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웨딩잡지에 나타난 부케의 경향과 소비자 인식 KCI 등재

The Trend of Bouquets Appeared in the Korean Wedding Magazines and Consumer's Recogn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 웨딩부케의 실태를 알아보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케의 형태, 색상, 소재 등에 대한 의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여 현재 소비자들의 웨딩부케에 관한 생각과 기호를 분석하여 웨딩부케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를 분석 한 결과 웨딩잡지에 가장 많이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 태는 원형(37.3%), 내츄럴형(27.1%), 폭포형(16.8%), 암형(7.2%), 초승달형(3.8%), 볼형(1.2%), 기타(6.6%) 였다. 전기에 원형과 함께 높은 비율을 보였던 폭포형, 초승달형이 후기에는 감소하고 원형, 내츄럴형, 암형이 많은 비율을 보였다. 색상빈도 분석 결과 연한 색조로 이루어진 부케(40%), 흰색(35%),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가 함께 쓰인 부케(14%), 진한 색조(10%)였다. 전기에 많은 비율을 보였던 흰색부케는 점차 감소한 반면 연한 색조 부케의 수는 크게 증가하였다. 웨딩부 케를 구성하고 있는 소재를 분석한 결과 꽃과 잎소재 를 함께 사용한 부케(59.1%)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꽃만 사용한 부케(38.4%), 잎소재만 사용한 부케 (2.6%)였다. 1999년 꽃과 잎소재를 함께 사용한 부케 가 80.9%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지만 꾸준히 감소하여 2010년에는 34.4%가 되었으며 꽃만 사용한 부케는 56.5%로 증가하였다. 소비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한 결과 선호하는 부케 디자인 형태는 원형(40.3%)이 가장 많 이 나타났고, 내츄럴형(31.1%), 초승달형(9.2%), 암형 (8.3%), 폭포형(6.3%), 볼형(4.9%) 순으로 나타나 대 체적으로 원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부케 선택 시 원하는 꽃의 색상을 분석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볼 때, 연한 색조(55.8%)가 가장 많이 나타 났고, 연한 색조와 진한 색조(20.9%), 흰색(13.6%), 진한 색조(9.7%)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부케 선택 시 연한색조의 색상 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 다. 선호하는 부케 소재의 사용구성을 분석한 결과는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60.7%)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꽃과 잎소재를 함께 디자인한 부케(35.4%), 잎소재만 으로 디자인한 부케(3.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꽃만으로 디자인한 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2년 동안 웨딩잡지에 나타난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 형이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내츄럴형이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가 선호하는 웨딩부케의 형태는 원형이 가장 많 았다. 색상은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고 소 비자도 연한 색조의 웨딩부케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소재는 12년 동안 꽃과 식물소재가 함께 쓰인 웨딩부 케가 가장 많았고 후기에는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가 가장 많았으며 소비자도 꽃만 사용한 웨딩부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잡지 분석결과 연도별 웨딩부케의 유행이 변화 하였고 최근 잡지에 나타난 경향과 소비자가 선호하는 부케의 디자인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매체가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지만 현대는 다양성의 시대로 개개 인의 의사와 스타일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렇듯 변화 하는 소비자에 발맞춰 유행에만 따라가기보다 소비자 의 성향과 개성에 맞는 웨딩부케 디자인을 제작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wedding bouquet in our country by analyzing wedding bouquets, which have shown in wedding magazines, and was to suggest basic data of a research on wedding bouquet by examining the present consumers' thought and preference for wedding bouquet after surveying consciousness and preference for form, color, and material in bouquet. As a result of analyzing wedding bouquets, which were shown in wedding magazines for the recent 12 years, the form of wedding bouquet, which was indicated the most in wedding magazine, stood at round (37.3%), natural (27.1%), waterfall (16.8%), arm (7.2%), crescent (3.8%), ball (1.2%), and others (6.6%). The waterfall and crescent, which had shown the high ratio along with round in the former term, reduced in the latter term. Round, natural, and arm indicated high ratio. As a result of analyzing color frequency, it stood at the bouquet that was composed of light tone (40%), white color (35%), the bouquet of having been used light tone and dark tone together (14%), and dark tone (10%). The white bouquet, which had shown the high ratio in the former term, gradually reduced. On the other hand, number of bouquets with light tone increased greatly. As a result of analyzing material of forming wedding bouquet, the number of bouquets, which used flower and foliage materials together (59.1%), was indicated most highly. It stood at the bouquets of having used only flower (38.4%) and the bouquets of having used only foliage material (2.6%). The bouquets of having used both flower and foliage materials in 1999 possessed high ratio with 80.9%, but steadily reduced, resulting in having accounted for 34.4% in 2010. The bouquets of having used only flower grew with 56.5%.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 order to examine consumers' recognition, the preferred bouquet design form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round (40.3%).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natural (31.1%), crescent (9.2%), arm (8.3%), waterfall (6.3%), and ball (4.9%). Thus, the round, which was designed with circular type, can be seen to be preferred the most as a whole. When seeing generally the results that analyzed color of desired flower given selecting bouquet, the light tone (55.8%) was indicated most highly.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light tone and dark tone (20.9%), white color (13.6%), and dark tone (9.7%). Thus, it can be seen that flower in color with light tone given selecting bouquet is preferred mo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using the preferred bouquet materials, 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only with flower (60.7%) was indicated most highly. It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with both flower and foliage (35.4%) and 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only with foliage (3.9%).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majority prefer bouquet of having been designed only with flower the most. As a result of analyzing wedding magazine, the fashion of wedding bouquet by year was changed. The tendency, which was indicated in the recent magazine, and the design of bouquet preferred by consumers showed similar result.

저자
  • 최선아(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 Sun Ah Choi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
  • 홍종원(고려대학교 대학원) | Jong Won Hong
  • 한고운(고려대학교 대학원) | Koh Woon H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