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

        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RGB, 초분광 센서를 이용하여 시기별 사과 잎의 엽록소와 질소 함량을 예측하여 사과 나무 잎의 질소 영양을 진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광 데이터는 사과나무 ‘홍로 /M.9’ 2년생을 대상으로 고해상도 RGB와 초분광 센서로 촬 영 후 영상처리를 통해 취득하였다. 식물체 데이터는 촬영이 끝난 직후 엽록소와 잎 질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엽록소 측정 기의 SPAD meter, RGB 센서의 개별 파장, 컬러 식생지수 및 초분광 센서의 214개의 파장과 식물체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엽록소와 잎 질소 함량 데이터는 시기 와 상관없이 질소 시비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잎은 시기가 지나면서 잎에 있던 영양분이 과실로 전이되어 색이 옅어졌으며 RGB센서의 경우 Red파장에서 시 기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분광 센서의 경우 두 시기 모두 질소 시비 수준에 따라 가시광 영역 보다 비가시광 영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반사값를 이 용하여 식물체 특성의 예측 모델 결과 엽록소, 잎 질소함량 모 두 초분광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최소제곱 회귀분석을 이용하 였을 때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chlorophyll: 81% / 63%, leaf nitrogen content: 81% / 67%). 이러한 원인은 RGB 센서 에 비해 초분광 센서는 좁은 FWHM과 400-1,000nm의 넓 은 파장 범위를 가지고 있어 질소 결핍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 해 작물의 분광학적 해석이 가능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분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전 생육 시기의 수체 생리, 생태 모 델 개발 및 검증 그리고 병해충 진단 등 연구를 통해 고품질, 안 정적인 과실 생산 기술 개발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가공 부산물인 콩 배아 이소플라본의 생체내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LA, LB, LP 등 3가지 유산균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비배당체화 전환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균주의 종류와 접종량, 발효시간에 따른 이소플라본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균주를 이용한 모든 발효에서 균주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을 보였고, 발효시간에 따른 비배당체 전환율은 24시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비배당체화 발효의 최적 균주는 LP균, 접종량은 5%, 발효시간은 24시간 이었다. 대조군의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구성은 글리시틴>다이드진>제니스틴 순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을 때 배당체들은 감소하였고,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제니스테인 순으로 45% 이상의 비배당체 전환율을 나타내었다. 특히,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산균으로 발효시켰을 때 다이드진의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다이드제인 함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소야사포닌의 경우 발효에 의하여 Ab가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가 증가하였다. 발효액은 pH 3에서 pH 6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다이드제인 함량이 많이 증가하였고, 소야사포닌 함량은 Ab 함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고, Ba와 Bb 함량도 소량감소하는 등 발효액의 pH가 발효에 의한 이소플라본과 소야사포닌 함량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고, LP균을 이용한 발효로 가공부산물인 콩 배아의 생리활성 증가 및 기능성소재화를 꾀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4,000원
        4.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품산업에서 보습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보습제로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등 많은 원료가 개발과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보습제 원료가 아닌 계면활성제를 변경함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대해 연구 하였다. 특별히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천연계면활성제, Lecithin 계면활성제, Polyglyceryl ester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계면활성제, PEG계열 W/O 계면활성제 등으로 이 들의 계면활성제의 변화에 따라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계면활성제 중에서 Lecithin surfactant를 사용했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 값을 확인 하였다.
        4,000원
        6.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oats to add to rice and the merits of oat meal.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oking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in the cooked rice. Compared with rice, the oat showed higher level in protein, fat, total β-glucan and total polyphenol, but not for starch. Therefore, the amount of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s added. Water absorption and expansion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 added. Ole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nd linole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ppropriate amount of oat added was 20% and 30%. By the addition of oat, the β- glucan content of the cooked rice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could increase.
