stud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 (BMI) of the middle-aged women. We were determined BMI which was less than 18.5 underweight, 18.5 to 22.9 normal, 23.0 to 24.9 overweight, 25.0 to 29.9 obesity and extremely obesity were more than 30. When we examined the BMI distribution of the subjects, it was 2 women (1.7%) for underweight, 18 women (15.0%) for normal, 19 women (15.8%) for overweight, 75 women (62.5%) for obesity and 6 women (5.0%) for extremely obesity.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MI of the subjects, it was the osteoporosis in 13 cases out of 18 (72.2%) with normal, in 14 case out of 19 (73.7%) with overweight, in 63 case out of 75 (84%) with obesity, in 5 case out of 6 (83.3%) with extremely obesity, besides, the osteoporosis usually marks the highest in a BMI with obesity. In conclusi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MI, we found out that the osteoporosis of the middle-aged women was high risk with obesity, and that was mostly higher the osteopenia rather than osteoporosis.

저자
  • 임종덕(모닝정형외과의원 영상의학과) | Jongduek Lim
  • 정재은(삼육의료원 서울병원 의생명공학과) | Jaeeun Jung
  • 박철우(동의과학대학 방사선과) | Cheolwoo Park
  • 동경래(광주보건대학교 방사선과, 조선대학교 원자력공학과) | Kyungrae Dong
  • 김호성(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Hosung Kim
  • 김순근(우석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Sunge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