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색차광망을 통한 광환경 변화가 꽃도라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Growth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as Affected by Different Light Conditions Changed by Colored Shade Ne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85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유색차광망을 통한 광환경 변화가 꽃도라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광환경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화가 빠른 ‘Pink Fresh’는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무차광과 흑 색 차광망에 비해 초장과 측지수가 증가하였으나, 개화 가 다소 느린 ‘Rose Pink‘은 청색과 적색 차광망에서 는 무차광과 비슷한 초장을 보였고 오히려 무차광에서 분지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꽃수는 광량이 적은 흑색 차광망에서 감소하였고, 개화시기는 광량이 많은 무차 광에 가장 빨라 광질보다는 광량의 영향이 큰 것 나 타났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분홍색인 ‘Pink Fresh’ 품 종에서 무차광과 청색 차광망에서 가장 낮아 광량과 광질 모두 안토시아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light quant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of lisianthus (Eustoma grandiflorum) was evaluated using 30% colored shade nets. Two cultivars, ‘Pink Fresh’ and ‘Rose Pink’, showed different growth responses to colored shade nets. Plant height and axillary branches increased in ‘Pink Fresh’ grown under blue and red shade nets as compared to black or no shade nets. However, the axillary branches decreased under three shade nets against no shade nets in ‘Rose Pink’. Black shade nets, providing the greatest shade of 38%, reduced flower number and delayed flowering in both cultivars. Flowering also delayed as light quantity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of ‘Pink Fresh’ was the lowest in the blue shade net and no shade treatments, and it seems that both light quality and quantity affected anthocyanin synthesis.

저자
  • 허은주(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Eun Joo Huh Corresponding author
  • 이영란(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Young Ran Lee
  • 구대회(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Dae Hae Goo
  • 권오근(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Oh Geun Kwon
  • 이광식(농촌진흥청 원예연구소) | Kwang Seek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