        4,000원
        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열 처리 기술인 유전체 장벽 방전 저온 플라즈마(dielectric barrier discharge cold plasma, DBD-CP)를 이용하여 양 파 분말에 접종된 Salmonella Enteritidis, Escherichia coli O157:H7, 그리고 Listeria monocytogenes의 저해 효과를 조사 하였다. DBD-CP 처리 조건으로서 DBD-CP 형성 가스는 헬륨이었고, 독립 변인은 처리 전압(4, 5, 6, 7, 8, 그리고 9 kV)과 처리 시간(5, 10, 12, 15, 그리고 20분)이었다. 미생물 저해율과 양파 분말의 표면 온도를 종속 변인으로 하여 DBD-CP 최적화 조건을 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S. Enteritidis 저해율에 대한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양파 분말의 입자 크기와 수분활성도(Aw)에 따른 S. Enteritidis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다른 처리 조건으로서 헬륨-물 혼 합 가스를 형성 가스로 사용하여 9 kV에서 5분 동안 주파수(15, 25, 그리고 35 kHz)에 따른 미생물 저해율과 시료 표면 온도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DBD-CP 처리에 의해 양파 분말에 접종된 S. Enteritidis, E. coli O157:H7, 그리고 L. monocytogenes는 각각 ≤2.3 ± 0.1, ≤1.4 ± 0.2, 그리고 ≤0.7 ± 1.2 log CFU/cm 2까지 저해되었고, 시료의 최고 온도는 38.5 ± 1.52℃이었다. 양파 분말에 접종된 S. Enteritidis의 저해율에 대한 DBD-CP 최적 조건은 9 kV와 20분이었고, S. Enteritidis 저해율을 가장 적절하게 예측한 모델은 Fermi’s model (R 2 =0.93)이었다. 수분활성도가 0.4, 0.8인 양파 분말의 S. Enteritidis 저해율은 각각 2.3 ± 0.1, 1.8 ± 0.1 log CFU/cm 2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 입자 크기가 0.25, 1.00 cm 2인 양파 분말의 S. Enteritidis 저해율은 각각 2.3 ± 0.1, 1.0 ± 0.5 log CFU/cm 2로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저해율이 높았다. 헬륨-물 혼합 가스로 DBD-CP 처리시 모든 식중독균에서 주파수가 작을수록 저해율이 증가하였고, 헬륨의 단 독 처리에 비해 미생물 저해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현 연구를 통해 DBD-CP 처리 기술은 분말 식품의 품질 보존 및 미생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살균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태백산 분지에 분포하는 탄산염 및 규질쇄설성 혼합 퇴적물로 구성된 세송층(late Middle Cambrian to Furongian)은 δ 13 C값이 1.14에서 2.81‰을 갖는 SPICE (Steptoean positive carbon excursion)를 15 m 두께의 층서구간 에서 보여준다. SPICE는 Fenghuangella laevis대, Prochuangia mansuyi대 그리고 Chuangia대로 구성된 삼엽충 생물대 에서 산출되며 이는 Paibian Stage의 하부에 해당된다. 세송층은 엽층리 이암, 단괴상 셰일, 엽층리 사암, 균질사암, 석 회역암, 석회암-셰일 쌍을 포함한 6개의 암상으로 구성된다. 세송층은 폭풍파도기저면 아래의 외대륙붕에서 퇴적된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시기적으로 Paibian Stage에 속하는 SPICE는 세송층에서 고수위 퇴적계 다발, 대비 정합면과 해침 퇴적계 다발에서 발견된다. SPICE의 최대 안정 탄소 동위원소 값은 상대적인 해수면 하강에 의해 형성된 대비 정합면 과 일치한다. 세송층에서 SPICE의 산출은 SPICE가 화석의 산출이 결여된 지층의 전세계적 대비를 위해 사용될 수 있 는 도구임을 암시한다.
        4,800원
        1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프리지아 ‘Pink Rain’은 2005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 작과학원에서 구근부패병에 약한 백색 반겹꽃 품종 ‘Teresa’ 에 키가 작고 만생인 자주색 겹꽃 품종 ‘Purple Rain’을 교 배하여 획득한 종자로부터 2006년 밝은 연분홍빛의 겹꽃 다화성 프리지아 계통을 선발하였다. 2007년부터 2010년까 지 특성검정 및 기호도 평가를 수행하여, 2010년에 직무 육성품종심의회를 거쳐 ‘Pink Rain’으로 명명하였다. ‘Pink Rain’은 연분홍색(RHS RP62A)의 밝은 반겹꽃 절화용 프리지아 품종으로 초장이 94.7cm(대조품종 ‘Teresa’ 81.1, ‘Purple Rain’ 85.5), 화수장 9.5cm(11.4, 8.0), 소화수 11.2개(13.3, 10.4), 화폭 61mm(59.3, 55.7)이다. 분지수는 6.8개(4.3, 5.8), 로 대비품종에 비해 수확량이 높고 바 이러스 및 구근부패병 발생율은 각각 3.5%(5.6, 10.4), 2.6%(15.0, 7.1)로 대조품종에 비해 1.6-3.0 및 2.1-5.7배 더 적으며 자구 증식력은 6.4개로 대조품종에 비해 1.2배 높다.
