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의 궁중 전통 꽃꽂이 특징비교 KCI 등재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Flower Arts Used in Royal Court Ceremon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꽃꽂이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과 궁중 행사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던 전통 궁중회화를 이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 선정은 한국의 조선, 중국의 명, 일본의 에도 시대로 한 정하였다. 유사점은 한·중·일 모두 꽃꽂이의 기원을 원시신앙 에 두었으며 조형적인 형태가 발생한 시점은 불전공화에 두었다. 이용된 소재는 아취가 있는 화목류를 주로 사용 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존중하고 심상적인 표현을 하 였다(Fig. 1a-c). 기술적인 부분은 수제(水際)부분이 있 었으며 선을 이용하여 한 가지에서 나온 것처럼 줄기를 모아 꽂았다(Fig. 2a-c). 차이점은 한국이 두 나라에 비해 소재의 수를 적게 사용하였고, 양감적이었으며, 도식화된 타원형으로 의궤에 계승되어 내려왔다(Hong, 2001). 또한 중국보다 조형적이었으나 일본보다는 자연미가 있었고 좌우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3a-c). 한국의 꽃 꽂이는 여백 처리와 선의 각도 변화가 크지 않아 부드럽 고 온화하였으며 규모는 일본보다 더 큰 형태를 선호하였 다(Table 1). 또한 화목류의 단일 소재 사용으로 화려함 보다는 조용함과 소박함이 있었다(Fig. 4a-c). 반면 한국에 비해 중국과 일본은 비균제의 미가 발달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였고 화기의 외부 형태도 섬세한 디자인으로 되어있었다(Fig. 1a-c). 중국의 특징은 다양한 소재로 화려함과 풍부함, 소재에 인공을 가하지 않은 자연의 미였다(Fig. 1b). 그러나 형식을 경계하여 조형적으로 일본처럼 접근하여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 은 한국보다 다양한 소재와 각도의 변화로 화려하며, 섬 세한 여백의 분할로 인공적인 기교가 극치를 이루었고, 격식에 맞춰 곡선과 직선의 대비로 선이 날카롭고 강하였 다. 또한 제한된 주지의 각도 변화로 여백이 많아 가벼웠 으며, 불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1c).

To discover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lower arrangement, they were compared with different articles and old paintings used in royal court ceremonies. The primary research involved principle of design. The times periods used were the Joseon Dynasty era of Korea, the Ming era of China, and the Edo eras of Japan. The result, which shows bo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research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imilarities were that they all respect the features of nature, and their image expresses their creator’s thinking. There was one technique, called ‘Suje’, in which a part of the stem is coming out from one branch. Also, each three eras preferred flowering trees and ornamental trees more than annuals or foliage plants. one of the differences was that korea used a simple number of materials. The work had volume and appeared mild by using a soft curved line which was repetitive and massive. The Joseon Dynasty era advanced a sense of beauty with artistic symmetry and balance. The work seemed soft and natural because of the little change in blank space, with almost no angle of line. The form had a characteristic preference of being taller than the typical Japanese arrangement. It appeared simple, calm, and rustic by using only one kind of material. In contrast, the Chinese style was gorgeous and displayed volume in a non-symmetrical tripodal form, which incorporated various colors and materials. Also, they avoided processing the materials in order to emphasize the original beauty of nature. Chinese flower arts did not become formalized because they did not consider the formality seriously the formal. The Japanese style was also gorgeous because it incorporated various materials and angles. It included an extreme technique in which an artificial line divided the blank space delicately. The line was both strong and delicate in an established form. The restriction of the main branch gave a light feeling, as well as more strain as in a balance sense. The Japanese eras emphasized more the use of line and a sense of blank space.

저자
  • 홍훈기(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조경학과) | Hoon Ki Hong Corresponding author
  • 이종석(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원예조경학과) | Jong Suk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