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재래종 벼 유전자원의 미질관련 특성 KCI 등재

Analysis of Grain Quality Related Properties in Korean Rice Land-races Germpla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36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에 보존되고 있는 우리나라 재래종 벼 유전자원 중 선발된 394품종의 미질과 관련된 특 성을 분석하고 상호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함량은 5.2~9.9%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였고, Mg함량은 12.7 mg에서 37.7 mg까지의 넓은 범위의 분포를 보였으며, K함량 또한 60.0 mg에서 125.9 mg 까지의 넓은 범위의 분포를 나타냈고, 차진정도의 지 표로 사용되는 Mg/K 비율은 일품벼보다 높게 분포하 였다. 2. 쌀의 차진정도를 결정하는 주된 인자이며 미질을 나타 내는 척도의 하나인 아밀로스 함량은 현재 우리나라 밥쌀용 수도 장려품종들이 대체로 18~20% 수준에 있는데 비하여 재래종 유전자원에서 메벼의 범위가 12.4~28.9%였고 18~20% 범위에 있는 품종은 144 품종이었다. 3. KOH에 의한 알카리붕괴도는 0.0~7.0까지 분포하였는 데 일품벼의 6.4와 유사한 품종이 95품종이었다. 4. Toyo 식미계를 이용한 식미 검정에서 현재 양식미 품 종으로 평가받고 있는 일품벼와 유사한 품종이 16품 종이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양식미로 선호하는 호화온 도가 낮고 Toyo 식미치가 높은 품종은 IT 173444번, 008530번, IT 006554번이 대표적 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ake clustering analysis based on majo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palatability of 394 Korean rice land-races. The items investigated were protein content, Mg content, K content, Mg/K ratio, Toyo-taste value, ADV (alkali digestion value) and amylose content. The range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mylose, protein, magnesium, potassium was from 12.4 to 28.9%, from 5.2 to 9.9%, from 12.7 to 37.7 mg and from 60.0 to 125.9 mg,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the grain quality, properti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estimates of Toyo taste meter, were protein and amylose contents and hot viscosity. Also, at the expected taste as a cooking rice, using Toyo taste meter, a total 16 accessions were selected as good taste as “Ilpumbyeo”. Also, IT173444, IT008530 and IT006554 were selected as remarkable sources for the cooking rice, in terms of gelatinated temperature and Toyo taste meter value.

저자
  • 이정로(국립농업과학원) | Jung-Ro Lee
  • 마경호(국립농업과학원) | Kyung-Ho Ma
  • 이기안(국립농업과학원) | Gi-An Lee
  • 곽재균(국립농업과학원) | Jae-Gyun Gwag
  • 이점식(국립식량과학원) | Jeom-Sik Lee
  • 강희경(공주대학교) | Hee-Kyoung Kang
  • 김연규(국립농업과학원) | Yeon Kyu Kim
  • 조진웅(충남대학교) | Jin-Woong Cho Corresponding Author
  • 이석영(국립농업과학원) | Sok-Young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