        3,000원
        12.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회, 경제, 교육, 제도 등의 변화 분석을 통해 세계화와 미래화를 위 한 노동시장의 변화에 대해 예측하고 미래 산업의 효율적 운영 관리방안 마련 및 시 스템적 접근방법을 통한 무한 경쟁체제의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 에서 제시하는 산업분석에 대한 계산은 근거와 신뢰성에 대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으 나 본 연구에서 고려하고자 한 것은 산업 간의 포지셔닝 계수라는 것을 언급하고자 한다. 결국 포터가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은 각 산업 간의 포지셔닝 결정을 위한 상대 적 가치 계산이지 산업에 절대적 계산이 아니다.
        4,000원
        13.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통계청(2009-2010)의 국가 산업 표준을 기본으로 생애주기를 고려한다. 생애주기에 대한 변수는 경제활동인구와 사업체 동향을 분석하여 실시하며 이에 따른 자격은 산업과 직업에 관련하여 해당하는 자격의 매칭 테이블을 기준으로 그 자격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산업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경영기법에 따라 그 절차를 수용하고 관련변수를 응용 또는 적용하도록 하였다.
        4,000원
        15.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4년도에 화형이 우수하고 연핑크색의 스프레이 ‘Macarena’ 품종을 모본으로 수량이 많은 핑크색 스프 레이 ‘Million Pink’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2005년에 744개체의 실생묘를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 로 2007-2009년까지 3차에 거쳐 특성을 검정한 후최종 선발된 ‘원교 D1-143’을 ‘Glory Purple’이라고 명명하였다. ‘Glory Purple’의 화색은 짙은 분홍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66B이다. 화형은 고심형이고 향기는 없다. 꽃잎수는 25.7개로써 ‘Pinky’와 같았고, 화폭은 5.9 cm로 ‘Pinky’ 보다 작았다. 평방미터당 년간 절화수 량은 157.1본으로 ‘Pinky’ 보다 많았으며 절화장은 63.5 cm 절화경경은 6.3 mm로 ‘Pinky’와 비슷하였다. 또한 절화수명은 10.2일로 ‘Pinky’ 보다 약간 길었으며, 흰가루병 저항성과 기호도 평가에서도 각각 ‘Charming’ 과 ‘Pinky’ 보다 우수하였다.
        3,000원
        16.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뱀딸기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뱀딸기(D. chrysantha) 부위별 항산화활성을 비교해본 결과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전초가 Ascorbic acid(34.72μg/m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열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항염활성은 전초 > 지상부 > 열매의 순으로 항산화활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항암활성은 인체 자궁경부암세포 HeLa에 대해서 열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초는 낮게 나타났다. 간암세포 SKHep1에 대해서 지상부와 전초가 비슷한 활성으로 열매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3,000원
        20.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PRRSV)는 당단백질(GP)2, 3, 4, 5, 및 막단백질(M), 그리고 뉴클레오캡시드(N) 등 6개의 구조단백질을 내포하고 있 으며 이들은 각각 ORF2-7 으로부터 암호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누에 핵다각 체병 바이러스(BmNPV)의 다각체 단백질 프로모터와 6개의 히스티딘 단편이 부착된 새로운 전이벡터인 pBmKSK4를 제작하여 각각의 구조단백질을 발현 시켰다. 목적유전자와 재조합된 전이벡터는 Bm5 세포에 bBpGOZA와 cotransfection 시킨 후, 순수 재조합 바이러스를 정제하여 사용하였다. 발현된 각각의 단백 질은 SDS-PAGE 분석 및 항-히스티딘 항체와 PRRSV 항체를 사용한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N 단백질만이 SDS-PAGE 상에서 발현이 가능하였고 나머지 구조 단백질은 항체수준에서만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GP5는 다른 단백질에 비해 발현이 매우 저조하게 나타났는데, 그 이 유는 GP5 단백질의 Bm5 세포에 대한 독성으로 추정되었다. 각 단백질 발현 율의 향상을 위해 SUMO 유전자를 도입한 결과, 항원단백질의 발현율이 기존 보다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베큘로바이러스를 이용한 각 구조단 백질의 높은 발현은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바이러스의 효과적인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1 2 3