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부지방 화단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도입 수선품종의 피복유무에 따른 특성평가 KCI 등재

Cultivar Evaluation of Narcissus spp. Treated with Mulching for Bedding Plant in Central Area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6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Amaryllidoideae속 수선과에 속하는 수선 품종 중 우리나라에서 중부지역의 화단용으로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실험을 실시하 였다. 피복의 유무에 따라 생육상태나 자구의 형성이 받 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원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 원 노지 포장에 2010년 10월과 2011년 11월, 짚피복처 리구에는 생짚을 20cm 두께로 덮어주어 피복을 해주었 고, 무피복처리구에는 피복을 하지 않아 차이를 두었다. Tender III에 속하는 ‘tazetta. Shiro Busa’ 품종은 무피 복처리포장에서 모두 고사하였고 Hardy I에 속하는 ‘Cum Laude’, ‘Texas’ 품종과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 등 14품종은 90-100%의 생존율을 나타내는 등 품종간 생존율에 차이를 보였다. 생존율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생육상에 차이는 미비하였으며 화색과 부관의 색, 향기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ardy I에 속하는 ‘Cum Laude’ 품종과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e’, ‘Ice Follies’, ‘Orange Ice Follies’, ‘Replete’, ‘White Lion’는 초장, 부관의 폭, 화폭 등에서 평균간 유의성을 나타냈다. 자구의 수는 품종간 차이를 보이며, 연간 0-2 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입 수선품종에는 일반적 으로 사용되던 황색 수선 이외에도 백색, 오렌지색 의 화색을 지니고, 향기가 풍부한 수선도 있었다. 연구 의 결과, 도입수선 26품종 중 수원을 중심으로 한 중부 지방의 무피복상태에서도 화단용으로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수선 품종은 RHS 분류체계 Hardy I에 속하는 ‘Cum Laude’ 및 ‘Texas’ 와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e’, ‘Barrett Browning’, ‘Changing Colors’, ‘Dutch Master’, ‘Eastern Dawn’, ‘Garden Giant’, ‘Ice Follies’, ‘Obdam’, ‘Standard Value’으로 총 11품종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rowth of Narcissus during the winter with and without the presence of straw mulching. On top of flavoured or yellow Narcissus, many different colors, including white and orange, were found from introduced varieties. The growth difference in flowering time under straw mulching and non-mulching conditions was not found. However, survival rate varied among cultivars. Under both conditions, from Hardy I group, ‘Cum Laude’ and ‘Texas’ showed the survival rate of 100%, ‘Baby Moon’ survived 70%, and ‘Sir Winston Churchill’ did 50%. In Hardy II group, fourteen (14) cultivars including ‘Apothease’ showed the survival rate of 90 to 100% under non-mulching condition, and seven (7) cultivars including ‘Acropolis’ survived between 50 to 70%. ‘tazetta. Shiro Busa’, which belongs to Tender III group, survived over 90% under straw mulching condition, but it could not survive under non-mulching condition. However, survival rate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mulching processing depending on the growth difference is neglig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ower color, corona color and fragrance. ‘Cum Laude’, which belongs to Hardy I group and ‘Apothease’, ‘Ice Follies’, ‘Orange Ice Follies’, ‘Replete’, ‘White Lion’ which belongs to Hardy II group, plant height, diameter of corona and flower etc., the average inter showed significance. Sh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ivars, the annual number of bulblets was increased by 0-2. In addition to introduced cultivars of flower color generally used to be yellow, white, orange, etc. and strong fragrance. Thus, among 26 introduced cultivars of Narcissus, those can be used for flowerbeds in the central region surrounding Suwon were ‘Cum Laude’ and ‘Texas’, which belong to Hardy I, and ‘Apothease’, ‘Barrett Browning’, ‘Changing Colors’, ‘Dutch Master’, ‘Eastern Dawn’, ‘Garden Giant’, ‘Ice Follies’, ‘Obdam’, ‘Standard Value’, which belong to Hardy II, as a total of eleven (11) cultivars.

저자
  • 신수민(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Su Min Shin
  • 최윤정(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Youn Jung Choi Corresponding author
  • 이주희(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 Ju Hee Rhee
  • 강윤임(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Yun Im Kang
  • 구대회(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Dae Hae Goo
  • 정향영(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Hyang Young Joung
  • 임기병(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Ki-Byung L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